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3월 소비자물가 3.1% 상승…사과 88.2%·배 87.8%↑ '역대 최고'
토마토 36.1%·파 23.4%↑…석유류, 14개월 만에 상승 전환


(세종=연합뉴스) 박재현 박원희 기자 = 소비자물가가 두 달 연속으로 3%대 오름세를 나타냈다.

과일값 고공행진이 이어지고 있는 데다, 유가 불안까지 더해진 탓이다.

정부는 "3월에 연간 물가의 정점을 찍고 하반기로 갈수록 빠르게 안정화될 것"이라며 2%대 물가 진입에 주력하겠다는 입장이다.

세계 1위 한국 사과값
(서울=연합뉴스) 최재구 기자 = 31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쇼핑객이 사과를 고르고 있다. 국가·도시별 통계 비교 사이트 넘베오(NUMBEO) 조사에 따르면, 지난 26일 기준 사과 1㎏의 가격은 한국이 6.82 달러(약 9124원)로 1위를 기록했다. 2024.3.31 [email protected]


2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94(2020년=100)로 작년 같은 달보다 3.1% 올랐다.

지난 2월(3.1%)과 동일한 상승 폭이다.

지난해 8월부터 3%대에 머물렀던 물가상승률은 올해 1월 2.8%로 '반짝' 낮아졌다가 2~3월 연속으로 3%대를 이어갔다.

물가 오름세를 이끈 품목은 이번에도 농산물, 그 중에서도 과일류였다.

축산물(2.1%)과 수산물(1.7%)은 소폭 오르는 데 그쳤지만, 농산물이 20.5% 뛰었다. 전월(20.9%)에 이어 두 달 연속 20%대 상승 폭이다.

이에 따라 농축수산물은 2021년 4월(13.2%) 이후로 2년 11개월 만에 가장 높은 11.7% 상승률을 기록했다.

단일 품목으로는 사과가 작년 동월 대비 88.2% 상승해 전월(71.0%)보다 오름폭을 키웠다.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0년 1월 이후 역대 최대 상승 폭이다.

배도 87.8% 올라 조사가 시작된 1975년 1월 이후 역대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귤(68.4%) 등도 크게 뛰면서 과실 물가지수는 40.3% 올랐다. 2월(40.6%)에 이어 두 달째 40%대 상승률이다.

과일 물가는 작황 부진과 기저효과 등의 영향으로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다.

정부가 1천500억원의 긴급재정을 투입해 전폭적인 납품단가 지원 등에 나서고 있지만, 별도의 할인은 통계청 조사에 선별적으로 반영되다 보니 물가지수와 체감물가의 격차가 있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주유소 기름값 보합세 지속
(서울=연합뉴스) 류효림 기자 = 이번 주 국내 주유소의 휘발유·경유 주간 평균 판매가격이 좁은 변동 폭을 보이며 보합세를 이어갔다. 지난 30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3월 넷째 주(24∼28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는 L당 1천639.5원으로 직전 주 대비 1.5원 상승했다. 사진은 31일 서울 시내 주유소 모습. 2024.3.31 [email protected]


석유류도 1.2% 상승하면서 물가지수를 밀어 올렸다. 석유류가 작년 같은 달보다 오른 것은 작년 1월(4.1%) 이후 14개월 만이다.

이 때문에 지난 2월 물가지수에서 0.06%포인트 마이너스 기여도를 차지했던 석유류는 3월에는 0.05%포인트 플러스 요인으로 작용했다.

공업제품은 2.2% 올랐다. 신상품 가격 인상에 원피스(14.0%), 티셔츠(10.4%) 등 의류 물가가 주로 올랐다.

기상 등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품목으로 구성된 신선식품지수는 19.5% 올라 6개월째 두 자릿수 상승률을 이어갔다.

신선식품지수 상승률이 6개월 이상 10%를 넘긴 것은 2010년 2월∼2011년 3월 이후 처음이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2.4% 올랐다.

