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추천! 더중플 - 알고 보면 B급 미국 정치 자본주의 사회에서 정치인의 진심을 알고 싶다면 그의 말을 들을 게 아니라, 재산형성과정을 보는 게 나을 겁니다. 총선 후보자들의 재산이 공개되면서 곳곳에서 의혹이 터져 나오고 있습니다. 우리에겐 왜 이런 정치인 밖에 없나 한숨이 나올 때, 눈을 들어 미국을 바라보면 위로가 됩니다. 오늘의 '추천! 더중플'은 '알고 보면 B급 미국 정치'(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123)에서 꼬집은 미국 정치인들의 금전본색입니다.

'The JoongAng Plus(더중앙플러스)'는 지혜롭고 지적인 독자들을 위해 중앙일보의 역량을 모아 마련한 지식 구독 서비스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국가 재산 이삿짐에 넣고 실무자 핑계
클린턴 부부. [AP 연합뉴스]
진보 정치인의 재테크 성공담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다. 그가 천부적인 재테크 기술로 처음 목돈을 쥔 건 1978~79년이다. 주식투자보다 더 위험한 생우 선물(cattle futures) 거래를 통해서다. 1978년 11월 10일 계좌를 트고 1000달러를 예치했고, 1년 뒤 계좌를 닫을 때 수익은 10만 달러에 달했다. 선물거래 무경험자가 단타매매로 100배의 수익률을 냈으니 신기에 가까운 테크닉 아닌가.

투자 기간은 아칸소주 검사장이던 남편 빌 클린턴이 주지사에 막 당선됐을 때와 겹친다. 주지사 당선 3주일 전에 계좌를 만들었고, 선물시장이 폭락하기 직전 절묘하게 빠져나왔다. 이 돈으로 집도 사고 주식과 부동산에도 투자했다. 재산 형성의 듬직한 종잣돈이었던 셈이다. 이 투자가 클린턴에게 정치 자금을 후원한 기업과 연관이 있다는 의혹이 부부가 백악관에 입성한 뒤 수면 위로 올라왔다. 클린턴의 개인 변호사는 “힐러리가 자기 돈으로 리스크를 안고 투자했다”고 주장했다.

클린턴 부부는 백악관을 떠날 때 대통령 재임 중 받은 공식 선물 중 일부를 국가 소유인데도 자기 것처럼 이삿짐에 넣어 반출했다. 소파·의자·식탁 등 2만8000달러어치의 가구들이었다. 이게 2001년 2월 워싱턴포스트의 보도로 드러나자 뒤늦게 반납했다. 실무자의 실수였다는 해명과 함께. 그러나 이들 사례는 클린턴 부부의 재테크 맛보기에 불과하다.

▶ [더 알아보기]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분양계약서 하단의 ‘소름 문구’…클린턴 부부의 금전본색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10358

친노조 성향 펠로시의 무노조 경영 오랫동안 미국 권력 서열 3위를 지킨 낸시 펠로시 전 미국 하원의장은 둘째 가라면 서러운 친노조 성향의 진보 리더다. 전국노조 AFL-CIO의 친노조 성향 채점표에서 4년 연속 100점 기록을 세웠고, 노조 단체에서 정치헌금을 받았다. 힘없는 저임 노동자들에게 펠로시의 강경 친노조 노선은 매우 고무적이다. 펠로시의 친노동 행보는 여기까지다. 그는 의회에서도 열 손가락 안에 꼽히는 부자였다. 2021년 USA투데이가 펠로시의 순자산을 1억600만 달러라고 보도했다. 언론사 추정 액수 중 가장 적은 편이었다.

더 흥미로운 건 경영 스타일이다. 펠로시 부부가 소유하고 있거나 출자한 와이너리, 호텔, 골프장, 레스토랑은 모두 비노조원을 고용하고 있다. 지역구 내의 호텔에서 파업이 일어나면 펠로시는 늘 파업 노조원을 지지한다. 2006년 파업을 준비 중인 샌프란시스코의 한 호텔 근로자는 “낸시 펠로시가 우리 뒤에 있다”며 동료들을 격려하는 글을 인터넷에 올렸다. 펠로시 일가의 호텔, 골프장, 레스토랑 근로자들의 뒤엔 누가 있는지 알 수 없다.

재산 형성 과정에서 이해 상충, 내부정보 유출 등의 잡음도 있었다. 재테크 실력이 워낙 출중하다 보니, 오죽하면 지난해 초 그가 담은 종목을 추종해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까지 나왔다. 이름하여 '언유주얼 웨일즈 서버시브 민주당 트레이딩 ETF(티커명 NANC)'이다.

