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재정이 부족해지면 정부는 일단 급한 대로 한국은행에서 단기 대출을 받습니다.

일종의 마이너스통장 같은 건데요.

정부가 올해 1분기에만 32조 원이 훌쩍 넘는 돈을 빌려다 쓴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통계가 시작된 2011년 이후 최대 금액입니다.

감세 정책으로 세수는 줄었는데 총선을 앞두고 예산 집행을 서두른 탓으로 보입니다.

박진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정부가 올 초부터 2월 말까지 지출한 예산은 약 127조 원.

같은 기간 세입은 97조 원으로 30조 원 적자였습니다.

부동산 공시가격 인하 등 감세 정책의 영향으로 세수가 줄어든 데다, 총선을 앞두고 예산 집행을 서두른 것이 원인으로 꼽힙니다.

실제 SOC사업이나 연구용역 등에 사용하는 정부의 이전 지출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9조 원 가까이 늘었습니다.

[정창수/나라살림연구소 소장]
"(정부) 연구 용역 같은 거 보통은 6월 달이나 가야 집행률 높이려고 막 선금 70% 주겠다하고 그러는데..좀 서둘러 쓴 거죠."

구멍 난 세수에 정부가 손을 벌린 곳은 한국은행이었습니다.

올해 1분기 정부가 한국은행에서 빌려다 쓴 돈은 32조 5천억 원.

2011년 이후 가장 많은 금액으로, 이자만 600억 원이 넘습니다.

현행법상 정부는 급전이 필요할 경우, 액수와 기간을 정해 한국은행에서 일시적으로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직장인들이 흔히 쓰는 마이너스 통장 같은 겁니다.

국채 발행과 달리, 단기 차입금은 잔고만 공개되다 보니 월말에 갚으면 그만입니다.

정부가 빚을 언제 얼마나 끌어다 썼는지 구체적으로 알 수가 없습니다.

그렇다 보니 세수 부족 등 정부의 명확한 재정 상태를 알 수가 없고, 예상치 못한 통화량 증가로 유동성이 늘어 물가 관리가 힘들어질 수도 있습니다.

[우석진/명지대 경제학과 교수]
"국민이 이제 정부가 돈이 수입이 얼마큼 되는지 알아야 되는데 이렇게 되면 설명하는 게 아니라 이제 속이는 셈이 되고.."

한국은행은 올해 초, 단기 국채인 재정증권을 적극 발행하거나 평균 차입 일수·차입액 최소화 등 정부의 차입 조건을 강화했습니다.

하지만 강제성이 있는 건 아니어서, 정부가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끌어다 쓸 수 있는 게 현실입니다.

정부는 "1~3월 기간은 통상 세수가 별로 없어서 일시 차입이 많았을 뿐"이라고 설명했습니다.

MBC뉴스 박진준입니다.

영상편집: 김진우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3997 ECB 총재 "큰 충격 없으면 곧 금리인하" 랭크뉴스 2024.04.17
13996 ‘판매 부진’ 테슬라, 1년 만에 장중 시총 5000억 달러 붕괴 랭크뉴스 2024.04.17
13995 美가정집 2층 뚫은 수상한 물체…알고보니 3년 전 '우주쓰레기' 랭크뉴스 2024.04.17
13994 "아들 이름까지 똑같을 줄이야"…30년만에 만난 中 쌍둥이 자매 '깜짝' 랭크뉴스 2024.04.17
13993 또 세아베스틸…2년 간 노동자 5명 숨졌다 랭크뉴스 2024.04.17
13992 현직 아이돌 매니저가 왜…'김환희 대기실 몰카' 용의자 나왔다 랭크뉴스 2024.04.17
13991 '구독' 도시락 믿고 먹었는데…식중독균 발견된 4개 제품은 랭크뉴스 2024.04.17
13990 중국 선수 1등 몰아주기?‥중국 마라톤 승부조작 논란 랭크뉴스 2024.04.17
13989 이스라엘 "즉각 보복"에서 한 발 물러서‥확전·봉합 갈림길 랭크뉴스 2024.04.17
13988 아들 징역형 구형한 검사에 “너 죽고 나 죽자”…난동 부린 50대 '실형' 랭크뉴스 2024.04.17
13987 [사설] 글로벌 반도체·AI 전쟁…투자·인재 유치전서 거꾸로 가는 한국 랭크뉴스 2024.04.17
13986 외교부, 이란 ‘한시적 특별여행주의보’ 발령 랭크뉴스 2024.04.17
13985 'PF 부실' 저축은행 손실 눈덩이‥태영 총수일가 주식 '무상감자' 랭크뉴스 2024.04.17
13984 세월호 10년, 해양사고는 여전… 매해 100명씩 사망·실종 랭크뉴스 2024.04.17
13983 [영상]"일 년째 연습 중"…공원서 낚싯대 휘두르는 남성 '갑론을박' 랭크뉴스 2024.04.17
13982 윤 '총선 입장'에 여당내 엇갈린 평가‥야당들 "여전한 불통" 랭크뉴스 2024.04.17
13981 무기·성인물·개인정보 포함 AI 필수규제, 기업에 도움되는 이유 [김명주가 소리내다] 랭크뉴스 2024.04.17
13980 미완의 진상규명, 여전한 의문‥"왜 구하지 못했나" 랭크뉴스 2024.04.17
13979 美재무 "對이란 제재 수일 내 채택 예상"…석유수출 겨냥할듯 랭크뉴스 2024.04.17
13978 “어느 곳에서도 본 적 없는 재앙…‘가자의 비극’ 침묵하지 말기를”[논설위원의 단도직입] 랭크뉴스 2024.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