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가 10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 마련된 개표 상황실로 입장하고 있다.국회사진기자단


22대 총선 투표율이 1992년 14대 총선 이래 32년 만에 역대 최고치인 67.0%를 기록했다. 총선 정국을 장악한 정권심판론과 조국혁신당 돌풍, 사전투표제도 안착 등이 복합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이날 이번 총선 최종 투표율이 67.0%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1992년 14대 총선에서 71.9%의 투표율을 기록한 이래 최근 32년 동안 치러진 총선 중 가장 높은 수치다. 4년 전 2020년 총선 투표율 66.2%보다 0.8%포인트 상승했다. 2022년 대선(77.1%)에 견주면 10.1%포인트 낮다.



지역별로는 세종이 70.2%로 가장 높은 투표율을 기록했다. 세종시만으로 집계된 2012년 이래 역대 가장 높은 투표율이다. 권역별로 보면 서울 69.3%, 전남 69.0%, 광주 68.2%, 경남 67.6%, 부산 67.5%, 전북 67.4%, 울산 66.9%, 경기 66.7%, 강원 66.6%, 대전 66.3%, 인천 65.3%, 충북 65.2%, 경북 65.1%, 충남 65.0%, 대구 64.0%, 제주 62.2% 순이다.

최대 격전지인 서울에서 투표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동작구(72.2%)였다. 동작을 류삼영 더불어민주당·나경원 국민의힘 후보, 동작갑 김병기 민주당·장진영 국민의힘 후보가 각각 맞붙은 곳이다. 치열한 승부가 펼쳐진 탓에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8번이나 찾는 등 여야 모두 표심 결집에 적극 나선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경기에서는 정부종합청사가 있는 과천이 78.1%로 가장 높았다. 부산에서는 현역 후보들 간 대결이 많은 부산 북구(북갑 전재수 민주당·서병수 국민의힘)와 남구(박재호 민주당·박수영 국민의힘)의 투표율이 70%를 넘으며 각각 1, 2위를 기록했다. 충남에서도 공주시·부여군·청양군 투표율이 권역 내 각각 3위, 5위, 1위를 기록할 만큼 열기를 보였다.

역대 총선 투표율은 1대 총선에서 95.5%를 기록한 이래 꾸준히 낮아져 14대 총선 이후로는 70%를 넘긴 적이 없다. 2008년 18대 총선에서는 역대 최저인 46.1%였다가 2012년 19대 총선부터 상승세로 전환됐다.

역대 최고치 투표율은 정권심판론이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민생 경제 위기, 민주주의 퇴행 등 윤석열정부의 총체적 실정에 대한 준엄한 경고가 투표 참여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여론조사기관 미디어토마토가 뉴스토마토 의뢰로 투표일 직전인 지난 7일부터 9일까지 전국 4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60.2%는 ‘이번 총선에서 지지 후보나 지지 정당을 결정하는 이유 중 윤석열 정권을 심판하는 선거가 돼야 한다는 소위 정권심판론 반영 여부에 대한 질문에 “반영했다”고 답했다. “반영하지 않았다”는 답은 34.8%였다(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1.5%포인트). 실제로 방송 3사(KBS·MBC·SBS) 출구조사에서 정권심판론을 주장해온 민주당과 비례위성정당 더불어민주연합이 178~197석을 얻을 것이라는 총선 예측 결과가 나왔다.

조국혁신당 돌풍도 투표율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 조국혁신당은 이번 총선에서 ‘지민비조’(지역구는 민주당, 비례대표는 조국혁신당)라는 구호를 내세웠는데 실제 투표함을 열어 본 결과 정권심판론 분위기를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반윤’ 표심 뿐 아니라 거대 양당에 싫증을 느낀 유권자들 중 일부도 조국혁신당에 투표했을 것으로 분석된다. 조국혁신당은 출구조사에서 11~15석의 비례대표 의석 확보가 예상됐다.

막판 ‘샤이보수’ 결집은 생각보다 크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보수정당의 지지 기반인 대구 지역의 투표율이 전국 최하위권이라는 점에서 이런 분석에 힘이 실린다. 경북 투표율도 전국에서 4번째로 낮다. 대구·경북 뿐 아니라 경남·울산 등도 지난 21대 총선보다 투표율이 줄었다.

