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고려대·울산대 의대 교수 사직 행렬
환자단체 “의-정갈등 희생될 목숨 아냐”
25일 오전 서울 고려대 안암병원에서 열린 ‘고려대의료원 교수 총회’에서 교수들이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전공의에 대한 면허정지 처분을 미룰 계획인 가운데 의대 교수들은 25일 집단 사직서 제출에 돌입했다. 정부의 일부 태도 변화에도 의대 교수들은 ‘의대 정원 확대 철회’를 요구하며 기존 계획대로 행동에 옮겼다.

25일 19개 의대 비대위가 참여하는 전국의대교수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의대 증원 철회를 요구하며 예정대로 사직서를 제출한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이날 성명서를 내어 “전국적인 전공의 사직, 의대 대량 휴학 및 유급, 중증 및 응급 환자들의 고통, 이로 인한 수련병원 교수들이 한계상황에 몰려 희생자가 나오는 의료 파행을 유발한 것은 정부”라며 “파국을 막지 못한 책임을 통감하며 교수직을 던지고, 책임을 맡은 환자 진료를 마친 후 수련병원과 소속대학을 떠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의대 정원 2000명 증원 안을 대학별 정원 배정으로 기정사실화 하는 시도는 그동안 파국을 막고자 노력한 수많은 희생을 무시하고,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가볍게 여기는 정부의 오만함”이라고도 했다.

이날 오전 고려대와 울산대 의대 교수들은 사직서를 모아 제출했다. 고려대의료원 산하 3개 병원(고대구로·안산·안암병원)의 전임·임상교수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이날 아침 총회를 열고 “의대생·전공의와 함께 바른 의료정책으로 향하고자 3월25일 사직서를 제출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총회가 끝난 뒤 미리 작성해둔 사직서를 수거함에 모아두고 퇴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려대의료원 비대위는 정부에 “전공의·의대생에 대한 비방·위협을 즉시 멈출 것”과 “잘못된 의료 정책과 정원 확대 추진을 철회하고 (의사 단체와) 협의체를 구성할 것”을 요구했다. 울산대 의대 교수 433명도 이날 사직서를 던졌다. 이 학교는 서울아산병원과 울산대병원, 강릉아산병원을 수련병원으로 두고 있다.

전날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과 간담회를 가진 전국의과대학 교수협의회(전의교협)도 ‘의대 정원 증원’ 철회 없이는 대화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전의교협에는 교수협의회가 없는 관동대 의대를 제외한 39개 의대 교수협의회가 참여하고 있다. 이날 김창수 전의교협 회장은 기자회견을 열어 “입학 정원과 정원 배정의 철회가 없는 한 위기는 해결될 수 없으며, 정부의 철회 혹은 검토 의사가 있다면 모든 현안을 논의할 준비가 돼 있다”며 “교수들의 자발적인 사직과 누적된 피로로 주 52시간 근무 중환자 및 응급환자 진료를 위한 외래진료 축소는 오늘부터 예정된 대로 시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의대 교수들의 연이은 사직서 제출에도 정부는 2천명 증원은 양보할 수 없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의사 집단행동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주재해 "27년 만에 이뤄진 의대 정원 확대를 기반으로 의료개혁 과제를 반드시 완수하겠다"며 '의대 증원'은 양보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내세웠다. 조 장관은 또 “전국의과대학 교수협의회가 국민의힘과 간담회를 갖고 정부와의 건설적인 대화에 나설 준비가 되어있다고 한 것에 대해 환영의 뜻을 밝힌다”며 “관계부처가 협의해 의료계와의 대화를 위한 실무 작업에 즉시 착수했으며, 빠른 시간 내에 정부와 의료계가 마주 앉아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환자단체는 “우리의 목숨은 의료계와 정부의 갈등으로 희생되어도 좋을 하찮은 목숨이 아니다”라고 호소했다. 한국백혈병환우회 등 9개 환자단체가 함께하는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이날 성명서에서 “환자의 불안과 피해를 더하는 의료계와 정부의 갈등 장기화에 강한 유감을 표명하며, 의료진의 빠른 복귀는 물론이고 양측이 환자 중심의 의료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나설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1297 [속보] 日기시다 "김여정 담화 보도 구체적 내용 몰라…北과 대화 중요" 랭크뉴스 2024.03.25
41296 경기 띄우기 급급한 中, 좋은 성적만 골라 ‘깜짝 공개’… 역효과 지적도 랭크뉴스 2024.03.25
41295 병장보다 9급 월급이 더 적다? 정부 “내년에도 46만원 많다” 랭크뉴스 2024.03.25
41294 "돌아갈 의욕 없다" 前의협회장이 전한 의대생들 충격 근황 랭크뉴스 2024.03.25
41293 김여정 “기시다, 김정은 직접 만나고 싶다는 의향 전해와” 랭크뉴스 2024.03.25
41292 경찰 “집단사직 조장 상당부분 확인”…의협 간부 추가 입건 랭크뉴스 2024.03.25
41291 한동훈 "세 자녀 이상 대학 등록금 모두 면제"‥저출생 대책 발표 랭크뉴스 2024.03.25
» »»»»» 의대 19곳 교수 본격 줄사표…정부 “개혁 반드시 완수” 랭크뉴스 2024.03.25
41289 [속보] 기시다 “김여정 담화 보도 알지 못해…북과 정상회담 중요” 랭크뉴스 2024.03.25
41288 "검찰 'D캐비닛' 의혹에 경악"‥조국 "국정조사 추진한다" 랭크뉴스 2024.03.25
41287 트와이스 지효-윤성빈 열애설…소속사 "사생활로 확인 불가" 랭크뉴스 2024.03.25
41286 개혁신당 천하람 “윤석열 정부는 조폭정권···꼴에 식구는 끔찍이 챙겨” 랭크뉴스 2024.03.25
41285 '고소에 앙심' 킥보드로 주민차량 가로막은 30대 '스토킹 처벌' 랭크뉴스 2024.03.25
41284 의대 교수 ‘무더기 사직’ 현실화…전남대·조선대 의대교수 사표 랭크뉴스 2024.03.25
41283 망치 등으로 '잔혹고문'…모스크바 테러범, 만신창이로 법정에 랭크뉴스 2024.03.25
41282 ‘민주노총 탈퇴 강요 의혹’ 허영인 SPC 회장 중앙지검 출석 랭크뉴스 2024.03.25
41281 윤 대통령 “특례시 지원 특별법 제정…도지사 권한을 특례시로 이양” 랭크뉴스 2024.03.25
41280 류준열·한소희·혜리 ‘사생활 공방’…클릭은 무죄? 랭크뉴스 2024.03.25
41279 모스크바 테러 사망 137명…전기·망치 고문 당한 용의자 법정에 랭크뉴스 2024.03.25
41278 “증원 전면 백지화” 전국 의대 교수 집단사직서 제출 시작 랭크뉴스 2024.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