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역의 의대 한 강의실에서 교수와 학생 각각 1명이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독자 제공
지난 26일 오전 충청도에 있는 한 의대 교육관. 본과 1학년 대사의학(Metabolic Biochemistry) 수업이 시작됐지만, 넓은 강의실에는 교수와 학생 두 명만 있었다. 의대 증원에 반대한 학생들이 집단 휴학계를 내면서 연출된 장면이다. 이 학교 관계자는 “가끔 유급을 받으면 안 되는 사정의 학생들이 있어 1대1 수업이 열리기도 한다”며 “언제까지 이런 비정상적으로 학사를 운영해야 하는지 답답하다”고 말했다.

증원에 반대하는 의대생의 집단 휴학 사태가 6주차에 접어들었지만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27일 교육부는 전날(26일)까지 의대생들이 낸 ‘유효 휴학’ 신청 건수는 누적 8967건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4월 기준 전국 의대 재학생(1만 8793명)의 47.7% 수준이다. 26일에도 382명이 휴학을 신청했지만, 1개교가 휴학계 646건을 무더기로 반려하며 직전 집계(9231건, 49.1%)보다 소폭 줄었다. 유효 휴학계는 보호자 동의 등 학칙에 정해진 형식적 요건을 갖춘 휴학 신청을 말한다.



“휴학 안 하면 책임지라는 동의서 받기도”
다생의 계정에 올라온 글.
휴학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일부 학생들은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다. 최근 서울대 익명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의대생으로 추정되는 글쓴이가 “(휴학 찬성 여론이 거센) 의대 익명 채팅방은 ‘학교로 돌아가고 싶다’는 말을 꺼내기가 힘든 분위기다. 꽉 막힌 상황에서 다른 목소리를 억압하지 말아야한다”고 적었다. 또 다른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자신을 의사라고 밝힌 글쓴이가 아주대 의대생 게시판에 “TF팀, 학생회장, 총장 전화는 패싱해야 한다”는 내용의 글이 올라온 것을 공개하며 “전공의들이 휴학, 수업거부 강요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학교 복귀를 주장하는 ‘다생의(다른생각을 가진 의대생)’ SNS 계정에서도 강압적인 유효 휴학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수도권 의대에 다니는 한 예과 학생은 “휴학에 동참하지 않을 경우 모든 책임을 본인이 지겠다는 서약서를 받더라”며 “비민주적이고 폭력적”이라고 지적했다. 다생의 측은 “강경 행동에 동참하지 않는 구성원은 반역자로 여기고 색출 요구하는 분위기가 있다”며 “휴학계에 개인적 사유로 휴학을 신청하라고 하면서 ‘단일대오’를 유지하라는 말은 어불성설”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는 휴학 강요에 대응하기 위해 별도 신고센터를 26일부터 운영하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왜 휴학계를 받아주지 않느냐’부터 잡다한 민원까지 신고가 들어온다”고 말했다.



학교는 난감…“정부에 반발하는 측면 커, 중재 나서야”
정부가 의대 증원 배분 발표를 한 20일 대구 한 의과대학 강의실이 의대생 집단 휴학으로 인해 조용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학교도 난감한 상황이다. 정부와 의대 구성원들 사이에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으면서 수업이 언제 정상화될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한 지역 사립대 관계자는 “휴학생이 늘면 최악의 경우 증원된 신입생과 복귀한 선배들이 함께 수업을 들어야 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는데 그러면 실험이나 강의 모두 질적으로 저하될 수밖에 없다”며 “학생 수용 여건 때문에 휴학계를 안 받는 게 아니라 못 받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국립대 총장은 “의대 교수들의 단체행동은 학교의 소통 부족보다는 전국적인 증원 상황에 반발하는 측면이 훨씬 크다”며 “결국 정부가 중재에 나서기 전까지는 무더기 휴학, 사표가 해결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379 고양이 잡겠다고…자동차 만신창이 만든 유기견들 [잇슈 SNS] 랭크뉴스 2024.04.03
1378 [정운찬 칼럼] 국회 세종시 이전, 사회적 합의가 우선이다 랭크뉴스 2024.04.03
1377 “이렇게 못하는 정부는 처음”…文정부 실정부터 뼈아프게 반성해야 [사설] 랭크뉴스 2024.04.03
1376 "분노"·"규탄"…국제사회, 구호단체 오폭 이스라엘 맹비난 랭크뉴스 2024.04.03
1375 '875원 대파' 총선 날까지만 판다…농산물 할인도 선거용이냐 뒷말 랭크뉴스 2024.04.03
1374 여의도 봄꽃축제서도 '바가지 음식' 논란 랭크뉴스 2024.04.03
1373 "10만전자도 가능"…외국인, 삼성전자 하루에만 1조 담았다 랭크뉴스 2024.04.03
1372 MC몽 “성유리 남편 안성현, 이승기가 소개…믿었다” 랭크뉴스 2024.04.03
1371 “정부가 주술적 믿음 요구”… 법정 선 의대생들 호소 랭크뉴스 2024.04.03
1370 초3 딸 폰에…“네 애미애비 죽인다” 학폭 문자 충격 랭크뉴스 2024.04.03
1369 민주 “경기·인천 수성” 국힘 “탈환”...승부처 계양을·‘반도체 벨트’ 랭크뉴스 2024.04.03
1368 바이든-시진핑 통화…대만·수출통제 대립 속 “관계 관리” 재확인 랭크뉴스 2024.04.03
1367 [총선 D-7] '낙동강벨트' 곳곳 경합…'스윙보터' 충청권도 혼전 랭크뉴스 2024.04.03
1366 한동훈 “부가세 경감”·이재명 “국민 지원금”… 총선 말말말에 기재부 ‘난감’ 랭크뉴스 2024.04.03
1365 식품업계 사외이사 장악한 ‘전직 관료’…절반 이상이 공정위·식약처 등 유관기관 출신 랭크뉴스 2024.04.03
1364 [단독] 정부, ‘큰손’ 연기금·공제회 PF 현황 전수조사… “당장 문제될 건 없다” 랭크뉴스 2024.04.03
1363 북한 "신형 중장거리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발사 성공"(종합) 랭크뉴스 2024.04.03
1362 전동킥보드 몰다 주차된 화물차 들이받은 40대 숨져 랭크뉴스 2024.04.03
1361 이재명 대신 지역공약만… '정권 심판' 부각한 野 후보 공보물 랭크뉴스 2024.04.03
1360 중국 덮친 역대급 강풍…아파트 주민 날아가 숨져 [잇슈 SNS] 랭크뉴스 2024.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