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中 베이징사범대 연구진, 수컷 자이언트 판다 20마리 연구
암컷 자이언트 판다 1년에 40시간만 가임기
판다 성기능, 장내 미생물 영향 받아


자이언트 판다 '푸바오'./뉴스1


전 국민의 사랑을 받은 자이언트 판다 ‘푸바오’가 지난 3일 짝을 찾아 한국을 떠나 중국으로 갔다. 푸바오는 임시 보금자리인 쓰촨성 워룽의 선수핑(神樹坪) 기지에 도착해 현지 생활에 적응하고 있다. 한 달간 격리 생활이 끝난 후 다른 판다 기지로 옮길 수도 있고, 당분간 선수핑 기지에 머물 수도 있다.

푸바오가 한국을 떠난 건 멸종위기종인 자이언트 판다의 보존을 위해서다. 중국은 해외에 보냈던 판다가 만 4세가 되기 전에 중국으로 돌아와 짝을 찾게 하고 있다. 푸바오의 가장 유력한 신랑감은 작년 7월 프랑스에서 중국으로 돌아온 수컷 판다인 위안멍이다. 장난기가 많고 털 색깔이 군데군데 어두워서 ‘거지왕자’라는 별명이 붙었다. 푸바오가 격리 생활이 끝나고 거주할 기지가 정해지면 본격적인 신랑감 찾기가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푸바오가 짝을 찾는다고 해서 바로 새끼를 밸 수 있는 건 아니다. 자이언트 판다는 번식이 쉽지 않은 대표적인 동물이다. 암컷의 경우 가임기가 1년에 약 40시간에 불과하다. 이 짧은 기회를 놓치면 다시 1년을 기다려야 한다. 더욱이 판다 수컷도 성관계에 적극적이지 않은 편이다.

자이언트 판다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번식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찾고 있다. 최근 중국 과학자들은 자이언트 판다의 번식 능력이 장내 미생물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이 결과에 따르면 자이언트 판다의 먹이를 조절하면 성기능을 활발하게 개선할 수도 있다는 의미다.

중국 베이징사범대학교 연구진은 지난 1일(현지 시간) 국제 학술지 ‘생태와 진화(Ecology and Evolution)’에 성기능이 왕성한 자이언트 판다는 장내에 ‘클로스트리듐(Clostridium)’이라는 세균이 많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자이언트 판다의 성기능이 저하되는 원인으로는 제한된 공간에 갇혀 있다는 심리적인 스트레스나 짝짓기 경쟁의 부족이 꼽혔다.

연구진은 장내 미생물에 초점을 맞춰서 수컷 자이언트 판다의 성기능 저하를 살폈다. 자이언트 판다의 장내 미생물 연구는 주로 판다의 주식인 대나무 소화를 돕는 역할에 초점을 맞췄다. 자이언트 판다는 대나무의 주성분인 섬유소를 소화하는 유전자가 없기 때문에 섬유소를 소화하기 위해서 장내 미생물에 의존한다.

연구진은 자이언트 판다의 장내 미생물이 단순히 섬유소 소화를 돕는 역할에서 그치지 않고 성기능과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이후 중국 산시성의 자이언트 판다 연구센터에서 20마리의 수컷 자이언트 판다의 72개 대변 샘플을 얻었다. 연구진은 성기능이 활발한 수컷 자이언트 판다와 그렇지 않은 수컷 자이언트 판다로 그룹을 나눈 뒤에 장내 미생물 구성에 차이가 있는지 살폈다.

성기능이 왕성한 자이언트 판다와 그렇지 못한 자이언트 판다는 장내 미생물 구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기능이 왕성한 자이언트 판다는 장내에 ‘클로스트리듐’이라는 세균이 많았는데, 반대의 경우에는 이 세균이 많지 않았다. 연구에 참여한 리우 딩젠 베이징사범대 교수는 “장내 미생물과 자이언트 판다의 성기능 사이에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찾았지만, 장내 미생물이 자이언트 판다의 성기능에 영향을 주는 유일한 원인은 아닐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이번 발견은 자이언트 판다의 보존과 번식에 중요한 힌트가 될 수 있다는 게 과학계의 평가다. 클로스트리듐이 많은 식단을 수컷 자이언트 판다에게 제공하면 자이언트 판다의 성기능을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았기 때문이다. 베이징사범대 연구진은 클로스트리듐이 많은 죽순을 자이언트 판다에게 더 많이 제공하고, 번식기를 전후로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식단에 추가하는 게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식물성 화합물로 블루베리나 딸기 등에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샌디에이고동물원 야생동물연합의 메건 오웬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멸종위기 동물의 보존과 관련해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는 결과”라고 평가했다.

참고자료

Ecology and Evolution(2024), DOI : https://doi.org/10.1002/ece3.11189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4428 전의교협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가 의료계 단일안" 랭크뉴스 2024.04.17
14427 [집중취재M] 가와사키병 맞다는데 지급 거부‥피해자 두번 울리는 보험사 랭크뉴스 2024.04.17
14426 "참패 원인은 대통령의 불통·당의 무능"‥당 쇄신은 언제? 랭크뉴스 2024.04.17
14425 "전임의 형님들이 돌아온다"…전공의 '5월 복귀설'에 의료계 술렁 랭크뉴스 2024.04.17
14424 ‘병원 6곳에서 거절’ 60대 심혈관환자, 신고 6시간 만에 끝내 숨져 랭크뉴스 2024.04.17
14423 홍준표 “당 대표 선거는 당원 100%로 하는 게 맞아” 랭크뉴스 2024.04.17
14422 "살면서 처음 본다" 스님도 깜짝…영덕 사찰서 발견된 이 생명체 랭크뉴스 2024.04.17
14421 尹·기시다, 15분 통화서 “한·미·일 긴밀한 협력” 랭크뉴스 2024.04.17
14420 尹-기시다, 한미일 3국 공조 재확인…"올해도 격의없는 소통" 랭크뉴스 2024.04.17
14419 “KBS 우파가 장악" 문건 이사회서 논의 불발…야권 이사들 "계속 문제제기 할 것" 랭크뉴스 2024.04.17
14418 총선 참패 일주일…쇄신 첫발도 못 뗀 당정 랭크뉴스 2024.04.17
14417 대만이 '한국 잠수함' 훔쳤다? 文정부 미스터리 행적 랭크뉴스 2024.04.17
14416 윤 대통령, 기시다 총리와 15분 통화…“긴밀 협력 통해 역내 평화·번영 기여하자” 랭크뉴스 2024.04.17
14415 "이제서야?" 아마존, 한국 무료배송 결정…쿠팡·알리 맞대결 랭크뉴스 2024.04.17
14414 ‘그 많던 총선 현수막 어디로’…재활용 공장엔 한 장도 안 와 랭크뉴스 2024.04.17
14413 [단독] 주유엔 미국 대사 “UN총회 내 대북제재 감시조직 신설 검토” 랭크뉴스 2024.04.17
14412 물에 잠긴 '사막 도시'‥1년 치 비 12시간 동안 '콸콸' 랭크뉴스 2024.04.17
14411 전국에 황사 특보, 짙은 황사 언제까지? 랭크뉴스 2024.04.17
14410 바이든 '中 철강·알루미늄 관세 인상'… "한국 영향은 크게 없을 듯" 랭크뉴스 2024.04.17
14409 ‘작년 7월31일’ 메모…박정훈 대령 측 "대통령실 개입 물증" 랭크뉴스 2024.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