개인 서비스 물가가 3.1% 올라 전월(3.4%)보다 오름폭이 낮아졌다. 외식이 3.4%, 외식외 서비스 물가가 2.9% 각각 상승했다.

보험서비스료(17.9%), 구내식당식사비(5.1%), 공동주택관리비(4.8%) 등이 많이 올랐다.

공공서비스는 택시요금(13.0%), 시내버스료(11.7%) 등이 올라 2.0% 상승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3.8% 상승했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석유류가 올라간 것이 전체적으로 물가를 끌어올린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물가는) 석유류 관련 지정학적 요인과 날씨가 영향을 미칠 것 같다"고 말했다.

정부는 주요국 대비 낮은 2%대의 근원물가에 무게를 두면서 전체 소비자물가도 하반기로 갈수록 빠르게 안정될 것이라는 입장을 유지했다.

기재부는 보도자료에서 "국제유가 변동성이 확대되고 기상 여건 악화 등으로 농산물 가격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등 물가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어 경각심을 갖고 있다"며 "농산물 납품단가 지원, 할인 확대 등을 통해 소비자 체감가격을 인하하는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7749 SPC 허영인 회장 병원서 체포…‘노조 파괴’ 의혹 랭크뉴스 2024.04.02
37748 [속보] 중수본 “의사 집단행동 장기화로 의료 역량 다소 감소” 랭크뉴스 2024.04.02
37747 개미들 고대하던 ‘10만 전자’ 현실로?…"엔비디아에 HBM 공급 주목" 랭크뉴스 2024.04.02
37746 [속보] 정부 “의사들 합리적 방안 제안하면 열린 마음으로 논의” 랭크뉴스 2024.04.02
37745 ‘법원 출석’ 이재명 “천금같은 귀한 시간에 재판 억울···검찰권 남용” 랭크뉴스 2024.04.02
37744 아무 것도 연주하지 않은 연주자가 박수 받은 이유 랭크뉴스 2024.04.02
37743 함운경 "탈당 요구, 성급하게 내질러‥사회적 타협기구 믿고 나가봐야" 랭크뉴스 2024.04.02
37742 서울시, ‘깜깜이 지역주택조합’ 사업 진행 막는다 랭크뉴스 2024.04.02
37741 [속보] 중수본 “합리적 방안 제안 시 논의 가능…의료공백 장기화로 역량 감소” 랭크뉴스 2024.04.02
37740 검찰, ‘소환 불응’ 허영인 SPC 회장 체포 랭크뉴스 2024.04.02
37739 [단독]방심위 ‘윤 대통령 대파 논란’ MBC보도 민원 누가 넣었나?···또 국민의힘 랭크뉴스 2024.04.02
37738 ‘브레이크 이상’ 이륙 안 한 기장, 티웨이항공은 손해 봤다며 징계 랭크뉴스 2024.04.02
37737 보험, ‘엄마 친구’한테 맡기지 말고 직접 따져보자 랭크뉴스 2024.04.02
37736 “백미러 쳤다” 쪽지에…“기분 좋다” 글 남긴 화물차 기사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4.04.02
» »»»»» '金사과·金배'에 유가도 꿈틀…물가상승률, 두 달 연속 3%대(종합2보) 랭크뉴스 2024.04.02
37734 정부 "합리적 방안 제시하면 의료 정책 논의 가능" 랭크뉴스 2024.04.02
37733 삼성엔지, 올해 15조 신규 수주 가능…하반기 주가 상승 UP 랭크뉴스 2024.04.02
37732 이재명, 18차 공판 출석‥"선거에 집중 못 하는 상황 안타까워” 랭크뉴스 2024.04.02
37731 "논리로 무장, 감정은 글쎄"…尹 정치 스타일 드러난 51분 담화 랭크뉴스 2024.04.02
37730 尹대통령 "긴급 농축산물 가격안정자금 무제한·무기한 투입"(종합) 랭크뉴스 2024.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