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5일 강원도 양구군 방산면에서 발견된 산양 사체 (사진 제공 : 국립공원을 지키는 시민의 모임)

최근 KBS 등 언론 보도와 환경단체의 제보로 알려진 멸종위기종 산양의 겨울철 집단 폐사가 7백여 마리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환경부가 문화재청, 환경단체 등과 함께 지난 12일 개최한 '강원도 북부지역 산양 폐사 관련 전문가 자문회의'에 제출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겨울부터 경기와 강원 북부에서 폐사가 확인된 산양은 747마리까지 늘어났습니다.

당초 알려진 5백여 마리보다 2백여 마리나 더 많은데, 환경부가 정식 조사에 착수하면서 폐사가 확인된 산양의 개체 수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연관 기사] 5년된 ‘멧돼지 울타리’…생태 단절 등 부작용 속출 (2024.3.2 KBS뉴스9)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903819

환경부와 문화재청이 추정하는 전국의 산양 개체 수는 1,000~2,000마리입니다. 중간값을 기준으로 하면 국내에 서식하는 산양 가운데 절반가량이 지난겨울 사라진 셈입니다.

산양 사체가 발견된 지역을 보면, 강원 양구군 230마리, 화천군 220마리, 설악산 국립공원 지역이 120마리 등이었습니다.

보고서는 "4월 해빙기에 접어들어 구조 및 폐사 개체 수가 증가하였으며, 향후 추가적인 구조 및 폐사 개체 수 증가가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실제로 현장 구조 활동에 나선 환경단체들은 산간 지역에 쌓인 눈과 얼음이 녹으면서 더 많은 산양 사체를 발견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강원도 인제군의 한 ASF차단 울타리에 걸려 죽은 산양의 사체

■집단 폐사 원인은?..환경단체 "울타리 개방 서둘러야"

산양 집단 폐사의 주 원인으로 환경부는 '폭설'을 지목하고 있습니다.

산양 주 서식지인 고산지대에 지난해 11월부터 많은 눈이 반복적으로 내렸고, 지표면 식생이 얼어붙으면서 산양이 먹이를 구하기 어려웠다는 겁니다. 굶주린 산양이 먹이를 찾아 낮은 지역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탈진해 죽은 사례가 많은 것으로 환경부는 보고 있습니다.

ASF 차단 울타리에 가로 막힌 산양 (제공 :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의모임)

환경단체들은 자연적 요인인 '폭설'의 영향을 인정하면서도, 인위적 요인인 'ASF(아프리카 돼지 열병) 차단 울타리'가 산양 폐사에 더 큰 영향을 줬다고 봅니다.

산양이 ASF 차단 울타리 탓에 고립되거나 이동이 제한되면서 먹이를 구하는 게 한층 더 어려워졌고, 먹이를 찾기 위해 더 먼 거리를 움직이다보니 탈진을 부추겼다는 겁니다.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의모임'의 정인철 사무국장은 "전국에 설치된 3,000km 길이의 ASF 차단 울타리로 산양이 애꿎은 피해를 보고 있다"면서 "피해가 입증된 지역과 설악산국립공원은 농장 및 발생지역 주변을 제외하고 신속히 차단 울타리 전체를 개방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긴급 대응 나선 환경부.."시범 개방·순찰 확대·먹이 지원"

멸종위기종이자 천연기념물인 산양의 폐사 피해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자, 환경부는 긴급 대응에 나섰습니다.

강원 양구와 인제, 고성 등의 15곳에서 ASF 차단 울타리를 다음 달부터 시범 개방하기로 했습니다.

환경부가 울타리 시범 개방 대상으로 선정한 곳은 ①최근 2년간 ASF가 발생하지 않았고, 최근 발생 지점과 이격 거리가 큰 지역 ②양돈농가 이격 거리가 큰 지역 ③산양 서식지나 국립공원 등 보호지역으로 야생동물 서식 밀도가 높은 지역 ④ ASF 발생 시 조치가 용이한 지역 등의 조건을 갖춘 곳들입니다.

지난달 30일 설악산국립공원에서 발견된 산양 사체 (제공 :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의모임)

울타리를 개방하더라도 지주와 가로대는 유지하고, 4미터 정도 철망만 제거합니다. 아울러 개방 지점 부근에 무인 카메라를 설치해 산양 등 야생동물의 이동 유형과 빈도 등을 관찰할 계획입니다.

환경부 관계자는 "울타리를 시범 개방한 인근 지역에 ASF가 발생하면 철망을 즉시 복구할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위기에 처한 산양을 발견하고, 구조하기 위한 순찰도 강화됩니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은 현재 설악산과 오대산에서 야생생물보전원을 중심으로 1개 순찰조를 운영하던 것을 7개 순찰조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이렇게 되면 산양 구조를 위한 겨울철 순찰이 기존 100여 회에서 900여 회 이상으로 늘어납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1476 윤 대통령 "국정 우선순위는 '민생 또 민생'" 랭크뉴스 2024.04.15
31475 경실련 "여당 참패가 의대 증원에 대한 국민 심판? 적반하장" 랭크뉴스 2024.04.15
31474 [단독] “신한 더모아 포인트 회수”… 금감원, 약관변경 수리 랭크뉴스 2024.04.15
31473 ‘금의환향’ 조국, 평산마을 등장… 文 우산 들고 마중 [포착] 랭크뉴스 2024.04.15
31472 윤 대통령, 내일 국무회의에서 총선 참패 입장 밝힌다 랭크뉴스 2024.04.15
31471 “차관 경질해야 복귀”…사직 전공의 1,360명 복지부 장·차관 고소 랭크뉴스 2024.04.15
31470 29살 어린 지적장애女 몰래 혼인신고…장애 수당 갈취한 50대 랭크뉴스 2024.04.15
31469 호르무즈 해협에 쏠린 눈…이란 봉쇄 '불씨'에 전세계 촉각 랭크뉴스 2024.04.15
31468 이재명 "검찰이 건달도 안 할 짓을"…이화영 '술자리 회유' 폭로 언급 랭크뉴스 2024.04.15
31467 [단독] 김태우 전 강서구청장 선거법 위반 혐의로 재판행 랭크뉴스 2024.04.15
31466 내일 세월호참사 10주기 기억식, 정치권은?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4.04.15
31465 "한국에선 상상도 못할 일" 일본서 퇴사 대행 유행하는 이유 랭크뉴스 2024.04.15
31464 중동 불안에 원·달러 환율 급등… 8.6원 오른 1384원에 마감 랭크뉴스 2024.04.15
31463 교사 96% “세월호 참사 관련 교육 필요”…당국 지원은 미비 랭크뉴스 2024.04.15
31462 소방관 꿈꾼 19살 대학생, 5명에 장기·100여명에 조직 기증 랭크뉴스 2024.04.15
31461 샤넬, 한국서 '매출 2조' 향해 달린다…영업익은 30% 감소 랭크뉴스 2024.04.15
» »»»»» 유난히 혹독했던 지난겨울…산양 절반 떼죽음 랭크뉴스 2024.04.15
31459 MZ, 이제 중국 '탕후루' 대신 이란 '라바삭' 먹는다 랭크뉴스 2024.04.15
31458 중동 리스크에 뺨 맞은 한국… 환율 치솟고 물가 아찔 랭크뉴스 2024.04.15
31457 "尹 거부권 남발 버릇 고치시라"‥민주 '채상병 특검 처리' 총공세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4.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