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동훈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왼쪽)이 7일 충남 서천군 서천특화시장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같은날 서울 서초구 양재역 인근에서 유세하고 있다. 연합뉴스·뉴스1
이틀 앞으로 다가온 4·10 총선의 승부처는 전국 50개 경합지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동시에 꼽고 있다. 서울 한강벨트(11석), 경기 남부 반도체벨트(16석), 부산·경남 낙동강벨트(10석), 충청 중원벨트(13석) 등 이른바 ‘4대 벨트’다. 조진만 덕성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표의 쏠림이 적고, 중도·무당층이 많은 지역이 4대 벨트”라며 “이곳에서 우세한 쪽이 최종 승기를 잡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①‘초접전’ 한강벨트
한강벨트는 마포갑·을, 용산, 중-성동갑·을, 광진갑·을, 동작갑·을, 영등포갑·을 등 11개 선거구다. 민주당 지지세가 강한 강북권이나, 국민의힘이 우세한 강남권과 달리 한쪽 정당 지지세가 강하지 않다. 역대로 한강벨트에서 승리하면 서울 선거도 우세하곤 했다.

김경진 기자

현재까진 초접전 양상이다.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에 등록된 4월 1~7일 공표 여론조사 중 민주당-국민의힘 후보 격차가 5%포인트 이내인 선거구는 6곳(중-성동을, 용산, 동작을, 광진갑·을, 영등포을)이었다. 선거초반 민주당이 우위를 보이다가 최근 국민의힘이 따라붙는 모양새다. 중앙일보·한국갤럽의 중-성동을 여론조사(4월 1~2일, 무선면접)에서 박성준 민주당 후보(43%)와 이혜훈 국민의힘 후보(41%) 격차는 오차범위(±4.4%포인트) 안인 2%포인트였다. 8일 전 조사(JTBC·메타보이스, 3월 25~26일) 때는 9%포인트 격차였다.

이준호 에스티아이 대표는 “최근 접전세로 접어들었지만, 판세를 좌우할 중도층은 물가나 의대 증원 이슈에 대한 불만이 여전하다”며 “민주당이 지난 총선에서 압승한 추세가 이번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②2030·여성표 관건…반도체벨트
경기도 60석 중 16석(27%)이 있는 반도체 벨트도 격전지다. 수원(120만명·5석), 화성(95만명·4석), 용인(108만명·4석), 평택(59만명·3석) 등으로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반도체기업을 낀 대도시여서 경기 남부 여론을 주도한다. 2030세대, 중산층이 많다는 것도 공통점이다.

공식 선거 운동 초반엔 민주당 우위 흐름이 뚜렷했으나 최근에는 민주당 김준혁(수원정) 후보의 ‘이대생 성 상납’ 발언과 공영운(화성을) 후보의 '아빠 찬스' 논란이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김영옥 기자

중앙일보·한국갤럽의 화성을 조사(4월 2~3일, 무선면접)에서 공영운 후보 43%,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31%, 한정민 국민의힘 후보 17%였다. 공 후보 논란에 이 후보 지지세가 오른 모양새다. 여론조사공정·데일리안 수원정 조사(4월 2일, 유·무선ARS)에선 김준혁 후보(49.5%)와 이수정 국민의힘 후보(42.5%) 격차가 오차범위(±4.4%포인트) 이내인 7%포인트였다.

이재묵 한국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김준혁·공영운 논란에 젊은 층과 여성이 얼마나 반응하는지가 관건”이라고 했다.



③PK 요충지 낙동강벨트
낙동강에 인접한 선거구 10석은 이번 총선에도 PK선거의 핵심 지역이다. 지난 총선 당시 선거구가 9석이었을 때는 민주당이 5석, 국민의힘이 4석을 했다.

이번에도 접전 양상이다.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에 등록된 4월 1~7일까지 공표 여론조사 중, 5%포인트 이내 접전인 지역은 4곳(부산 북을·강서·사하을 및 경남 양산을)이다. 낙동강 벨트는 경남 동부권과 부산 중부권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여야가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

김경진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6일 부산 강서구 명지1동에서 사전투표를 했고 이후 부산대병원 권역외상센터를 방문했다. 이에 민주당은 “관권(官權)선거를 중단하고 총선에서 손을 떼라”(강민석 대변인)고 반발했다.

