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한동훈 한 달간 유세 현장 발언 뜯어보니]
이재명, 尹 언급만 278회… 전두환 소환도
한동훈, 이재명-조국에 文까지 전선 확장
공통 키워드 '심판'… 李 '정권' 韓 '범죄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상임공동선대위원장이 7일 서울 서초구 양재역사거리에서 열린 홍익표 서초을 후보자에 대한 지원 유세에 참석하고 있다.(왼쪽 사진) 한동훈 국민의힘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이 7일 오후 충남 공주시 공주대 후문 삼거리에서 열린 ‘국민의힘으로 공주 부여 청양 살리기’ 지원유세에서 정진석 공주시부여군청양군 후보의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고영권 기자·공주=뉴시스


유세는 말의 향연이다. 특히 현장에서 선거 사령탑이 외치는 발언에는 여야의 총선 전략이 뚜렷하게 담겨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상임공동선거대책위원장은 윤석열 대통령 저격에 집중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권 심판'을 부각하기 위해서다. 동시에 한동훈 국민의힘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은 의도적으로 무시하며 거론하지 않았다.

반면 한 선대위원장은 이재명 선대위원장과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를 주로 공격하면서 문재인 전 대통령과 온갖 논란의 당사자인 양문석·김준혁 민주당 후보로 전선을 넓혔다. 야당의 공세에 '범죄 심판'으로 맞서기 위한 것이다. 주요 단어로 이 선대위원장은 '경제'를 앞세운 반면 한 선대위원장은 야권의 ‘범죄’ 이미지를 부각했다.

이재명은 尹 집중… 한동훈, 李-曺 심판에 文 소환

시각물_이재명·한동훈 주요 인물 언급 빈도


한국일보는 7일 각 당 홈페이지에 올라 있는 유세 기자회견, 연설문을 전수조사했다. 여야 사령탑은 총선을 앞두고 본격적으로 현장에 뛰어든 지난달 4일부터 이달 6일까지 각각 110회(이재명)와 156회(한동훈) 대중연설에 나섰다. 두 사람의 발언은 총 11만3,347 단어(이재명 5만5,843개, 한동훈 5만7,504개)에 달한다.

서로의 ‘표적’은 확연하게 달랐다. 이 선대위원장은 '윤석열'을 278회 언급했다. ‘전두환’도 14회나 됐다. 5일 충남 천안갑에서는 전두환을 '가장 악독한 정치인'이라며 "그 전두환조차도 권력을 행사함에 있어 국민을 두려워하는 척했다”고 윤 대통령과 연결시켜 비판했다. 반면 '한동훈'이라는 말은 단 한번도 꺼내지 않았다. ‘집권 여당 대표라는 사람’(3월 6일 목동깨비시장 방문)이라고 에둘러 표현한 게 전부다.

이와 달리 한 선대위원장은 여러 과녁을 향해 화력을 쏟아부었다. '조국'을 492회, '이재명'을 470회 거론하며 공격했다. 공식선거운동 이후에는 총 106개 일정에서 '문재인'이라는 표현만 101회에 달했다. 이외에 '양문석'(경기 안산갑)은 163회, '김준혁'(경기 수원정)은 187회 언급했다. 각각 새마을금고 부정대출, 여성혐오 발언으로 논란의 중심에 선 민주당 후보들이다. 특히 '김준혁'은 6일 하루에만 60차례 언급했다. 이들의 이름에 덧붙여 사기(76회), 대출(197회), 막말(52회), 혐오(35회) 등의 표현을 주로 사용했다.

李 '디올백'보다 '대파' 민생 강조… 韓 '범죄자' 겨냥 '이-조' 심판

시각물_이재명·한동훈 주요 언급 단어


이 선대위원장은 ‘경제 실패'에 집중했다. 100회 이상 언급한 단어는 경제(577회), 세금(272회), 미래(245회), 예산(237회) 순이다. 물가 문제를 상징하는 ‘대파’도 41차례 언급했다. 직접 대파를 손에 들고 유세를 펴기도 했다. 선거 초반 정권 심판 구호로 내세웠던 ‘이채양명주’(이태원 참사·채상병 순직·양평 고속도로·명품백 수수 의혹·주가조작 의혹)는 언급이 적었다. 양평은 18차례, 명품은 6회(디올은 5회)에 그쳤다. 김건희 여사 이름은 아예 꺼내지도 않았다.

