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상품수지 66.1억弗 흑자… 11개월째 ‘플러스’
수출, 전년比 3% 증가… 반도체 63% 늘어
서비스수지 적자, 26.6억弗→17.7억弗로↓

올해 2월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68억달러가 넘는 흑자를 기록했다. 작년 5월 이후 10개월 연속 흑자다. 우리나라 수출의 20%를 차지하는 반도체 수출이 60% 이상 증가하면서 상품수지 흑자 폭이 확대된 영향이 컸다.

경상수지란 국가 간 상품, 서비스의 수출입과 함께 자본, 노동 등 모든 경제적 거래를 합산한 통계다. 크게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로 구성된다.

지난 1일 오후 부산항에 컨테이너박스가 쌓여있다.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올해 2월 경상수지는 68억6000만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경상수지는 작년 5월(23억달러 흑자)부터 10개월째 흑자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

수출에서 수입을 뺀 상품수지 흑자 규모가 확대되면서 경상수지 호조를 이끌었다. 2월 상품수지는 66억1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한 달 전(42억4000만달러 흑자)보다 흑자 폭이 23억7000만달러 커졌다. 상품수지는 반도체 업황 개선으로 작년 4월(6억1250만달러) 흑자로 돌아선 후 11개월째 흑자를 내고 있다.

수출은 1년 전보다 3.0% 증가한 521억6000만달러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수출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반도체 수출이 63% 증가한 가운데 기계류·정밀기기도 0.3% 늘면서 수출을 견인했다. 국가별로 보면 동남아(20.1%)와 미국(9.1%), 일본(1.0%)으로의 수출이 증가했다. 중국(-2.4%), 유럽연합(-8.4%) 수출은 감소했다.

수입은 12.2% 줄어든 455억5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원자재 수입이 19.1% 감소한 가운데 자본재 수입도 5.3% 줄었다. 원자재 중에서는 가스와 화공품, 석탄 수입이 각각 48.6%, 23.2%, 17.5% 줄었다. 자본재는 정보통신기기 수입이 31.4% 줄고 반도체제조장비 수입이 12.7% 늘었다.

여행·운송·지적재산권 사용료 등의 거래를 포괄한 서비스수지는 17억7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적자 폭은 한 달 전(26억6000만달러)보다 8억9000만달러 작아졌다. 특허권 및 상품료 수입이 늘어나면서 지재권 수지(-4000만달러) 적자 폭이 4억8000만달러 축소된 영향이 컸다. 여행수지 적자 규모도 14억7000만달러에서 13억6000만달러로 작아졌다.

임금·배당·이자 흐름을 반영한 본원소득수지는 24억4000만달러 흑자로 나타났다. 한 달 전(16억2000만달러)보다 흑자 폭이 8억2000만달러 커졌다. 국내기업이 해외 자회사로부터 수취한 배당수입이 늘면서 배당소득수지 흑자(18억2000만달러) 폭이 4억7000만달러 커졌고, 이자소득수지 흑자도 4억1000만달러에서 7억6000만달러로 확대됐다.

이전소득수지는 4억2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 1월(-1억5000만달러)보다 적자 폭이 커졌다. 이전소득수지는 거주자와 비거주자 사이에 대가 없이 주고받은 무상원조, 증여성 송금 등의 차이를 의미한다.

자본 유출입을 나타내는 금융계정 순자산은 68억5000만달러 증가했다. 올해 1월(+28억1000만달러)과 비교해 증가 폭이 확대됐다. 직접투자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33억달러 늘고, 외국인의 국내투자가 7억1000만달러 줄었다. 증권투자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59억9000만달러, 외국인의 국내투자가 106억5000만달러 증가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75 ‘만취 난동’ 190㎝ 남성…단숨에 제압한 170㎝ 경찰 [영상] 랭크뉴스 2024.04.07
5174 [글로벌 웹3.0]④ 닉 카터 코인메트릭스 의장 “비트코인 출렁거림 잦아들 것… 상승 흐름 탔다” 랭크뉴스 2024.04.07
5173 의료 공백 장기화에 병원 납품 비상...제약·의료기기 기업들도 ‘속앓이’ 랭크뉴스 2024.04.07
5172 “야구는 9회말 투아웃부터” 라지만…어깨 건강 관리는 [일터 일침] 랭크뉴스 2024.04.07
5171 ‘참을 수 없는 졸음’… 춘곤증 아닌 수면장애 등 다른 질환 때문? 랭크뉴스 2024.04.07
5170 고물가의 단면 “편의점 김밥도 자정에야 삽니다” 랭크뉴스 2024.04.07
5169 軍 감시정찰…대만 무인정찰기 vs 중국 무인정찰기, 누가 더 쌔나[이현호 기자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4.04.07
5168 “급발진” 주장 전기차 사고…수습하던 견인 기사 ‘감전’ 랭크뉴스 2024.04.07
5167 "1385만명 참여"…'역대 최고' 총선 사전투표율, 누구 손 들어줄까 랭크뉴스 2024.04.07
5166 선물 팔았다고 전 여친 폭행… ‘중고 패딩’ 매수 가장 30대 집유 랭크뉴스 2024.04.07
5165 박정희가 허허벌판에 일군 창원산단…50년 만에 확 바뀐다 랭크뉴스 2024.04.07
5164 2세 경영 막 오른 스마트홈… 불황 타개법 ‘3인 3색’ 랭크뉴스 2024.04.07
5163 외식비 부담에 가성비 푸드코트 뜬다 랭크뉴스 2024.04.07
5162 '림팩' 곳곳에 한국산 전투함…이제 이런 장면 더 자주 펼쳐진다 [이철재의 밀담] 랭크뉴스 2024.04.07
5161 테슬라 시대 저무나…역성장·보조금 폐기 예고 ‘시름’ 랭크뉴스 2024.04.07
5160 "건보 부정수급 없게"…내달 20일부터 병원진료시 신분증 있어야 랭크뉴스 2024.04.07
5159 "티켓 사면 일본 AV 배우 란제리쇼 관람"... 유튜브 타고 지역 축제까지 침투 랭크뉴스 2024.04.07
5158 '출퇴근은 전기차, 주말엔 하이브리드 패밀리카, 급할 땐 가솔린'…이게 다 된다고? [Car톡] 랭크뉴스 2024.04.07
5157 드라마 속 ‘꿈의 항암제’로 등장한 CAR-T, 실제 美서 난치성 뇌암 임상中 랭크뉴스 2024.04.07
5156 구찌 모기업 케링의 ‘조용한’ 승계 작업…LVMH에 이어 명품 업계 지각 변동 예고 랭크뉴스 2024.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