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금주 발표 미 ‘물가지수’ 이목 집중…연준 등 ‘신중’ 발언 속출
국내선 금리 동결 예상 속 12일 금통위 경기 진단 시각에 관심
FAO 유제품 지수 6개월 연속 상승…세계 식량 가격 오름세 전환 7일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수입치즈를 고르고 있다. 지난 7개월간 하락세를 보이던 세계 식량 가격이 오름세로 돌아선 가운데,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유제품 지수가 치즈와 버터 가격 강세로 2.9% 올라 6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연합뉴스


고물가 영향으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6월 금리 인하’ 기대감이 흔들리고 있다. 연준에서 조심스러운 입장과 심지어 ‘금리를 올려야 할 수도 있다’는 발언까지 나오면서다.

시장에서는 이번주 발표되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 수치를 주시하고 있다. 오는 12일 한국은행도 금융통화정책위원회를 개최한다. 10회 연속 동결이 예상되지만 2개월 연속 CPI가 3%대로 오르고 ‘고환율·고유가’ 흐름까지 이어지는 상황에서 매파적 발언이 나올지 주목된다.

최근 들어 연준 인사들은 금리와 관련해 인하 기대감에 찬물을 끼얹는 발언을 잇달아 쏟아내고 있다. 미셸 보먼 연준 이사는 지난 5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열린 한 행사에서 “인플레이션 둔화세가 멈추거나 반등한다면 향후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추가로 높여야 할 필요가 생길 수 있다고 지속적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기본 시나리오는 아니다”라고 전제했지만 “기준금리를 너무 이르게 내리는 것은 인플레이션 반등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고 우려했다.

앞서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도 지난 4일 “3월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인 2%로 계속 하락한다면 올해 두 차례 금리 인하를 단행할 수 있다”며 “하지만 인플레이션이 지금처럼 계속 횡보한다면 금리를 인하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 든다”고 말한 바 있다.

이 때문에 시장에서는 금리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금리 향방을 점쳐보는 미 시카고상업거래소(CME)그룹 페드워치 자료를 보면, 금리선물 시장에서는 6월 금리 인하 가능성이 50.8%로 절반을 겨우 넘었다. 지난달만 해도 60% 이상이었다.

시선은 오는 10·11일 각각 발표하는 3월 CPI, PPI에 쏠린다. 시장에서는 3월 CPI가 전월 대비 0.3%, 전년 동기 대비 3.5% 상승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대라는 연준의 목표치를 웃도는 수준이다. 3월 PPI도 전월 대비 0.3%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예상을 뛰어넘는 숫자가 나온다면 6월 금리 인하 기대감은 더 꺾일 것으로 보인다. 평균 수준을 넘는 미국의 고용 증가세도 수요 측면에서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이고 있다. 최근 6월 금리 인하 관측이 후퇴하면서 미국 국채시장의 금리가 오르기도 했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올해 연준의 경우 물가가 금리를 결정하는 핵심 사안”이라며 “물가 안정이 확인된다면 높아진 금리를 정상화한다는 차원에서 인하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물가를 주목하는 건 한은도 마찬가지다. 12일 금통위가 예정된 가운데 시장에선 금리 동결을 예상하면서도 한은의 경기 진단 시각에 관심이 모인다.

최근 2개월 연속 CPI는 3%대를 기록했다. 원·달러 환율은 1350원을 넘나들고 있고, 국제유가는 연일 연고점을 경신하고 있다. 환율은 수입 물가를 끌어올리고, 유가는 물류비용 등에까지 영향을 준다. 한은의 물가상승률 목표치인 ‘2%대’로 가기엔 험난한 여정인 셈이다. 지난 2월 금통위에서는 장기적으로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두자는 발언이 나왔으나 4월에도 비슷한 입장이 소수의견으로나마 나올 수 있을지 챙겨볼 지점이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7일 “이번 금통위에선 물가 경로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남아 있는 만큼 금리 동결을 통해 물가 둔화 흐름을 좀 더 확인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미 연준의 인하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만 부각되고 있을 뿐 연내 인하 가능성은 유효하다는 점에서 한은 또한 인하 여지를 다시 닫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4451 ‘윤석열은 생각하지 마’…한동훈 총선 메시지가 ‘폭망’한 이유 랭크뉴스 2024.04.20
24450 이란 본토 밖에서도 포화 계속‥사상자 다수 발생 랭크뉴스 2024.04.20
24449 인천 이슬람사원 계획 '없던 일로'…유튜버, 땅계약 해지 랭크뉴스 2024.04.20
24448 대통령실 “이재명 회담, 구체적으로 정해진 바 없어” 랭크뉴스 2024.04.20
24447 연금개혁 토론회…“기초연금 현행 유지” vs “수급 범위 축소” 랭크뉴스 2024.04.20
24446 2달여 만에 순항미사일 도발…북한 “목적 달성” 랭크뉴스 2024.04.20
24445 “살고싶다”며…지하철역서 드러누운 장애인단체들 왜? 랭크뉴스 2024.04.20
24444 대통령실 “회동 날짜·형식 아직 미정”…조국 “나도 만나야” 랭크뉴스 2024.04.20
24443 이창용 한은 총재 “이란·이스라엘 확전 않는다면 환율 안정세로 전환” 랭크뉴스 2024.04.20
24442 인천 청라국제도시 거리서 흉기 휘두른 20대 남성 체포 랭크뉴스 2024.04.20
24441 "인천 이슬람 사원 짓겠다"던 유튜버, 결국 무산…무슨 일 랭크뉴스 2024.04.20
24440 美 아프리카서 힘 빠졌나…'러 밀착' 니제르서 병력 1천명 철수 랭크뉴스 2024.04.20
24439 민주, 'G7 정상회의 초청 불발' 가능성에 "외교 정책기조 전환해야" 랭크뉴스 2024.04.20
24438 인천 '이곳' 길거리서…20대男 흉기로 허공에 수차례 휘둘러 왜? 랭크뉴스 2024.04.20
24437 대통령실 “윤 대통령-이재명 영수회담, 날짜·형식 안 정해져” 랭크뉴스 2024.04.20
24436 중동 위기로 주가 떨어졌지만 ‘이것’ 거래량은 크게 증가 랭크뉴스 2024.04.20
24435 인천서 허공에 흉기 휘두르던 20대 체포…응급입원 조치 랭크뉴스 2024.04.20
24434 딸 사진 올린 나경원 "내 선생님…당선 확정 뜨면 선거사무소 가자고" 랭크뉴스 2024.04.20
24433 머스크, 인도 방문 연기…”모디 총리 만남, 올해 말 기대” 랭크뉴스 2024.04.20
24432 연금개혁 3번째 토론회···“기초연금 현행 유지”vs“빈곤 노인에 집중” 랭크뉴스 2024.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