▶ [더 알아보기]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자산 1500억 펠로시가 친노조? 아, 그대 이름은 ‘호구’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08622

대기업 저격수 이미지만 보고 찍었나 친노조 성향으로는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과 쌍벽을 이루는 인물이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이다. 하버드대 법대 교수였던 그는 영화감독 마이클 무어의 ‘자본주의: 러브스토리’(2009)에 등장해 자본주의를 신랄하게 공격했다. 자본주의와 대기업에 맞서는 여전사처럼 부각된 덕분에 2012년 매사추세츠에서 민주당 상원의원에 당선됐다.

그러나 알고 보니 그는 경매에 나온 압류 부동산을 싸게 사들여 후다닥 수리한 뒤 되팔아 차익을 얻는 방법으로 재산을 불렸다. 교수 시절이던 1993년 3만 달러를 주고 압류 가옥을 사들여 수리한 뒤 5개월 뒤 14만5000달러에 매각한 기록이 있다. 4배 가까이 차익을 남겼다. 이런 거래를 여러 건 했다.

파산법 전문가인 워런은 법대 교수로 재직하면서 여러 대기업의 법률자문도 해줬다. 1995년 대형 석탄업체 LTV스틸의 소송을 도운 게 대표적이다. 소송의 골자는 파산한 석탄 업체가 은퇴한 광부들의 연금과 건강보험료까지 지급해야 하느냐였다. 워런은 LTV스틸 편에서 은퇴 광부들에 대한 연금 지급 책임이 없다고 변론했다. 늙고 힘없는 은퇴 광부들과 다퉜다는 비난이 선거 과정에서 제기됐다. 그래도 워런은 선거에서 이겼고, 광부들과의 소송에서도 이겼다.

▶ [더 알아보기]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늙은 광부 연금도 뺏으려했다…‘진보 여전사’ 워런의 실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09730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1228 [총선] 출구조사③민심 ‘풍향계’ 서울의 선택은? 랭크뉴스 2024.04.10
11227 범야권 200석 넘으면 가능해지는 것들 [2024 총선과 한국경제] 랭크뉴스 2024.04.10
11226 제22대 총선 투표율 67% 잠정 집계... 32년 만에 최고치 랭크뉴스 2024.04.10
11225 방송3사 출구조사 범야권 압승 예상... 野 “178~197″ 與 “85~105″(종합) 랭크뉴스 2024.04.10
11224 수도권 ‘민주당 87석’ 압승 유력…국힘 우위 6석뿐 랭크뉴스 2024.04.10
11223 22대 총선 최종 투표율 67%‥총선 투표율 중 32년 만에 최고치 랭크뉴스 2024.04.10
11222 분당갑 이광재·안철수 접전…수원정 김준혁 우세[출구조사] 랭크뉴스 2024.04.10
11221 [속보] 계양을 이재명 56.1%·원희룡 43.8% [방송3사 출구조사] 랭크뉴스 2024.04.10
11220 한동훈 "출구조사 결과 실망스럽지만 끝까지 지켜보겠다" 랭크뉴스 2024.04.10
11219 '최대 196석' 출구조사는 민주당 압승…수도권 격전지·낙동강벨트 곳곳 우세 랭크뉴스 2024.04.10
11218 조국혁신당이 ‘기호10번’?…YTN이 전한 방송사고 배경 랭크뉴스 2024.04.10
11217 이재명 56.1% 원희룡 43.8%… 3사 출구조사, 격전지 보니 랭크뉴스 2024.04.10
11216 "범야권, 200석 안팎 압승 전망…與 참패"[지상파3사 출구조사](종합) 랭크뉴스 2024.04.10
11215 "류삼영 52.3% 나경원 47.7%"…한강벨트 5곳 민주 우위, 6곳 박빙 [방송 3사 출구조사] 랭크뉴스 2024.04.10
11214 [2024 총선과 한국경제] 방송 3사 출구조사 민주당 압승 예상···민주당 197석·국민의힘 99석 예상 랭크뉴스 2024.04.10
11213 [속보] 총선 최종 투표율 67%… 1992년 이후 최고치 70%엔 못미쳐 랭크뉴스 2024.04.10
11212 [속보]최종 투표율 67.0%…32년 만에 ‘최고’ 랭크뉴스 2024.04.10
11211 ‘기어서 투표’ 세 번 만에 성공한 박경석 대표···“경찰·선관위는 장애인 투표 막지 마라” 랭크뉴스 2024.04.10
11210 [속보] ‘비례’ 민주연합 12~14석, 국민미래 16~19석, 조국당 12~14석[방송 3사 출구조사] 랭크뉴스 2024.04.10
11209 호텔서 20대 남성들 추락 사망…객실엔 여성들 결박당한채 숨져 랭크뉴스 2024.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