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3회계연도 국가결산보고서 의결
나라 살림 87조원 적자
국민일보 DB


지난해 우리나라의 국가채무가 1126조7000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국가채무 증가 속도가 국내총생산(GDP) 증가율보다 가파르다 보니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처음으로 50%를 넘어섰다.

정부는 11일 국무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2023회계연도 국가결산보고서’를 심의·의결했다.

국가결산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채무를 더한 국가채무는 1126조7000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년 결산보다 59조4000억원 증가했지만 2023년도 예산 대비로는 7조6000억원 감소한 수준이다.

지난해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전년보다 1.0% 포인트 오른 50.4%로 나타났다. 결산 기준으로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이 50%를 넘어선 건 1982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래 처음이다.

정부는 2022·2023년도 본예산에서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을 이미 50%대로 추정했던 바 있다고 설명했다.

1인당 국가채무는 2178만8000원으로 집계됐다. 국가채무를 지난해 통계청 추계인구(5171만3000명)로 나눈 값이다.

국가부채는 2439조3000억원으로 나타났다. 1년 전보다 113조3000억원 증가했다. 재정 적자 보전을 위한 국채 발행 잔액이 60조원 늘었고, 연금충당부채도 48조9000억원 불어난 영향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국가부채는 지급 시기와 금액이 확정되지 않은 비확정부채까지 포함한 개념으로 국가채무와는 다르다”고 설명했다.

국가부채는 장래에 지급해야 할 공무원 연금, 군인연금 등을 미리 추정해 현시점에서 재무제표상 부채로 잡는다. 쉽게 말해 국가채무가 ‘당장 갚아야 할 빚’이라면, 국가부채는 ‘국가가 진 부담 전반’이라고 볼 수 있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은 575조2000억원으로 전년보다 67조6000억원 증가했다.

실질적인 나라 살림살이를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87조원 적자를 기록했다. 관리재정수지는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에서 국민연금 등 4대 보장성 기금 수지를 차감한 것으로 당해 연도 재정 상황을 보여주는 지표로 활용된다.

전년 결산보다 30조원 줄었지만 지난해 예산안 발표 당시 예산안(58조2000억원)보다는 약 29조원 많다.

GDP 대비 관리재정수지 적자 비율은 3.9%였다. 지난해 예산안에서 예상한 수치보다 1.3% 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결과적으로 윤석열정부가 재정준칙에서 제시한 관리 목표(3% 이내)를 넘어서게 된 것이다.

김명중 기재부 재정성과심의관은 “지난해 경기 침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섰다고 보면 된다”며 “세수 감소에 따라 지출을 같이 줄였다면 관리재정수지 목표를 지킬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가 4·10 총선을 의식해 국가결산 결과 발표 시기를 이례적으로 미뤘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현행 국가재정법은 매년 4월 10일까지 전년도 국가결산보고서를 국무회의에서 의결해 감사원에 제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해마다 4월 첫째 주 화요일 국무회의를 열고 결산 안건을 의결해왔다. 10일이 휴일인 경우 그 전에 국무회의를 여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통상의 경우라면 올해도 2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했어야 하지만, 이례적으로 총선 다음 날인 11일에 의결됐다.

정부는 10일이 공휴일일 경우 민법을 준용하도록 한 행정기본법에 근거해 11일까지 국가결산보고서를 제출할 수 있다는 설명을 내놨다.

김 심의관은 “국무회의 일정은 국무총리실에서 여러 가지 사항을 고려해 정한 것으로 안다”라며 “화요일이 아닌 다른 요일에 개최한 적도 있었다”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7989 김효은 "왜 의대 증원 '2000명' 고집하냐는 질문에 답할 수 없었다" [與 3040 낙선자의 고언] 랭크뉴스 2024.04.13
7988 “아이구 허리야” 아픈지 6주 넘었다면…‘이 암’ 일수도 [건강 팁] 랭크뉴스 2024.04.13
7987 '마라게티'도 된다…성수동 '짜파게티 분식점'서만 파는 메뉴들 랭크뉴스 2024.04.13
7986 “예비신랑, 결혼 직전 2억 빚 고백”… 상견례 직후 날벼락 랭크뉴스 2024.04.13
7985 벌써 초여름…전국 맑고 낮 최고 기온 28도까지 올라 랭크뉴스 2024.04.13
7984 전공의 비대위원장 “교수들은 착취 사슬의 중간 관리자…병원은 피해자 행세” 랭크뉴스 2024.04.13
7983 ‘중동 위기’에 국제 금값 온스당 2400달러 첫 돌파 랭크뉴스 2024.04.13
7982 “비행기서 4시간을”…꼭 껴안고 누운 민폐 커플 ‘뭇매’ 랭크뉴스 2024.04.13
7981 “인상률도 타이밍도 ‘와우’”…쿠팡, 총선 끝나자마자 한 일 랭크뉴스 2024.04.13
7980 독일·프랑스 등 자국민에 "이란 떠나라"…이란·이스라엘 긴장 고조 랭크뉴스 2024.04.13
7979 "이란 공격 임박…미국, 미사일 방어 이지스 구축함도 배치" 랭크뉴스 2024.04.13
7978 "정년 뒤 40년, 뭐 먹고 살지?"…40대가 명함보다 먼저 챙길 것 [마흔공부④] 랭크뉴스 2024.04.13
7977 월급 맡겼는데 상품권 받았어요…‘고금리 파킹통장’ 따져보니 랭크뉴스 2024.04.13
7976 튤립 260만 송이의 향연…안면도 튤립꽃박람회 개막 랭크뉴스 2024.04.13
7975 아인슈타인의 뇌, 행운의 미스트… 가상 제품서 위로받는 中 청년들 랭크뉴스 2024.04.13
7974 취업하자마자 빚 굴레…지난해 학자금 체납률 11년만에 최고 랭크뉴스 2024.04.13
7973 데이터가 보여준 큰 병원 쏠림…너도나도 ‘대학병원’ [취재후] 랭크뉴스 2024.04.13
7972 “내가 지키는 여자는 장관님”…멋짐 ‘뿜뿜’한 정치스릴러 ‘보디가드’[오마주] 랭크뉴스 2024.04.13
7971 '채상병 특검' 통과되나‥여당서도 찬성 목소리 랭크뉴스 2024.04.13
7970 둘 중 뭐부터 갚아야 할까요? ①연체 대출 ②대부업 대출…고금리 시대를 사는 법[경제뭔데] 랭크뉴스 2024.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