투표율 상승은 사전투표 제도가 안착한 결과라는 해석도 나온다. 박원호 서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기자와 통화하면서 “투표율이 높은 것은 민주주의의 굉장히 중요한 지표이기도 하고 우리가 이룬 성과”라며 “다른 것보다 사전투표 제도 자체가 어느 정도 정착 단계에 이른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심판 의미도 있겠지만 투표하지 않으면은 정치가 바뀌지 않는다는 점을 우리 유권자들이 알고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앞서 실시된 이번 총선의 사전투표율 31.28%로, 2016년 총선 사전투표제가 도입된 이래 역대 최고 투표율을 기록했다. 연령별 사전투표자 비중은 60대가 22.7%로 가장 많고 50대 22.5%, 40대 15.7%, 70대 이상 15.0%, 20대 12.9%, 30대 11.3% 순이다. 2020년 21대 총선 사전투표 때는 50대가 21.9%로 사전투표자가 가장 많았다. 60대 18.3%, 40대 17.7%가 뒤를 이었다. 성별로는 20~30대, 70대 이상은 여성, 40~50대는 남성의 사전투표자가 더 많았다. 인용된 여론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2443 한국어시험 대리 응시시킨 중국인 유학생에 징역형 집행유예 랭크뉴스 2024.04.13
12442 개혁신당 "차기 총리, 홍준표로" 洪 "총리 하려 대구 온 거 아니다" 랭크뉴스 2024.04.13
12441 서민 울리는 쿠팡, 와우 멤버십 가격 인상에 대한 몇가지 질문 랭크뉴스 2024.04.13
12440 4월에 40도 넘어 비상사태…역대급 봄 폭염 시달리는 북반구 랭크뉴스 2024.04.13
12439 WSJ “미군, 이스라엘 방어 위해 구축함 2대 긴급 배치” 랭크뉴스 2024.04.13
12438 박용진 “돌부리에 넘어져도 제 책임…사람들과 공감대 넓힐 것” 랭크뉴스 2024.04.13
12437 치킨 가격 올리더니 결국...업계 최강자였던 교촌의 ‘추락’ 랭크뉴스 2024.04.13
12436 주말 초여름 더위, 서울 28도…산불 조심 [주말 날씨] 랭크뉴스 2024.04.13
12435 홍준표 “108석, 국민들이 명줄만 붙여 놓은 것” 연일 비판 랭크뉴스 2024.04.13
12434 도로 중간 정차해 잠든 음주운전자…112 신고로 경찰 출동 랭크뉴스 2024.04.13
12433 토지소유자 감정평가사 추천제도, 개선 필요한 이유[박효정의 똑똑한 감정평가] 랭크뉴스 2024.04.13
12432 ‘참패’한 與, 대통령실 향해 ‘쇄신’ 목소리 분출… “인식 쇄신해야” 랭크뉴스 2024.04.13
12431 홍준표, 또 한동훈 저격 “우리 짓밟던 문재인 사냥개” 랭크뉴스 2024.04.13
12430 전기차 보조금의 역설…테슬라 빼곤 가격 인하 노력이 안 보인다 랭크뉴스 2024.04.13
12429 바삭바삭 입안에서 봄이 부서진다[정연주의 캠핑카에서 아침을] 랭크뉴스 2024.04.13
12428 불확실성 시대, 공급망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법[윤상준의 경영 전략] 랭크뉴스 2024.04.13
12427 시민 인터뷰 유튜브 채널 ‘썰플리’에서 우연히 만나는 즐거움[이진송의 아니 근데] 랭크뉴스 2024.04.13
12426 김효은 "왜 의대 증원 '2000명' 고집하냐는 질문에 답할 수 없었다" [與 3040 낙선자의 고언] 랭크뉴스 2024.04.13
12425 “아이구 허리야” 아픈지 6주 넘었다면…‘이 암’ 일수도 [건강 팁] 랭크뉴스 2024.04.13
12424 '마라게티'도 된다…성수동 '짜파게티 분식점'서만 파는 메뉴들 랭크뉴스 2024.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