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다이먼 JP모건 대표, 미 금리 8%까지 치솟을 것 경고
제이미 다이몬 제이피(JP) 모건 최고경영자. AFP 연합뉴스

미국의 금리인하 일정에 먹구름이 끼고 있다. 인플레이션이 예상과는 달리 잦아들지 않고 국채 이자율이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장에서는 오히려 금리 상승까지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시장 금리의 척도인 미국 10년 및 30년 국채 이자율은 지난 8일 각각 4.422%, 4.601%로 지난 11월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10년 국채 이자율은 지난해 말 3.860%로 기록했는데, 연방준비제도(Fed)가 올해 금리 인하 가능성을 내비쳤음에도 불구하고 내리지 않고 오히려 0.55%포인트 가량이나 상승한 것이다.

시장 금리의 오름세는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완화되지 않고, 원자재 가격 상승이 겹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월의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1년 전에 비해 3.2% 올랐다. 이는 시장의 예상치인 3.1%보다도 높다. 지난해 하반기 서방 선진국들은 평균 3% 인플레이션을 보였는데, 올해 들어서는 3.5%라고 세계적 투자은행 제이피(JP)모건은 평가했다. 지난달 29일 미국 상무부가 발표한 개인소비지출 가격지수는 지난 1월까지 12개월 동안 2.4%였는데, 2월 들어서는 2.5%로 올랐다. 이 지수는 연준의 인플레이션 척도 중 하나인데, 가격 등락이 심한 식품 및 에너지는 제외된다. 지난 2월까지 3개월 동안은 연율로 3.5%였는데, 지난해 말에는 2%였다.

인플레이션이 잦아들지 않는 것은 미국 경기가 예상보다도 활황세이기 때문이다. 지난 5일 발표된 미국의 지난달 신규 일자리 수는 30만3천개로 경제분석가들이 예상한 20만개를 훨씬 초과했다.

석유 등 원자재 가격의 상승도 큰 몫을 하고 있다. 미국의 대표적 주가지수인 에스앤피(S&P)500지수는 올해 들어 9.2% 상승했는데, 국제원자재가격지수인 ’에스앤피 지에스시아이(GSCI)’는 11%가 올랐다. 대표적 필수 원자재인 구리와 석유는 각각 10%, 16%가 올랐다.

시장에서는 금리인하 폭에 대한 기대가 급속히 옅어지고 있다. 연준은 지난해 12월 올해 3차례의 금리인하를 시사했고, 이는 아직은 유효하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올해 6차례 금리인하를 해서 현재 5.25~5.5%인 기준금리를 3.75~4%까지 낮출 것이라는 기대도 한때 있었다.

하지만, 최근 시장에서는 올해 말까지 금리는 4.5~4.75% 정도로만 떨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은 보도했다. 올해 금리 인하는 1~2차례에 그칠 것이고, 연준이 6월부터 금리를 인하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도 옅어지고 있다.

연초만 하더라도 연준이 금리를 올해에 7차례나 인하할 수 있다고 시장에서는 기대했다. 하지만, 3월이 지나면서 일부 투자가들은 연준이 올해 금리를 내릴 수 없으며 시장금리가 오히려 치솟을 수 있다고 우려한다.

월가 최대 금융회사인 제이피모건의 제이미 다이먼 최고경영자는 미국 금리가 앞으로 몇 년 뒤 8% 이상으로 치솟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거대한 재정 지출, 녹색경제에 매년 필요한 수조달러, 세계의 재무장, 국제무역의 구조조정 등 이런 모든 것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며 금리 인상을 전망했다. 그는 “시장은 연준이 경기침체를 피하면서 경제를 연착률시킬 가능성을 70~80%로 보는데, 나는 그보다 훨씬 낮다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 29일 “경제가 현 금리 수준으로 고통받지 않는다”며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단언했다. 그는 3일에는 금리 인하에 대한 연준의 기대를 바꾸고 있지는 않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최근 데이터가 전반적인 그림을 윤곽을 실질적으로 바꾸고 있자는 않으나, 2%로 가는 인플레이션 가도는 때론 울퉁불퉁하다”고 말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1111 피치, 중국 신용등급 전망 '안정적→부정적'…中 "매우 유감"(종합) 랭크뉴스 2024.04.10
11110 “이미 투표 했다고?”…신분 도용 투표, 동명이인이었다 랭크뉴스 2024.04.10
11109 ‘이준석 역전’ 힘들거라는 홍준표…“당선되면 다시 힘 합쳐야” 랭크뉴스 2024.04.10
11108 방시혁 총수 되나…'자산 5조 돌파' 하이브 대기업 지정 유력 랭크뉴스 2024.04.10
11107 의사 유치 실패만 5번째…서귀포 47억 건물·장비 1년째 놀고 있다 랭크뉴스 2024.04.10
11106 [속보] 투표율 오후 3시 현재 59.3%…지난 총선보다 2.8%p↑ 랭크뉴스 2024.04.10
11105 "이장이 차로 유권자들 투표소 데려다줘" 신고…경찰 내사 랭크뉴스 2024.04.10
11104 22대 총선 투표율 오후 3시 현재 59.3%‥지난 총선보다 2.8%p 높아 랭크뉴스 2024.04.10
» »»»»» 미 금리인하 일정 먹구름…JP모건 ‘8%까지 인상’ 경고도 랭크뉴스 2024.04.10
11102 씨름장부터 자동차 대리점까지… 이색투표소 눈길 랭크뉴스 2024.04.10
11101 한국 월세 수익률 미국의 절반…기업형 임대주택 성공하기 어려운 이유[아기곰의 부동산 산책] 랭크뉴스 2024.04.10
11100 피치, 중국 신용등급 전망 '안정적→부정적'…"공공재정 위험" 랭크뉴스 2024.04.10
11099 “이장이 차로 유권자 투표소 데려다줬다” 강화군서 또 경찰 신고 랭크뉴스 2024.04.10
11098 22대 총선 투표율 오후 3시 현재 59.3%…지난 총선보다 2.8%p↑ 랭크뉴스 2024.04.10
11097 오후 3시 투표율 59.3%…지난 총선보다 2.8%p 높아 랭크뉴스 2024.04.10
11096 파주 호텔서 남녀 4명 숨진 채 발견…여성 2명 타살 정황 랭크뉴스 2024.04.10
11095 [속보] 총선 투표율 오후 3시 59.3%…21대 보다 2.8%p 높다 랭크뉴스 2024.04.10
11094 파주서 남녀 4명 숨진 채 발견…여성 2명 타살 정황 랭크뉴스 2024.04.10
11093 오후 2시 투표율 56.4%, 지난 총선보다 3.4%p 높아…대구 최저 랭크뉴스 2024.04.10
11092 머스크 "인간 능가 똑똑한 AI, 내년 안에 나올 수도" 랭크뉴스 2024.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