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고려대·울산대 의대 교수 사직 행렬
환자단체 “의-정갈등 희생될 목숨 아냐”
25일 오전 서울 고려대 안암병원에서 열린 ‘고려대의료원 교수 총회’에서 교수들이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전공의에 대한 면허정지 처분을 미룰 계획인 가운데 의대 교수들은 25일 집단 사직서 제출에 돌입했다. 정부의 일부 태도 변화에도 의대 교수들은 ‘의대 정원 확대 철회’를 요구하며 기존 계획대로 행동에 옮겼다.

25일 19개 의대 비대위가 참여하는 전국의대교수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의대 증원 철회를 요구하며 예정대로 사직서를 제출한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이날 성명서를 내어 “전국적인 전공의 사직, 의대 대량 휴학 및 유급, 중증 및 응급 환자들의 고통, 이로 인한 수련병원 교수들이 한계상황에 몰려 희생자가 나오는 의료 파행을 유발한 것은 정부”라며 “파국을 막지 못한 책임을 통감하며 교수직을 던지고, 책임을 맡은 환자 진료를 마친 후 수련병원과 소속대학을 떠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의대 정원 2000명 증원 안을 대학별 정원 배정으로 기정사실화 하는 시도는 그동안 파국을 막고자 노력한 수많은 희생을 무시하고,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가볍게 여기는 정부의 오만함”이라고도 했다.

이날 오전 고려대와 울산대 의대 교수들은 사직서를 모아 제출했다. 고려대의료원 산하 3개 병원(고대구로·안산·안암병원)의 전임·임상교수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이날 아침 총회를 열고 “의대생·전공의와 함께 바른 의료정책으로 향하고자 3월25일 사직서를 제출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총회가 끝난 뒤 미리 작성해둔 사직서를 수거함에 모아두고 퇴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려대의료원 비대위는 정부에 “전공의·의대생에 대한 비방·위협을 즉시 멈출 것”과 “잘못된 의료 정책과 정원 확대 추진을 철회하고 (의사 단체와) 협의체를 구성할 것”을 요구했다. 울산대 의대 교수 433명도 이날 사직서를 던졌다. 이 학교는 서울아산병원과 울산대병원, 강릉아산병원을 수련병원으로 두고 있다.

전날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과 간담회를 가진 전국의과대학 교수협의회(전의교협)도 ‘의대 정원 증원’ 철회 없이는 대화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전의교협에는 교수협의회가 없는 관동대 의대를 제외한 39개 의대 교수협의회가 참여하고 있다. 이날 김창수 전의교협 회장은 기자회견을 열어 “입학 정원과 정원 배정의 철회가 없는 한 위기는 해결될 수 없으며, 정부의 철회 혹은 검토 의사가 있다면 모든 현안을 논의할 준비가 돼 있다”며 “교수들의 자발적인 사직과 누적된 피로로 주 52시간 근무 중환자 및 응급환자 진료를 위한 외래진료 축소는 오늘부터 예정된 대로 시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의대 교수들의 연이은 사직서 제출에도 정부는 2천명 증원은 양보할 수 없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의사 집단행동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주재해 "27년 만에 이뤄진 의대 정원 확대를 기반으로 의료개혁 과제를 반드시 완수하겠다"며 '의대 증원'은 양보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내세웠다. 조 장관은 또 “전국의과대학 교수협의회가 국민의힘과 간담회를 갖고 정부와의 건설적인 대화에 나설 준비가 되어있다고 한 것에 대해 환영의 뜻을 밝힌다”며 “관계부처가 협의해 의료계와의 대화를 위한 실무 작업에 즉시 착수했으며, 빠른 시간 내에 정부와 의료계가 마주 앉아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환자단체는 “우리의 목숨은 의료계와 정부의 갈등으로 희생되어도 좋을 하찮은 목숨이 아니다”라고 호소했다. 한국백혈병환우회 등 9개 환자단체가 함께하는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이날 성명서에서 “환자의 불안과 피해를 더하는 의료계와 정부의 갈등 장기화에 강한 유감을 표명하며, 의료진의 빠른 복귀는 물론이고 양측이 환자 중심의 의료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나설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41 [총선] 내일부터 공식 선거운동…허용되는 것은? 랭크뉴스 2024.03.27
5140 ‘사자 송곳니’ 뽐내는 4000만원대 ‘수입 아빠차’ 타보니 [별별시승] 랭크뉴스 2024.03.27
5139 100명 넘게 입원시킨 ‘이것’…일본산 붉은 누룩 주의보 랭크뉴스 2024.03.27
5138 ‘3억분의 1 뚫고’… 美서 1조5000억원 초대박 복권 터졌다 랭크뉴스 2024.03.27
5137 전혜진 또 비보…남편 이선균 떠나 보낸지 3개월 만에 시부상 랭크뉴스 2024.03.27
5136 "내 속옷 차림 '바프' 사진이 왜?"…헬스장 블로그에 맘대로 올린 '트레이너' 랭크뉴스 2024.03.27
5135 해군 부사관, 동해서 기동훈련 중 바다에 빠져 숨져 랭크뉴스 2024.03.27
5134 총선 앞 文心 기대는 야권 후보들…文 전 대통령에 ‘러브콜’ 랭크뉴스 2024.03.27
5133 “이마에 총구 겨누고 폭행…성적 학대 당했다” 랭크뉴스 2024.03.27
5132 배우 전혜진, 남편 이선균 떠난 지 3개월만에 시부상 당했다 랭크뉴스 2024.03.27
5131 초과근무 식사비 인상에…MZ 공무원 “초과근무 조장하나” 랭크뉴스 2024.03.27
5130 [총선] “국회 세종 이전해 여의도 정치 종식…서울 개발 제한도 풀겠다” 랭크뉴스 2024.03.27
5129 ‘빅5’ 교수 사직서 받아든 의-정 대치…여당 “의대증원 규모 재논의” 랭크뉴스 2024.03.27
5128 6년 만에 수장 교체된 NH證…윤병운 신임 대표 “첫 과제는 내부 결집” 랭크뉴스 2024.03.27
5127 수갑 채우자 "얼굴 좀 씻고요"…강남 룸살롱 마약女 체포 영상 랭크뉴스 2024.03.27
5126 엔화. 34년만에 최저…긴장한 日당국 “모든 수단 배제 안해 ” 랭크뉴스 2024.03.27
5125 정부 “국민 위한 부담금 폐지·감면”…실질혜택 ‘대기업·건설업’에 쏠렸다 랭크뉴스 2024.03.27
5124 법원 나와 카메라부터 켰다… 이재명 아이디어 '유튜브 정치' 랭크뉴스 2024.03.27
5123 서울 시내버스 파업 D-1…노사 막판 협상 '안갯속' 랭크뉴스 2024.03.27
5122 미국서 젖소 조류인플루엔자 감염 사례 첫 발견 랭크뉴스 2024.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