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박민수 차관, 가시 돋친 언어로 의사들에게 끊임없는 모멸감”

(서울=뉴스1) 이승배 기자 = 정근영 전 분당차병원 전공의 대표를 비롯한 사직 전공의들이 15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 집단고소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사직 전공의 1,362명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 등을 직권 남용 및 권리 행사 방해 혐의로 고소한다고 밝혔다. 2024.4.15/뉴스1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정책에 반발하는 전공의 1360명이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을 직권남용 등의 혐의로 고소한다. 또 박민수 차관이 경질되기 전까지 의료 현장에 복귀할 뜻이 없다고 밝혔다.

박 차관 고소에 대표로 나선 정근영 전 분당차병원 전공의는 15일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회관에서 ‘정책피해 전공의 박민수 복지부 제2차관 집단고소’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방침을 발표했다. 고소에는 사직 전공의 1360명이 이름을 올렸으며, 이날 오후 박민수 차관을 직권남용 및 권리행사방해 혐의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고소할 예정이다.

전공의들은 고소 이유로 “정부가 각 수련병원장들에게 직권남용을 해 정책에 반발하는 전공의들의 사직서를 수리 금지했고, 업무개시명령을 내려서 젊은 의사들이 본인의 의지에 반하는 근무를 하도록 강제했다”면서 “이는 전공의들의 휴직권과 사직권, 의사로서의 전공의가 아닌 일반 의료에 일할 수 있는 직업 선택의 자유, 강제 노역을 하지 않을 권리 등 헌법과 법률에 따라 보장된 정당한 권리 행사를 방해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박민수 차관은 이번 의대 증원과 필수의료 패키지 정책을 주도하면서 초법적이고 자의적인 명령을 남발해 왔다”며 “근거가 부족하고 현장에서 불가능하다고 하는 정책을 강행하기 위해 한 사람이 국민으로서 오롯하게 존중받아야 할 젊은 의사들의 인권을 유린하는 것도 서슴지 않았다”고 말했다.

정 전공의는 그러면서 “박민수 차관을 조속히 경질해달라”며 “박민수 차관은 잘못된 정책을 주도했고, 그 과정에서 시민의 권리를 무시하고 헌정질서를 어지럽혔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 차관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가시 돋친 언어로 의사들에게 끊임없는 모멸감을 줬고, 젊은 의사들의 미래를 저주했다”며 “박민수 차관이 경질되기 전까지는 절대 병원에 돌아가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 고소가 전공의 단체인 대한전공의협의회과는 무관하며, 박 차관을 고소할 뜻이 있었던 전공의들이 3일동안 개별적으로 뜻을 모은 것이라고 밝혔다.

복지부는 이들의 박 차관 경질 요구에 대해 “특정 공무원의 거취와 병원 복귀를 연계하는 것은 타당하지도, 바람직하지도 않다”면서 “복지부가 추진하는 의대증원을 포함한 의료개혁은 모두 관련 법에 따라 기관장인 장관의 지휘, 감독 하에 진행되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전공의들은 의대증원 등에 반대하며 지난 2월 19일부터 사직서를 제출하고 병원을 이탈했다. 복지부가 서면 점검을 통해 확인한 100개 주요 수련병원의 이탈 전공의 수는 지난달 8일 오전 11시 기준 1만1994명으로, 전체 인원 대비 이탈률은 92.9%다.

대전협은 의대 증원과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의 전면 백지화 등 7개의 요구사항을 공개하며, 요구가 관철되지 않으면 복귀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나머지 요구 조건은 과학적 의사 수급 추계 기구 설치, 수련병원의 전문의 인력 채용 확대, 불가항력적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 완화,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전공의 대상 부당한 명령 전면 철회, 업무개시명령 전면 폐지 등이다.

박단 대전협 회장은 지난 4일 윤석열 대통령과 만나 140여분간 비공개 독대했으나 회동이 끝난 후 본인의 소셜미디어(SNS)에 “대한민국 의료의 미래는 없다”며 요구사항이 수용되지 않았음을 에둘러 밝혔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8094 [속보]헌재, KBS 수신료·전기요금 분리징수 “합헌” 랭크뉴스 2024.05.30
28093 SK 주가 왜 폭등했나... 투자자들은 ‘최태원 vs 노소영’ 경영권 분쟁 기대하는 듯 랭크뉴스 2024.05.30
28092 "노소영한테 1조 3천억 줘라" 원심 뒤집혔다‥최태원 '타격' 랭크뉴스 2024.05.30
28091 尹 "2032년 달에 탐사선 착륙, 2045년 화성에 태극기 꽂을 것" 랭크뉴스 2024.05.30
28090 "주식도 분할 대상" 최태원·노소영 이혼 판결에 SK 주가 9% 급등 랭크뉴스 2024.05.30
28089 북, 오물 풍선 이어 동해상 탄도미사일 10여발 발사 랭크뉴스 2024.05.30
28088 민희진, ‘배상금 200억’ 보호막 쥐었다…법원 “배신일 뿐 배임 아냐” 랭크뉴스 2024.05.30
28087 SK 주가 급등···최태원, 확정 판결 때 재산분할 액수 어디서 마련하나 랭크뉴스 2024.05.30
28086 헌정사 첫 검사 탄핵 기각‥헌법재판관 5대4 의견 랭크뉴스 2024.05.30
28085 [속보] 법원 “최태원, 노소영에 1조3808억 줘야…SK 주식도 분할” 랭크뉴스 2024.05.30
28084 [속보] 헌재 “양심적 병역거부 36개월 대체복무 합헌” 랭크뉴스 2024.05.30
28083 [마켓뷰] 다시 튀는 美국채금리… 코스피 연이틀 1%대 급락 랭크뉴스 2024.05.30
28082 법원 "SK에 노소영·노태우 기여 인정‥1조 3천808억 재산분할" 랭크뉴스 2024.05.30
28081 "최태원, 노소영에 1조 3800억 원 재산분할…1심 위자료 너무 적다" 랭크뉴스 2024.05.30
28080 법원 "하이브, 민희진 해임안 의결권 행사 안 돼"‥가처분 인용 랭크뉴스 2024.05.30
28079 채상병 사건 사법방해, 용산의 ‘김호중’들 [아침햇발] 랭크뉴스 2024.05.30
28078 법원 "최태원, 노소영에 1조3800억 재산분할" 랭크뉴스 2024.05.30
28077 법원 "민희진, 어도어 독립 지배 모색 분명…배임은 아니다" 랭크뉴스 2024.05.30
28076 강형욱 반려견 레오 ‘출장 안락사’한 수의사 고발당해 랭크뉴스 2024.05.30
28075 [속보] 민희진, 법정다툼 승소…사실상 해임 무산 랭크뉴스 2024.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