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 마련된 제22대 국회의원선거 개표상황실에서 출구조사 결과를 확인고 있다. 박민규 선임기자


더불어민주당의 22대 총선 압승이 가시화되면서 이재명 대표는 윤석열 정부 심판론을 전면에 내세워 승리를 이끈 주인공이 됐다. 총선 내내 그를 괴롭히던 사법 리스크와 공천 리스크도 일정 정도 극복했다. 공천과 탈당을 거치며 당내 당권·대선 경쟁자들은 낙오했다. 이번 총선에서 당내 독주 체제의 정당성을 부여받은 이 대표는 2027년 대선을 향해 달려갈 것으로 보인다. 다만 재판이 끝나지 않았다는 점은 언제든 이 대표의 입지를 흔들 수 있는 돌발 변수다.

이 대표는 선거 운동 기간 내내 정부 심판론을 내세우며 최전방 공격수로 역할을 했다. 공식선거운동 출정식과 마무리 유세도 대통령실이 있는 서울 용산에서 했다. 이 대표는 지난 9일 용산 유세에서 “못 살겠다 심판하자”고 외쳤다. 같은 날 이 대표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선거 30일 전인 3월11일부터 선거운동 마지막 날 4월9일까지 이재명 대표는 전국 방방곡곡 ‘4.10 심판로드’ 6,908km(직선거리 기준)를 누볐다”는 비서실 명의의 글이 올라왔다. 이 대표는 재판 휴정 시간, 유세 지원을 위한 이동 중에도 유튜브 라이브 방송을 이용해 선거 지원을 했다.

총선 승리를 진두지휘한 이 대표는 사법 리스크와 공천 리스크도 어느 정도 걷어냈다. 공식선거운동 13일 중 3일 동안 재판에 출석하는 등 사법 리스크가 이어졌고 여당은 이 점을 공격 포인트로 활용했지만 선거 판세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 공천 갈등도 결과적으로 선거 승리를 통해 정리됐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반발이 있을 때도 계속 혁신 공천이란 점을 강조해왔다”며 “총선 승리로 혁신 공천이란 점이 최종 확인된 것”이라고 말했다. 비이재명계도 선거 운동 과정에서 공천 논란에 대해 승복했다. 임종석 전 문재인 대통령 비서실장, 박용진 의원은 물론 문재인 전 대통령까지 선거 지원에 나서 단일대오를 만들어냈다.

총선 승리의 주역이 된 이 대표의 당내와 야권 내 입지는 더욱 견고해졌다. 당내 경쟁자들은 총선 과정에서 힘이 빠졌다. 임 전 실장, 박 의원 등은 의원직을 확보하지 못했다. 이낙연 새로운미래 공동대표는 지역구에서 낙선하며 입지가 축소됐다. 민주당 관계자는 “사실상 당내에는 경쟁자가 없고, 야권에선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 정도만이 경쟁 주자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오는 8월까지인 임기 동안 대표직을 수행하면서 대선 준비 작업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친명계 인사들이 다수 원내에 진입해 우호 세력도 확대됐다. 차기 민주당 대표는 친명계일 가능성이 높다. 일각에선 이 대표가 재선에 도전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한 민주당 의원은 “총선 경선 과정에서 친명 후보들에 대한 당원 지지가 이렇게 확고할지 우리도 몰랐다”며 “당원들의 구성이 바뀌었다. 총선 이후에도 이 대표 체제는 견고하다”고 말했다.

약점은 남아 있다. 사법 리스크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 이 대표는 공직선거법 위반, 위증교사 의혹, 대장동 의혹 등 여러 재판을 동시에 받고 있다. 재판 결과에 따라 이 대표 거취는 영향받을 수 있다. 총선 승리가 온전히 이 대표의 득점으로 이뤄진 게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 정권심판론이 작동한 결과로 얻은 반사이익일 뿐이지 이 대표에 대한 국민의 긍정 평가는 아니라는 취지다. 앞으로 이 대표가 어떤 비전과 정치로 국민적 지지를 모아갈지는 과제로 남았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7679 '민주 텃밭 이변' 與김재섭 "김건희 특검 요청 받아들여야" 랭크뉴스 2024.04.12
7678 왕의 죽음에 땅 한 토막 없는 이도 눈물 짜는 세상…개혁은 어디에 [책&생각] 랭크뉴스 2024.04.12
7677 케이블타이 미리 준비했다, 남녀 4명 사망한 호텔 객실 보니 랭크뉴스 2024.04.12
7676 "文 사냥개 되어 우리 짓밟던 애" 한동훈 하루 두번 때린 홍준표 랭크뉴스 2024.04.12
7675 이창용 "물가 2.3%보다 높으면 하반기 금리인하 어려워" 랭크뉴스 2024.04.12
7674 쿠팡 멤버십 4,990원→7,890원…당장 내일부터 적용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4.04.12
7673 야자수 잎 모아 해변에 'HELP'…태평양 무인도 구사일생 스토리 랭크뉴스 2024.04.12
7672 금리 하반기 인하도 불투명…유가·농산물 안내리면 해 넘길수도 랭크뉴스 2024.04.12
7671 숨진 女 묶은 케이블타이 미리 준비…파주 호텔 사건 계획범죄 정황 랭크뉴스 2024.04.12
7670 국민의힘 안철수 “채 상병 특검 찬성”, 김재섭 “김건희 특검 전향적 태도 필요” 랭크뉴스 2024.04.12
7669 '술먹고 남의 차 운전' 신혜성 실형 면했다... 2심도 집유 랭크뉴스 2024.04.12
7668 ‘자기사진’ 찍는 젊은 여성은 나르시시스트? 천만에! [책&생각] 랭크뉴스 2024.04.12
7667 미스터피자 이어 알짜사업도 떼냈다... 불안해 하는 ‘상장폐지 위기’ 이 회사 소액주주 랭크뉴스 2024.04.12
7666 대법 “‘친일’ 김성수 서훈 박탈 정당”…증손자 동아일보 사장 패소 랭크뉴스 2024.04.12
7665 "한국 조선소에 어안이 벙벙했다"…美 해군 장관 극찬한 이유 랭크뉴스 2024.04.12
7664 서울민심 2년만에 역전…與, 대선 5%p 앞섰지만 총선서 6%p 밀려 랭크뉴스 2024.04.12
7663 "저 김성회인데요, 당선 축하 그만 좀" 읍소한 사연은 랭크뉴스 2024.04.12
7662 한은 총재 “농산물 가격, 금리로 못 잡아…수입 고민해 봐야” 랭크뉴스 2024.04.12
7661 ‘비민주적 강한 지도자’ 선호 국가 40%…한국은 압도적 반대 랭크뉴스 2024.04.12
7660 “A급인데 7% 준다고?”... 한국자산신탁, 부동산 부실 우려에도 회사채 흥행 성공 조짐 랭크뉴스 2024.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