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아파트값이 치솟던 2021년 전후, 주택 구입 ‘막차’를 탔던 영끌족의 한숨이 깊어진다. 고금리와 집값 하락 '이중고'가 장기화되면서다. 사진은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 뉴스1
최근 회사원 이모(39)씨는 그가 거주하는 서울 도봉구 A 아파트(전용면적 84㎡)에서 6억3000만원 ‘급 매물’이 나왔다는 소식에 깜짝 놀랐다. 2020년 말 이씨는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로 약 7억원에 산 단지다. 집값의 절반은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과 신용대출로 마련했다. 지난 3년간 대출 이자만 갚는데 4000만원(원금 제외)을 쓴 것까지 따지면 돈을 벌긴커녕 1억원 넘게 손해를 본 셈이다.

이씨는 “주담대 금리가 작년보다 하락했지만, 매달 이자(원리금)로 170만원씩 나간다”며 “(집값이 회복하지 않으면) 집을 보유하는 게 손해라, 지금이라도 팔아야 할지 고민된다”고 토로했다.

아파트값이 치솟던 2021년 전후, 주택 구매 ‘막차’를 탔던 영끌족의 한숨이 깊어진다. 고금리와 동거가 지속되고, 집값 회복세가 더디면서 집에 쏟은 금융 비용이 커지고 있어서다.
신재민 기자
요즘 대출 금리는 4~5%대다. 4대 시중은행 (KB국민ㆍ신한ㆍ하나ㆍ우리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평균치)는 지난 5일 기준 연 4.48~5.58%다. 상단 금리가 6% 선을 넘어섰던 지난해 초(연 5.48~6.43%)와 비교하면 오름세가 한풀 꺾였지만, 연 4~5%대 금리는 여전히 높다. 현재 주담대 고정금리(연 3.59~4.69%)도 최고 금리는 4% 중반대다.

문제는 한국은 물론 미국이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우려에 기준금리 인하 시점을 늦추면서 고금리가 당분간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이달 들어 은행채 등 대출 지표금리가 소폭 오른 데다 정부가 가계대출을 억제하고 있어 대출 금리가 (현 수준보다) 급격히 하락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요즘 영끌족이 스트레스를 겪는 가장 큰 원인은 집값이 샀을 때의 가격에도 못 미치고 있어서다. 최근 서울은 강남권을 중심으로 아파트값이 소폭 올랐지만, 고점을 찍었던 2022년 초와 비교하면 여전히 10% 이상 하락했다.

서울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이달 첫째 주(주간 기준) 94.07로 나타났다. 주간 기준으로 매매가격지수가 가장 높았던 2022년 1월 17 일주(104.25)와 비교하면 9.8% 하락했다. 예컨대 2022년 1월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평균)은 11억5172만원에서 현재(지난 2월 기준) 10억5092만원으로 1억80만원 내렸다. 특히 강북권과 강남권 아파트값의 회복 격차는 벌어지고 있다. 지난 1일 강남권 단지가 아파트값 고점(2022년 1월) 대비 7.6% 하락한 반면, 강북권 아파트값은 같은 기간 12.3% 급락했다.
신재민 기자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요즘 전국 아파트 거래량은 한 달 평균 3만 건, 서울 아파트는 2000~3000건 거래돼 부동산 경기가 활황이었던 시기의 20~30% 수준에 불과하다”며 “기준금리가 본격적으로 인하하고, 경기가 회복해야 집값도 반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자 부담과 집값 하락 ‘이중고’가 장기간 이어지면서 영끌족이 흔들리고 있다. 금융투자업계에선 급증하는 임의경매가 그 신호로 해석한다. 임의경매는 아파트 등 부동산을 담보로 돈을 빌린 대출자(채무자)가 이자를 제때 갚지 못하면 채권자가 대출금 회수를 위해 담보물을 경매에 넘기는 절차다.

법원 등기정보광장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집합건물(아파트ㆍ오피스텔ㆍ다세대주택 등) 임의경매 개시 결정 등기 신청 건수는 5336건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3086건) 대비 72.8% 늘었을 뿐 아니라 2013년 1월 이후 가장 많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영끌족이 빚을 감당하지 못하고 주택을 법원 경매로 넘기는 사례가 늘 것으로 예상했다. 경ㆍ공매 데이터 전문기업 지지옥션의 이주현 전문위원은 “현재 임의경매는 코로나19 직전 집을 샀다가 경기가 어려워지면서 2금융권이나 대부업체에서 돈을 빌렸다가 빚을 갚지 못해 (집이) 경매로 넘어간 경우가 많다"면서 “하지만 점차 코로나19 이후 집값이 정점에 달았을 때 무리하게 빚내서 집을 마련했던 영끌족의 주택도 지방을 중심으로 경매 시장에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7450 "김성회인데요, 당선 축하 댓글 그만 다세요" 그가 항변한 이유 랭크뉴스 2024.04.12
7449 총선 참패로 ‘의대 증원’ 후퇴?… 전문가들은 “글쎄” 갸웃 랭크뉴스 2024.04.12
7448 ‘세탁기+건조기’ 벌써 1만대 팔아치운 삼성전자의 전략 랭크뉴스 2024.04.12
7447 ‘원내 3당’ 날개 단 조국혁신당, 최전방 공격수 ‘발톱’ 세웠다 랭크뉴스 2024.04.12
7446 尹대통령·여당의 대변화와 쇄신이 국민의 명령이다 [사설] 랭크뉴스 2024.04.12
7445 뉴욕증시, PPI 완화에 안도하며 혼조 출발 랭크뉴스 2024.04.12
7444 "의사 없다" 심장질환자 응급실 10여곳 뺑뺑이 끝 숨져 랭크뉴스 2024.04.12
7443 윤 대통령 “국민 뜻 받들겠다”…야당과 협치? 이번에도 말만? 랭크뉴스 2024.04.12
7442 “홍보물 모으면 지구 두 바퀴”…‘선거 폐기물’에 몸살 [현장K] 랭크뉴스 2024.04.11
7441 불규칙한 현상도 컴퓨터로 예측·분석… 이스라엘 수학자 ‘튜링상’ 수상 랭크뉴스 2024.04.11
7440 러 '포스트 소련' 우주로켓 안가라-A5 시험발사 성공 랭크뉴스 2024.04.11
7439 참패 한동훈, 전당대회 나오나? 사퇴하며 ‘계속 정치’ 뜻 랭크뉴스 2024.04.11
7438 尹 "국민 뜻 받들어 쇄신"…韓총리·참모진 전원 사의 랭크뉴스 2024.04.11
7437 흉부 수술까지 했는데 "이 환자 아니네"…대만서 황당 의료사고 랭크뉴스 2024.04.11
7436 이준석, 4번째 도전 끝에 국회 입성‥'3석 정당' 한계 넘을까 랭크뉴스 2024.04.11
7435 중국 서열 3위 자오러지 방북…최룡해, 공항서 영접 랭크뉴스 2024.04.11
7434 창당 한 달 만에 '12석 돌풍'‥조국혁신당, 대검 앞에서 첫 기자회견 랭크뉴스 2024.04.11
7433 부산서 수술 못한 50대 심장질환자, 울산 이송 후 숨져 랭크뉴스 2024.04.11
7432 568표 차 초접전 승리 김태선, 울산 동구 첫 민주당 의원 나왔다 랭크뉴스 2024.04.11
7431 홍준표 “한동훈, 깜도 안 되는 초짜…황교안 꼴 난다 예상” 랭크뉴스 2024.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