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4·10 격전지] ‘신 정치 1번지’ 서울 용산
김부겸 더불어민주당 상임공동선거대책위원장(왼쪽 셋째)이 지난 31일 오후 서울 용산구 용문시장에서 이 지역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강태웅 후보(맨 왼쪽)의 지원 유세를 하며 시민들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왼쪽 사진) 권영세 국민의힘 후보가 지난 29일 오전 서울 용산구 후암시장 인근에서 시민을 만나 명함을 나눠 주며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오른쪽 사진) 윤운식 선임기자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서울 용산은 전국 단위 선거에서 서울의 판세를 좌우하는 ‘한강 벨트’ 가운데 한곳이자, 윤석열 정부가 대통령실을 이 지역으로 이전하면서 ‘신 정치1번지’로 떠오른 곳이다. 지난 3차례 총선에선 국민의힘 계열 후보와 더불어민주당 계열 후보가 번갈아 당선됐던, 서울의 대표적인 ‘스윙보터’이기도 하다. 특히 이번 4·10 총선에선 4년 전 불과 890표(득표율 0.66%포인트) 차이로 당락이 갈렸던 서울시 행정1부시장 출신의 강태웅 민주당 후보와 윤석열 정부 초대 통일부 장관을 지낸 권영세 국민의힘 후보가 ‘리턴 매치’를 벌이기에 더욱 관심을 끈다.

하지만 지난 31일 용산에서 만난 유권자들의 표심은 22대 총선을 열흘 남기고도 여전히 혼전 양상이었다. 이태원1동에서 30년 넘게 살았다는 ㄱ(69)씨는 “중도 성향”이지만 이태원 참사 때문에 민주당으로 기울었다고 했다. 그는 “이태원 참사로 그 많은 사람이 희생당했는데 아무도 책임지는 사람이 없다. 51 대 49의 마음으로 민주당 후보를 뽑을 것 같다”고 말했다. 반면 효창공원 인근에서 만난 한 60대는 “대통령실 앞에서 시위하는 사람들 때문에 시끄럽긴 하지만, 그건 시위하는 사람들이 문제”라며 “대통령실 이전으로 용산구 위상이 올라갔다. 정부 지원 차원에서 국민의힘 후보를 밀어줄 생각”이라고 했다.

서울 용산 최근 총선 결과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정부 심판론’과 ‘거야 심판론’도 팽팽히 맞서고 있었다. 20대 대선 때 윤석열 후보(56.44%)와 이재명 후보(39.86%)의 이 지역 득표율 차이가 16.58%포인트에 이르렀을 정도로 용산은 국민의힘에 압도적인 지지를 보냈다. 하지만 후암동에 거주하는 한원희(69)씨는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을 호주(대사)로 보냈다가 언론에서 난리 치니 한국에 들어와서 변명했다. 윤 대통령은 ‘내가 보스’라는 게 몸에 밴 거 같다”며 “정부 심판이 필요해, 민주당(강 후보)을 찍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와는 달리 원효로1동에 사는 안아무개(80)씨는 “이재명 대표는 너무 흠이 많고 스캔들이 많다. 민주당도 (21대 국회에서) 제대로 한 게 뭐가 있나”라며 “이번엔 균형을 맞춰야 하니, 권 후보를 밀어주겠다”고 했다.

이런 민심이 반영된 결과, 강 후보와 권 후보는 각종 여론조사에서 오차범위 내 초접전을 벌이고 있다. 3월26~27일 문화방송(MBC)이 코리아리서치에 의뢰해 용산 유권자 500명을 무선전화면접으로 조사한 결과를 보면, 강 후보에게 투표하겠다는 응답이 42%, 권 후보에게 투표하겠다는 응답이 41%였다. 3월25~26일 제이티비시(JTBC)가 메타보이스에 의뢰해 용산 유권자 502명을 무선전화면접한 결과에서도 강 후보 44%, 권 후보 39%였다. 두 조사는 신뢰수준 95%에 오차범위 ±4.4%포인트로, 두 후보에게 투표하겠다는 응답은 통계적으로 같다.(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누리집 참조)

강 후보는 ‘대통령실 재이전’을 공약으로 내세우며 정부 심판론에 불을 지피고 있다. 강 후보는 한겨레에 “대통령실이 용산으로 온 뒤 교통체증, 주말 집회 등으로 주민들이 불편해한다. 국회에서 재이전의 불씨를 살릴 것”이라고 말했다. 권 후보는 남산 고도제한지구 추가 완화와 노후주택 안전진단 규제 대폭 완화 등 ‘재건축 패스트트랙’ 도입이 주요 공약이다. 재개발·재건축 규제 완화 등을 앞세워 도시개발을 원하는 지역 민심에 호소하겠다는 전략이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437 아무 것도 연주하지 않은 연주자가 박수 받은 이유 랭크뉴스 2024.04.02
44436 ‘법원 출석’ 이재명 “천금같은 귀한 시간에 재판 억울···검찰권 남용” 랭크뉴스 2024.04.02
44435 [속보] 정부 “의사들 합리적 방안 제안하면 열린 마음으로 논의” 랭크뉴스 2024.04.02
44434 개미들 고대하던 ‘10만 전자’ 현실로?…"엔비디아에 HBM 공급 주목" 랭크뉴스 2024.04.02
44433 [속보] 중수본 “의사 집단행동 장기화로 의료 역량 다소 감소” 랭크뉴스 2024.04.02
44432 SPC 허영인 회장 병원서 체포…‘노조 파괴’ 의혹 랭크뉴스 2024.04.02
44431 “생각보다 강단 있는 친구” 송하윤, 6년전 학폭의혹 댓글 랭크뉴스 2024.04.02
44430 [속보] 정부 "의사들 통일된 합리적 방안 제안하면 열린 마음으로 논의" 랭크뉴스 2024.04.02
44429 “폼페이 간접 체험” “화산재 수준” 인천 창고 화재에 난리 랭크뉴스 2024.04.02
44428 면역력도 회춘 가능하다 랭크뉴스 2024.04.02
44427 북, 동해상으로 중거리급 탄도미사일 발사 랭크뉴스 2024.04.02
44426 ‘민주노총 탈퇴 강요’ 허영인 SPC 회장 체포 랭크뉴스 2024.04.02
44425 ①한류 덕 한국에 우호적 ②체형도 비슷...K패션, 국내 입소문 타고 해외로 날다 랭크뉴스 2024.04.02
44424 SKT, 산불 진화 긴급 통신망 구축…‘스타링크’ 활용 랭크뉴스 2024.04.02
44423 법원 “수사·재판 영향 없는 검찰 사건기록, 고소인에게 공개해야” 랭크뉴스 2024.04.02
44422 "조폭보다 죄질 안좋아"…'신발로 폭행' 축협조합장 징역 10개월 랭크뉴스 2024.04.02
44421 日 "北탄도미사일 최고고도 100㎞·650㎞ 비행…北에 엄중 항의"(종합) 랭크뉴스 2024.04.02
44420 화면 45% 커진 ‘갤럭시 핏3’ 내일 출시···처음 지원하는 기능은 랭크뉴스 2024.04.02
44419 젊은 피에서 찾았다…노인, 면역력 회춘의 비밀 랭크뉴스 2024.04.02
44418 [신종수 칼럼] 국회의원과 의사, 되면 너무 좋은 게 문제다 랭크뉴스 2024.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