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막말 논란’으로 부산 수영구 공천이 취소된 장예찬 전 국민의힘 청년최고위원이 18일 오후 부산 연제구 부산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눈물을 닦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보수 우세 지역인 부산 수영구를 야당에 넘겨줄까. 과거 막말을 이유로 장예찬 전 청년최고위원의 공천을 취소한 이후 여당은 정연욱 후보를 새로 공천했다. 이에 반발해 장예찬 후보가 무소속으로 출마했고 이후 두 후보가 단일화를 이루지 못하면서 지지율 분산을 겪고 있다. 이런 탓에 유동철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어부지리를 얻을 수 있는 상황이다.

장 후보는 ‘윤심(윤석열 대통령의 의중) 후보’, 정 후보는 ‘공식 후보’로 본인을 홍보하며 한 치 양보도 없다는 입장이다. 선거를 진두지휘하는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은 부산 수영을 방문하지도, 별다른 공식 지침을 내놓지도 않고 있다.

7일 경향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이날까지 정 후보와 장 후보는 단일화를 이루지 못했다. 정 후보는 장 후보에게 “선대위원장 자리를 비워두고 있다”며 “수영과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진두지휘해 달라”고 선대위 합류를 제안했다. 하지만 장 후보는 “보수 단일화를 위한 여론조사로 지지층 마음을 하나로 만들어야 한다”며 거절했다.

장 후보는 지난 1일 국민의힘을 향해 “정말 많은 주민들께서 혹시라도 민주당에 유리한 상황이 될까 봐 걱정하고 계시다”며 보수 후보 단일화 경선을 제안했다. 그는 당시 “아무리 불리한 조건이라도 전부 수용하겠다. 여론조사 100%도 좋고, 당원 조사 100%도 좋다”고 말했다.

양측은 단일화 없이도 선거 승리가 가능하다며 서로 양보를 요구하고 있다. 정 후보 측은 통화에서 “(선거) 막판에 오니 유세 현장도 그렇고 ‘보수 위기론’ ‘보수 결집론’이 강해지는 것 같더라”며 완주시 승리를 자신했다. 장 후보는 반대로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수영에 왔을 때 내가 맞불을 놨다. 지역 보수층 여론이 제게 돌아서는 걸 체감하고 있다. 해볼 만한 싸움”이라며 본인 우위가 가능하다고 봤다.

당내에선 두 후보 균열에 따른 불안감이 크다. 김경진 후보(서울 동대문을)는 지난 5일 KBS 라디오에서 “이 문제가 해결이 안 되고 결국 두 후보 함께 출마하면 필패”라며 “역사에 죄를 짓는 행위 아닌가”라고 비판했다. 김 후보는 “의석 한 석 한 석이 소중한 이 상황에서 다들 참 안일하게 대처하고 있다”며 후보 간 협상에 적극적이지 않은 당 지도부를 비판하기도 했다.

한 위원장은 전날인 6일 PK 격전지를 찾으면서도 수영은 들르지 않았다.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 행정관 출신 조지연 국민의힘 후보와 친박근혜계 핵심을 지낸 최경환 무소속 후보가 대결 중인 경북 경산은 들렀다. 한 위원장은 경북 경산역 광장 유세에서 “제가 무소속 복당에 대한 원칙을 이미 확실하게 말씀드렸다”며 “지금 경산의 유일한 국민의힘 후보, 여러분이 뭉쳐주셔야 할 대상은 누군가”라며 조 후보 지지를 호소했다. 지난달 21일 경산에서 밝힌 ‘무소속 복당 불허’ 원칙을 재확인한 것이다. 공천 취소된 도태우 후보(대구 중·남) 출마지가 속한 대구 동성로에선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똘똘 뭉쳐서 대구·경북을 지키고 이 나라를 발전시키고 잘 되게 하려는 마음뿐”이라고 말했다.

한 위원장이 사실상 자신이 쳐낸 장 후보가 탈당 후 출마한 한 수영을 방문하지 않은 것을 두고 여러 해석이 나온다. 장 후보가 ‘윤심 후보’를 자처하는 상황에서 한 위원장이 정 후보 지지에 나서면 대놓고 윤 대통령에 맞서는 모양새가 될 수 있기에 피하려는 것이란 해석이 가능하다. 또 지역 의원 탈당 등 일부 당원 이탈이 있는 상황에서 지역 내 보수층 갈등을 키우기보다는 후보들간 단일화 ‘물밑 합의’를 내심 바라고 있다는 진단도 있다. 장 후보는 이와 관련 “제가 정치적 해석을 하는 건 적절치 않은 듯하다”며 “(단일화 경선은) 계속 열어두고 있을 생각”이라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1070 “푸바오, 서울시 예산으로 유료임대 하자”… 시에 올라온 제안 랭크뉴스 2024.04.10
11069 “YTN 공정방송 규정 무력화”···보도국장 임명취소 가처분신청 랭크뉴스 2024.04.10
11068 "왜 기호 3, 4번부터?" 끝까지 헷갈린 '51.7㎝' 역대 최장 용지 랭크뉴스 2024.04.10
11067 [속보] 4·10총선 오후 1시 투표율 53.4%…21대보다 3.7%p↑ 랭크뉴스 2024.04.10
11066 "조국혁신당이 10번이라니"‥"YTN에 분노" 폭발한 조국 랭크뉴스 2024.04.10
11065 [4·10 총선] 군소정당들도 투표 독려하며 마지막 지지 호소 랭크뉴스 2024.04.10
11064 의협 비대위, ‘정부와 물밑 협상’ 의혹에…“거짓 선동” 랭크뉴스 2024.04.10
11063 "당선되면 다시 한 식구로"‥'尹 심판' 이준석에 손짓 랭크뉴스 2024.04.10
11062 [총선] 민주당 “무능·무책임 정부 여당에 경종 울려 달라” 랭크뉴스 2024.04.10
11061 사전투표함 먼저 개표‥"지역구 새벽 2시 당선 윤곽" 랭크뉴스 2024.04.10
11060 [총선] 22대 총선 투표율 낮 1시 53.4%…지난 총선보다 3.7%p↑ 랭크뉴스 2024.04.10
11059 22대 총선 투표율 오후 1시 53.4%… 지난 총선보다 3.7%p↑ 랭크뉴스 2024.04.10
11058 "K-드라마 같네"…외신, 한국 선거방송에 '재밌다' 시선 랭크뉴스 2024.04.10
11057 낮 1시 투표율 53.4%…4년 전보다 3.7%p 높아 랭크뉴스 2024.04.10
11056 4년간 학비만 5억원…"엄마, 미국 유학 갈래" 말 못하는 이유 랭크뉴스 2024.04.10
11055 22대 총선 투표율 오후 1시 현재 53.4%…지난 총선보다 3.7%p↑(종합) 랭크뉴스 2024.04.10
11054 22대 총선 투표율 오후 1시 현재 53.4%‥지난 총선보다 3.7%p 상승 랭크뉴스 2024.04.10
11053 22대 총선 13시 투표율 53.4%···지난 총선보다 3.7%포인트 높아 랭크뉴스 2024.04.10
11052 [속보] 총선 투표율 오후 1시 53.4%…21대 보다 3.7%p 높다 랭크뉴스 2024.04.10
11051 투표소 오픈런에 귀여운 캐릭터 용지도…‘투표 인증샷’ SNS 달군다 랭크뉴스 2024.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