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김용원 지난해 8월9일 성명 이후
이종섭 통화한 뒤 16일 입장 변경
“전화 받으니 ‘장관 바꿔드리겠다’”
지난해 3월16일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왼쪽)을 예방한 김용원 군인권보호관 겸 상임위원. 국방부 제공

채아무개 상병 순직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이 불거진 직후 국방부의 ‘외압’을 강하게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했다가 석연치 않은 이유로 입장을 바꾼 김용원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 군인권보호관이 입장 변경 전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과 통화했다는 점을 사실상 시인했다. 그는 지난해 국정감사 때 ‘장관과 통화’를 인정했지만, ‘시점은 명확지 않다’고 설명한 바 있다.

군인권보호관은 군인 사망 시 조사 입회권을 가진 사실상 유일한 군 견제기구다. 민감한 시기에 이뤄진 둘 간 통화에서 어떤 이야기가 오갔는지는 ‘외압 의혹’ 사건의 얼개를 구성하는 데 중요한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인다.

“비판성명 설명, 그대로 해줬으면 좋겠다고 했다”

김용원 군인권보호관 겸 상임위원은 15일 오후 한겨레와 나눈 문자메시지에서 “8월9일 성명발표 이후 장관(이종섭 장관)에게 그 취지를 알리기 위해 통화를 하고자 했는데…한참 지난 후 어느 날 걸려온 전화를 받았더니 ‘장관을 바꿔드리겠다’고 하여 통화를 하게 되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통화를 하게 되어 (8월9일) 성명 내용을 설명해주고 (성명 내용대로) 그대로 해줬으면 좋겠다는 원론적 이야기를 했던 것 같다”고 덧붙였다. 본인 입장이 변경된 16일 전에 장관과 통화했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지난해 11월8일 국회 운영위원회 국정감사 때 “장관과 통화를 했느냐”는 더불어민주당 윤영덕 의원의 질의에 모호하게 답했으나, 이번에는 좀 더 구체적이고 분명하게 통화 시점과 내용을 밝힌 셈이다.

이종섭 대화 내용 중요 수사대상 될 듯

김 위원은 당시 통화에서 이 장관이 어떤 말을 했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통화 내용은 중요 수사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대화 내용에 따라 이 전 장관 등의 범죄혐의 입증에 중요 단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은 “김 위원은 특별검사의 수사를 받아야 한다. 입장이 바뀐 이유에 관해 납득할 만한 설명을 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인권위 군인권보호관은 이예람 중사가 숨진 사건을 계기로 군대 내 차별행위를 조사해 시정조치·정책권고 등을 담당하기 위해 국가인권위원회법 등을 개정해 2022년 7월 출범했다. 군인권보호관을 겸하는 김 상임위원은 지난해 8월9일 “박정훈 전 수사단장에 대한 보직해임 절차 진행과 항명죄 등 수사를 중단하고, 국방부가 수사 자료 일체를 민간에 이첩해야 한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후 국방부 검찰단이 박정훈 전 수사단장에 대한 수사를 강행하자 입장을 180도 바꿨다.

더불어민주당 박주민 의원 등 24명이 발의한 ‘채 상병 특검법안’(순직 해병 수사 방해 및 사건 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안)은 국회 신속처리안건(패스트트랙)으로 지정되어 5월3일 국회 본회의에 자동 부의돼 있다. 4·10 총선에서 압승한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은 21대 국회 회기 내인 5월2일 국회 본회의에서 특검법안을 처리하자고 주장하며 정부·여당을 압박하고 있다.

김 위원은 “한 번도 입장을 바꾼 적이 없다”는 종전의 주장을 되풀이했다. 그는 지난해 8월29일 본인이 위원장으로 있는 군인권보호위원회(군인권 소위)가 야당 추천 원민경 위원의 동의 아래 박정훈 대령 긴급구제신청을 기각했다고 강조해오곤 했다. 이 말을 국정감사에서도 했고, 언론의 인터뷰 때마다 되풀이해왔다.

원민경 위원은 이에 관해 “박정훈 대령에 대한 견책징계가 나오면서 긴급구제 기각에 동의한 건 맞다. 하지만 당일 밤 군 검찰이 박정훈 대령 구속영장을 신청하는 등 상황이 급변해 소위를 재소집해 기각 결정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강력히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원 위원은 지난 8일 오후 열린 전원위원회에서 김용원 군인권보호관에게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과 나눈 통화기록 내역을 제출해달라. 저희가 국방부 장관의 개인 전화와 사무실 전화를 가려서 확인하고 일시까지 측정해서 알려드리겠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4751 이재용, 포브스 선정 한국 부자 첫 1위…왕좌 내준 2위 누구 랭크뉴스 2024.04.18
14750 “고작 4년 징역”… 음주운전에 ‘하반신 마비’ 골키퍼 울분 랭크뉴스 2024.04.18
14749 尹지지율 11%p 내린 27%…국힘 32% 민주 32% 조국당 13% [NBS] 랭크뉴스 2024.04.18
14748 [영상] 보스턴 다이내믹스, 새 인간형 로봇 공개…현대차 생산라인 투입 전망 랭크뉴스 2024.04.18
14747 법원 "김학의 1차 수사팀 검사들 불기소 공수처 판단 정당" 랭크뉴스 2024.04.18
14746 ‘AI 훈풍’ 불자…순위 뛰어오른 ‘韓 50대 부자’ 누구 랭크뉴스 2024.04.18
14745 중학생이 인터넷 도박장 총책…초중고생 96명 상습 도박 랭크뉴스 2024.04.18
14744 의대증원 이어 ‘공공의대’ 도입 촉구… 의사들 ‘지끈’ 랭크뉴스 2024.04.18
14743 중국 매체 "한국인 80%, 우호적 한중관계 지지"... 윤석열 외교 우회 비판 랭크뉴스 2024.04.18
14742 “문재인 4·3 추념사, 이승만 명예훼손 아니다”…이승만사업회 최종 패소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4.04.18
14741 법원 "경찰국 신설 반대 류삼영 전 총경 징계 문제 없어" 랭크뉴스 2024.04.18
14740 [영상] 케냐 선수 “중국 선수 위해 고용돼” 실토···중국 마라톤 승부조작 사실로 랭크뉴스 2024.04.18
14739 '윤석열 협박방송' 보수유튜버 징역 1년 법정 구속 랭크뉴스 2024.04.18
14738 블룸버그 “美 정부, 다음주 마이크론에 반도체 보조금 60억달러 지급” 랭크뉴스 2024.04.18
14737 법원, ‘경찰국 반대’ 류삼영 전 총경 정직처분 취소소송 ‘기각’ 랭크뉴스 2024.04.18
14736 [영상] 화려한 모피 이면엔 여우, 밍크의 눈물이… 참혹한 중국 농장 실태 랭크뉴스 2024.04.18
14735 피 나게 때리고 굶기고… 판사도 울먹이게 만든 계모와 친부의 학대 랭크뉴스 2024.04.18
14734 윤관석 "매표 아닌 감사 표시" vs 검찰 "모순 주장해 법정 모독" 랭크뉴스 2024.04.18
14733 "서로 헐뜯기만‥협치가 긴요" 박영선 본심은? 페북에 '술렁' 랭크뉴스 2024.04.18
14732 ‘AI 훈풍’ 올라탄 이재용 회장…‘韓 50대 부자’ 첫 1위 올랐다 랭크뉴스 2024.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