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강원 인제 미시령옛길 인근의 아프리카돼지열병 울타리로 인해 고립된 지역에서 발견된 산양 사체. 김기범기자.


지난해 11월부터 지난달까지 사체로 발견된 천연기념물 217호 산양의 수가 537마리에 달한다는 통계가 나왔다. 국내 산양의 4분의 1이 넘는 수가 죽어간 사실이 확인되면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울타리를 방치한 환경부로 인한 ‘인재(人災)’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1일 경향신문이 문화재청으로부터 입수한 ‘천연기념물 산양 멸실 신고 목록’을 보면 지난 11월부터 지난달 23일까지 폐사한 산양의 수는 537마리로 집계됐다. 문화재청이 지난 2월말을 기준으로 집계했던 277마리에서 260마리가 더 희생된 것이다. 537마리는 국내 전체에 서식하는 산양 약 2000마리의 4분의 1이 넘는 숫자다.

강원 양구 민통선 부근에서 발견된 산양 사체. 김기범기자.


연도별 산양 폐사 통계를 보면 2019년에는 6마리의 폐사가 확인됐던 것이 2020년에는 97마리로 폭증했다. 이후 2021년 46마리, 2022년 50마리, 2023년 85마리 등의 폐사가 확인됐다. 아프리카돼지열병 울타리가 강원도 등에 집중적으로 조성되기 시작한 2019년 이후 폐사한 개체 수는 805마리에 달한다. 산양 전체 개체 수의 40%에 달하는 숫자다.

연도별, 지역별 산양 폐사 수. 문화재청 제공.


지역별로는 주로 민통선 부근 강원 산간지역과 설악산국립공원 일원에서 많은 폐사체가 발견됐다. 가장 많은 폐사체가 확인된 곳은 225마리가 발견된 강원 양구였고, 화천이 211마리, 고성이 57마리로 뒤를 이었다. 설악산국립공원 일대에서는 62마리가 죽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역은 올겨울 폭설이 내린 데다 이번 산양 대량 폐사의 주 원인으로 지목되는 아프리카돼지열병 울타리가 매우 촘촘하게 설치된 곳이다. 환경부와 지자체가 세운 2중의 울타리로 인해 많은 야생동물이 좁은 구역 안에 고립된 곳이기도 하다.

강원 화천의 민통선 부근 도로에서 농막 비닐에 걸려 죽은 채 발견된 산양 사체. 김기범기자


환경단체들은 지난겨울 전체 개체 수의 26.9%에 달하는 산양 폐사가 확인된 것에 더해 조사가 어려운 민통선 내 지역과 산불통제기간 중이라 확인이 힘든 설악산국립공원 내에 추가로 죽어간 개체들이 있을 것을 우려하고 있다. 실제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모임 등의 모니터링 결과 눈이 녹고, 사람의 접근이 가능한 지역이 늘어나면서 폐사체 수는 점점 늘어가는 추세다.

특히 산양의 대량 폐사가 확인된 2월 이후에도 환경부가 수수방관한 것이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도 나온다. 2월말 기준 277마리가 폐사했음이 확인된 뒤에도 아프리카돼지열병 울타리의 선별적 개방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지 않은 탓에 11~2월 사이 죽은 개체 수와 비슷한 수가 더 죽어갔기 때문이다. 환경부의 방치 속에 민통선 부근과 설악산국립공원 등이 산양의 공동묘지가 돼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지난 21일 강원 양구 민통선 부근 지역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울타리에 가로막혀 헤매고 있는 천연기념물 산양 두 마리. 김기범기자


아프리카돼지열병 울타리가 산양 등 야생동물의 서식지를 파편화시키고, 동물들을 고립시켜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우려는 울타리 설치 이전부터 제기돼 왔다. 지난해 환경부의 용역 연구 보고서와 올해 환경단체의 현지 모니터링에서도 이 같은 현실이 확인된 바 있다. 그러나 환경부는 최근 들어서야 산하기관에 개방이 필요한 울타리를 조사하도록 지시했을 뿐이다.

