메뉴 건너뛰기

“개혁 과제는 여야 협조가 필수”
“협치 통해 국민 걱정하지 않게 노력할 것”
한덕수 국무총리가 17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출입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는 17일 여당이 참패한 4·10 총선 결과에 대해 “국민이 회초리를 드신, 그동안 국정을 추진하는 분야에 있어서 대단히 미흡했던 점에 대해 다시 한번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면서 협치를 통해 국정을 운영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이 국민 앞에서 직접 말하지 않은 ‘사과’와 ‘협치’를 사퇴 의사를 밝힌 한 총리가 대신 강조하고 나선 셈이다.

한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국민이 표출해주신 그 민의를 저희가 굉장히 심각하고 진지하게 생각한다”며 “특히 국회에서 협치적 관계를 만듦으로써 우리 국정에서 해결해야 할 많은 과제들에 대해 국민이 걱정하시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총리는 국정 운영에서 가장 부족했다고 생각하는 점에 대한 질문을 받고 “저희가 지금껏 추구해온 경제 위기, 민생, 노동·교육·연금·의료개혁은 확실하게 이끌어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그런데 이런 과정에서 국민이 개혁 과제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동의하고 힘을 보태주고 대의 기관인 국회에서 여야가 협조를 해주는 것이 필수적인데 그런 노력을 우리 정부가 충분히 하지 못했다. 그런 부분을 분명히 고쳐야한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한 총리의 발언은 윤 대통령이 지난 16일 직접 총선에 대한 입장을 밝힌 내용과 큰 얼개는 같지만 ‘협치’ 부분이 더해진 것이다. 윤 대통령은 당시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노동·교육·연금 3대 개혁과 의료 개혁을 추진하되 합리적인 의견을 더 챙겨 듣겠다”고 하면서도 ‘협치’, ‘통합’, ‘야당’이라는 말은 아예 하지 않았다.

한 총리는 “물론 행정부가 좋은 정책을 만들어나가야겠지만 국회와의 협치는 아주 중요한 부분이라고 인식하고 있다”고 협치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한 총리는 지난 16일 윤 대통령에게 구두로 사의를 표명한 것과 관련해 “어떤 정책을 갑자기 던지는 게 아니고 사전적으로 모든 정보를 국민과 정치권에 공유하고 누구라도 국익을 생각한다면 당연히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는 노력이 부족했다. 대통령의 명령에 의해 내각을 총괄하는 총리로서 누가 뭐라고 해도 제가 책임을 느끼고 사의를 표명하는 게 옳다고 판단했다”고 했다.

한 총리는 또 윤 대통령을 향한 ‘불통’에 대한 지적에 대해서는 “불통(이라는 비판)은 우리 행정부 전체가 책임져야 하는 것 아닌가 생각한다. 물론 저는 총리로서 특히 그 책임을 무겁게 느껴야 한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야당 대표와의 만남을 대통령에게 건의할 생각이 없냐는 질의에 “그 길은 열려있고 어떤 시기에 어떤 의제로 어떤 방식으로 할지는 대통령실에서 계속 고민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지금은 선거 끝난 지 며칠 안 돼서 모두가 생각을 정리하는 시간이 필요한 측면도 있다”며 즉답을 피했다.

한 총리가 후보자 시절 공언한 책임총리제에 대해서는 “대통령께서 충분히 책임총리로서 역할을 할 수 있게 항상 여지를 만들어주셨고 여러 문제에 대해 대통령의 명령을 받아 그런 역할을 할 수 있었다”며 “제가 잘 아는 분야에 있어선 제 의견을 항상 존중해주셨고 받아들여주셨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한 총리는 의과대학 증원 문제와 관련해 대화의 문이 열려있다는 입장을 되풀이했다. 그는 “이것 역시 저희가 좀 더 노력하고 상대를 설득하려고 노력했어야 하는데 그런 과정에서 우리 국가의 자산인 전공의들이 환자의 곁을 떠나버리는 상황이 됐다”며 “환자 곁을 떠나는 건 항상 유감스럽고 아쉬운 일이고 환자들을 너무나 힘들게 만드는 일이다. 정부로선 의료계가 합리적이고 구체적인 안을 가져오면 숫자에 얽매이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고 지금도 의료계의 반응과 입장을 기다리고 있다”고 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6071 [단독] 넉달 전 대통령실 진입 시도에 ‘조직범죄’라며 영장 재신청 랭크뉴스 2024.05.15
26070 "아이보다 노인 돌봄이 문제" 외국 인력 4만명 부른 일본의 전략 랭크뉴스 2024.05.15
26069 5년 만에 조국 만난 尹 대통령, 눈인사하며 건넨 말은? 랭크뉴스 2024.05.15
26068 "서울 지하철 탔는데 의자가 없네?" 내일부터 7호선도 시범운행 랭크뉴스 2024.05.15
26067 [오늘의 천체사진] 태양 가장자리의 흑점 영역 AR 3664 랭크뉴스 2024.05.15
26066 尹, 5년 만에 조국과 악수… 文 정부 시절 검찰총장 임명장 수여식 후 처음 랭크뉴스 2024.05.15
26065 작년 5174억 적자에도…껌값만 한해 7400만원 쓰는 이 공기업 랭크뉴스 2024.05.15
26064 의대 증원 운명 가를 법원 결정 초읽기…법적 쟁점은 랭크뉴스 2024.05.15
26063 한총리, '野 25만원 지원' 내수진작론에 "물가안정이 우선" 랭크뉴스 2024.05.15
26062 "불안한 尹, 측근도 못 믿어 궁예식 인사"‥"끝이 보인다" 랭크뉴스 2024.05.15
26061 “반갑습니다” 尹대통령, 조국과 악수… 5년 만의 대면 랭크뉴스 2024.05.15
26060 [단독]'라인 아버지' 신중호 입열다…"보안이슈 내 잘못, 라인 안 나간다" 랭크뉴스 2024.05.15
26059 우원식 "이재명, '국회의장에 형님이 딱 적격'이라고 말해" 랭크뉴스 2024.05.15
26058 尹대통령, 부처님오신날 행사서 조국과 악수… 5년 만에 공식 첫 대면 랭크뉴스 2024.05.15
26057 韓총리“의료계 정부자료 공개, 국민도 적절치 않다 생각할 것” 랭크뉴스 2024.05.15
26056 [단독] 라인야후 사장 “한국 직원 고용 보장”… 지분매각 협상 진전됐나 랭크뉴스 2024.05.15
26055 서울 동대문구 용두공원 화재‥용두역 출구 긴급폐쇄 랭크뉴스 2024.05.15
26054 윤 대통령 “부처님 마음 새기며 올바른 국정 펴겠다” 랭크뉴스 2024.05.15
26053 한·중·일 정상회의 4년6개월 만에…동상이몽 속 공동성명 조율 랭크뉴스 2024.05.15
26052 '빠떼루 아저씨' 레슬링 해설가 김영준 전 경기대 교수 별세 랭크뉴스 2024.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