반면 한 선대위원장은 범죄자(541회), 범죄(150회)라는 말을 반복하면서 “범죄자와 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야권 대표주자인 이 선대위원장, 조 대표 모두 재판 중이라는 점을 겨냥한 것이다. 그는 여당 비상대책위원장 취임 때부터 강조해온 시민을 449회 언급하며 지지자와의 유대감 형성에 주력했다. 정치(848회), 국회(214회)는 이 선대위원장(정치 515회, 국회 140회)보다 많이 언급했다. 한 선대위원장이 지목해온 ‘문제적 인물’들을 국회에 보내면 안 된다는 의미가 담겼다. ‘심판'의 경우 이 선대위원장은 400차례, 한 선대위원장은 135차례 썼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0911 IS, 유럽챔피언스리그 경기장 테러 위협…보안 비상 랭크뉴스 2024.04.10
10910 "딱 한 표 부족‥투표로 나라 구해달라" 랭크뉴스 2024.04.10
10909 구글, 클라우드 판 흔든다…자체 개발 CPU·제미나이 업데이트로 ‘AI 생태계’ 구축 랭크뉴스 2024.04.10
10908 '4개월째 잠행' 김건희 여사, 5일 용산서 사전투표 마쳤다 랭크뉴스 2024.04.10
10907 [총선] 이재명, 재판 출석 후 유세…“국정 실패에 경고장 날려야” 랭크뉴스 2024.04.10
10906 6대 은행, 작년 41건 금융사고 발생… 내부통제 강화도 소용없어 랭크뉴스 2024.04.10
10905 이재명 "권력" 823회, 한동훈 "범죄" 781회…네거티브 말폭탄 랭크뉴스 2024.04.10
10904 재건축 밀어주기에도…리모델링 최대어 '우극신' 그대로 간다 랭크뉴스 2024.04.10
10903 국민의 선택 시작됐다…22대 총선, 전국서 일제히 투표 시작 랭크뉴스 2024.04.10
10902 "5만원이면 고치는데, 140만원 주고 새 폰 사야 될까요?" 랭크뉴스 2024.04.10
10901 전국 1만 4천여 곳에서 본투표 시작‥이 시각 서울 자양동 투표소 랭크뉴스 2024.04.10
10900 [총선] 오늘 밤 당선 윤곽…비례대표는 내일 확정 랭크뉴스 2024.04.10
10899 [사설] 정치를 바꾸고 미래를 만드는 힘, 나의 한 표다 랭크뉴스 2024.04.10
10898 "천천히, 하지만 꼼꼼히"... '느린 직원'만 채용하는 그 식당의 비밀 랭크뉴스 2024.04.10
10897 [비즈톡톡] 구글·오픈AI 이어 MS까지… 인공지능 시대 거점 된 런던 랭크뉴스 2024.04.10
10896 비트코인 ETF, 美보다 더 센 놈 온다… 홍콩도 2분기 중 승인 전망 랭크뉴스 2024.04.10
10895 [구멍 난 기술특례] “A등급 잘 주는 곳 있다”… 기술성 평가 잣대 두고 뒷말 무성 랭크뉴스 2024.04.10
10894 ‘금리 인하 인플레에 달렸다’ CPI 앞두고 숨죽인 뉴욕증시…다우 0.02%↓[데일리국제금융시장] 랭크뉴스 2024.04.10
10893 '신의 입자' 존재 예견한 英 물리학자 피터 힉스 별세(종합) 랭크뉴스 2024.04.10
10892 "의협 비대위 내놔라" vs "못 나간다"… 커지는 의료계 불협화음 랭크뉴스 2024.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