21대 총선에서 부산 18석 중 국민의힘이 15석을 얻었다. 장우영 대구가톨릭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보수 결집 분위기로 국민의힘 후보 지지세가 막판에 3%포인트 이상 오를 것”이라면서도 “4년전에 비해 민주당 약진 분위기가 커진 것도 사실”이라고 전망했다.



④충청 중원벨트
충청권 총 28석 중 대전(7석), 충북 청주(4석), 세종(2석) 등 13석이 양당이 공통으로 꼽는 경합지다. 지난 총선에서 경합지 13석 중 12석을 민주당이 얻어 갔으나 19대(10석 중 민주 6석, 국민의힘 4석)와 20대(12석 중 민주 7석, 국민의힘 4석, 무소속 1석) 등에선 비교적 양분되는 경향이었다.

정근영 디자이너

특히 연구시설이 몰린 대전에선 연구개발(R&D)예산이 화두다. 이재명 대표는 지난 5일 대전 중구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학생들과 사전투표를 한 뒤 “현 정부가 R&D 올해 예산을 삭감한 건 정말 무지하다”고 지적했다. 그러자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7일 대전 유성구 유세에서 “내년 R&D에 역대 최고 수준의 예산을 투입하겠다”고 받아쳤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충청권은 ‘스텔스’라 불릴 만큼 선거날에야 표심이 드러날 수 있어 여야가 막판까지 공을 들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기사에 인용된 여론조사 관련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조)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1233 조국 “국민이 승리했다”… 환호성에 눈물까지 랭크뉴스 2024.04.10
11232 67.0% 투표율, 32년 만에 최고치…세종·서울 높고 대구·제주 낮았다 랭크뉴스 2024.04.10
11231 [총선] 출구조사④이재명 56.1%·원희룡 43.8%…이광재 52.8%·안철수 47.2% 랭크뉴스 2024.04.10
11230 ‘낙선 예상’ 고양갑 심상정 20년 진보정치 역사 속으로···녹색정의당도 원외 유력 랭크뉴스 2024.04.10
11229 '개헌 저지선' 붕괴 가능성에‥국민의힘, 할 말 잃고 '침묵·탄식' 랭크뉴스 2024.04.10
11228 [총선] 출구조사③민심 ‘풍향계’ 서울의 선택은? 랭크뉴스 2024.04.10
11227 범야권 200석 넘으면 가능해지는 것들 [2024 총선과 한국경제] 랭크뉴스 2024.04.10
11226 제22대 총선 투표율 67% 잠정 집계... 32년 만에 최고치 랭크뉴스 2024.04.10
11225 방송3사 출구조사 범야권 압승 예상... 野 “178~197″ 與 “85~105″(종합) 랭크뉴스 2024.04.10
11224 수도권 ‘민주당 87석’ 압승 유력…국힘 우위 6석뿐 랭크뉴스 2024.04.10
11223 22대 총선 최종 투표율 67%‥총선 투표율 중 32년 만에 최고치 랭크뉴스 2024.04.10
11222 분당갑 이광재·안철수 접전…수원정 김준혁 우세[출구조사] 랭크뉴스 2024.04.10
11221 [속보] 계양을 이재명 56.1%·원희룡 43.8% [방송3사 출구조사] 랭크뉴스 2024.04.10
11220 한동훈 "출구조사 결과 실망스럽지만 끝까지 지켜보겠다" 랭크뉴스 2024.04.10
11219 '최대 196석' 출구조사는 민주당 압승…수도권 격전지·낙동강벨트 곳곳 우세 랭크뉴스 2024.04.10
11218 조국혁신당이 ‘기호10번’?…YTN이 전한 방송사고 배경 랭크뉴스 2024.04.10
11217 이재명 56.1% 원희룡 43.8%… 3사 출구조사, 격전지 보니 랭크뉴스 2024.04.10
11216 "범야권, 200석 안팎 압승 전망…與 참패"[지상파3사 출구조사](종합) 랭크뉴스 2024.04.10
11215 "류삼영 52.3% 나경원 47.7%"…한강벨트 5곳 민주 우위, 6곳 박빙 [방송 3사 출구조사] 랭크뉴스 2024.04.10
11214 [2024 총선과 한국경제] 방송 3사 출구조사 민주당 압승 예상···민주당 197석·국민의힘 99석 예상 랭크뉴스 2024.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