지난달 21일 강원 양구 민통선 부근 지역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울타리에 가로막혀 헤매고 있는 천연기념물 산양 두 마리. 김기범기자


정인철 국립공원을 지키는 시민모임 사무국장은 “국가가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해 보호 중일뿐 아니라 예산을 들여 증식 사업까지 진행 중인 야생동물이 대량 폐사하도록 방치했다는 점에서 이번 사태는 환경부 책임이 크다”고 지적했다. 그는 “생태 선진국 같으면 환경부장관이 사퇴해야할 일”이라며 “환경부장관이 직접 사과하고, 더 이상의 희생을 막을 수 있도록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점들의 울타리를 즉시 개방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영상]차도와 돼지열병 울타리 사이···떼죽음 위기 천연기념물 산양“앞쪽 울타리 옆에 산양 두 마리가 뛰어가고 있어요!” 지난 21일 오전 강원 화천 평화의댐 인근에서 양구 방산면 방향으로 지방도를 달리던 취재차량 전방에 멸종위기 포유류 산...https://www.khan.co.kr/environment/environment-general/article/202403270600101

[여적] 산양 잡는 ‘ASF 울타리’2019년 9월 경기도 파주의 한 농장에서 어미돼지 5마리가 폐사했다.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었다. 방역당국은 마음이 급해졌다. ‘돼지 흑사병’이라 ...https://www.khan.co.kr/opinion/yeojeok/article/202403261837001

[단독]겁 많은 산양이 도로변까지 내려온 이유···설악산에서 만나보니1일 오전 7시50분쯤 강원 고성군 미시령터널 인근 설악산 남사면 절개지에서 산양 두 마리가 부지런히 먹이를 찾았다. 지난해 태어난 것으로 보이는 새끼와 어미는 고속으로 달리...https://www.khan.co.kr/environment/environment-general/article/202402011503001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997 中동물원서 ‘개처럼 마른 곰’…“돈 없어 채소만 줬다” 랭크뉴스 2024.06.13
43996 노숙 텐트 지키려 불 지른 이주여성 “어떻게 할지 모르겠다” 랭크뉴스 2024.06.13
43995 덴마크 “너무 매워…버리세요” 핵불닭볶음면 리콜에 “그들은 원래…”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4.06.12
43994 [정치행간] 박지원 "'김건희 여사 특검법' 여당 내 반란표 8표 이상 가능성 높다" 랭크뉴스 2024.06.12
43993 日 "한국 또 독도주변 활동, 항의"…韓 "부당 주장에 단호 대응"(종합) 랭크뉴스 2024.06.12
43992 해운업 기웃거리는 롯데·한화… 기존 업계는 반발 랭크뉴스 2024.06.12
43991 오물풍선에 차 유리 박살…“본인 부담금 내야” 날벼락 랭크뉴스 2024.06.12
43990 [영상] 과징금 1400억원…블랙홀 빠진 쿠팡 랭크뉴스 2024.06.16
43989 작년 자살 사망자 4년래 최고, 올 1분기도 '심각'… 재시도 비율도 늘었다 랭크뉴스 2024.06.16
43988 우크라 평화회의, 스위스서 개막…젤렌스키 "새 역사 만들 것" 랭크뉴스 2024.06.15
43987 의협 VS 맘카페...“휴진 동참 병원, ‘불매운동’ 하자” 랭크뉴스 2024.06.15
43986 “밀양 성폭력 피해자, 왜곡된 알 권리에 일상 평온 침해돼” 랭크뉴스 2024.06.13
43985 “임성근, 채상병 장례식도 못 가게…” 당시 대대장 ‘긴급구제’ 신청 랭크뉴스 2024.06.13
43984 “의료계 집단 휴진 철회하라”… 뿔난 환자단체, 첫 대규모 집단행동 랭크뉴스 2024.06.13
43983 서초·수원 오가며 동시에 재판 4개…이재명 ‘사법 리스크’ 가중 랭크뉴스 2024.06.12
43982 휠체어탄 루게릭 환자 "죽더라도 조폭 행동 의사에 의지 포기"(종합) 랭크뉴스 2024.06.12
43981 “바닥도 심장도 덜덜…김정은이가 미사일 쏴부렀는 줄” [현장] 랭크뉴스 2024.06.12
43980 부안군 4.8 규모 지진…유감신고 잇따라 랭크뉴스 2024.06.12
43979 이재명, 4개 재판 동시다발 진행…'사법리스크' 재점화 랭크뉴스 2024.06.12
43978 "부대원 식사" 도시락 480개 주문하고…'노쇼'한 대령 정체 랭크뉴스 2024.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