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앵커]

중국 대륙의 이커머스죠.

알리 익스프레스와 테무의 쇼핑앱을 쓰는 국내 사용자가 무서울 정도로 급증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기준 알리와 테무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는 모두 합쳐 천 3백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국내 알리 앱 사용자는 쿠팡에 이어 2위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7월 한국 서비스를 시작한 테무는 지마켓을 제치고 8달 만에 4위에 올라섰습니다.

이용자 수가 급증하자 지난해 중국 직구 거래액은 매년 1등을 차지했던 미국을 단숨에 넘어섰습니다.

국내 인터넷 플랫폼에서 비슷한 상품을 파는 우리 소상공인들에겐 큰 타격입니다.

이랑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중국발 해상 특송물의 70% 정도를 처리하는 평택 세관.

쉴 새 없이 택배가 쏟아져 들어옵니다.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중국 플랫폼 기업을 통한 직구가 늘면서 4년 사이 통관 물량은 26배 이상 치솟았습니다.

[이승희/평택직할세관 특송통관과장 : "증가하는 이 물량을 다 처리하기에는 한계에 놓여있습니다. 1일 15,000건 정도를 1인당 처리하고 있습니다. 전국 세관의 약 3배 물량입니다."]

중국산 물품 직구가 크게 는 데는 초저가를 넘어선 극초저가, 빠른 배송이란 전략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광고 사진조차 똑같은 상품이 국내에서는 배송료 포함 14,000원대지만, 알리익스프레스에서는 반값도 안 되는 6,000원에 팔리고 있습니다.

[전병서/중국경제금융소장 : "이것은 쓰나미라고 봐야죠. 150개 나라에 먹히는 비즈니스 모델이 들어왔는데, 이건 위기 정도다 아니다 이런 차원은 이미 지나갔다고 봐야 되는 것이고."]

직격탄을 맞은 건 무엇보다 국내 소상공인들입니다.

중국서 물건을 수입해 파는 경우 알리, 테무와 같은 상품을 팔더라도 관세·부가세와 안전 인증 등의 비용이 발생해 애초 가격 경쟁이 힘든 상황입니다.

[신순교/한국플랫폼입점사업자협회 정책국장 : "기울어진 운동장이 공정하지 못하다는 거잖아요. (매출은) 지금 현재 상황에서는 10~20% 사이 정도 하락세로 보고 있는데요. 40%까지도 지금..."]

반면 중국 플랫폼 기업들은 최근 한국 시장 점유를 위해 더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알리익스프레스의 경우 한국 상품 전문관을 만든 데 이어 최근 즉석밥, 딸기 등 식품에 대한 대대적인 할인을 진행 중입니다.

올해 안에 국내에 대규모 물류센터를 짓는 등 3년 동안 1조 4천억 원을 한국에 투자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연승/단국대 경영학부 교수 : "알리, 테무가 한국 시장을 딱 쥐었다, 그 다음 그때부터는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뭐 수수료도 올릴 수 있고, 마케팅도 지금처럼 안 할 수 있는 거죠."]

정부는 최근 중국 플랫폼 기업에 국내법과 동일한 규제를 적용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실효성이 얼마나 있나가 관건입니다.

[신지혜/한국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해외 사업자한테 곧바로 (규제를) 강제한다고 해서 해외 사업자가 사실 그걸 따를 리가 없기 때문에 그런 측면에서 방안을 마련해야 되고요."]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잡기 위해선 토종 플랫폼 기업과 소상공인들이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상생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KBS 뉴스 이랑입니다.

촬영기자:이상훈 김태현/영상편집:차정남/그래픽제작:박미주 최창준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1428 푸틴 5선 되자마자 구멍뚫린 러 안보…지정학 리스크 고조 [모스크바 테러] 랭크뉴스 2024.03.24
41427 총선 앞 ‘의료공백’ 악재…당정 출구 전략은 ‘중재자 한동훈’? 랭크뉴스 2024.03.24
41426 尹 "의사 면허정지 유연 처리 모색하라"…韓 건의 수용(종합2보) 랭크뉴스 2024.03.24
41425 “바먕갱? 밤냥갱? 어떻게 읽어요, 밤양갱?” 랭크뉴스 2024.03.24
41424 윤 대통령 “미복귀 전공의, 당과 협의해 유연한 처리 방안 모색” 랭크뉴스 2024.03.24
41423 ‘26일 전공의 면허정지’ 예고 뒤집힐까…윤 “유연한 처리” 지시 랭크뉴스 2024.03.24
41422 대통령 '대화' 언급에 의사들 엇갈려…"긍정 신호"vs"2천명부터" 랭크뉴스 2024.03.24
41421 러 전역 ‘애도의 날’…푸틴 “배후 찾아내 응징” 랭크뉴스 2024.03.24
» »»»»» “이러다 다 죽어요” 국내 소상공인들 “정부 차원 대응 절실” 랭크뉴스 2024.03.24
41419 “잠 못자고 환자 보더니” 40대 대학병원 교수 돌연 사망에 의료계 패닉 랭크뉴스 2024.03.24
41418 이스라엘군 "알시파 병원서 체포한 800명중 하마스 480명" 랭크뉴스 2024.03.24
41417 의대교수 사직 D-1…"폐암수술 무기한 연장" 환자만 피마른다 랭크뉴스 2024.03.24
41416 이재명 "대통령 없는 게 나았을 것…무식한 양반들아" 발언 논란 랭크뉴스 2024.03.24
41415 이종섭 총선용 ‘방탄체류’ 하나…방산회의 이후 일정 오리무중 랭크뉴스 2024.03.24
41414 40대 대학병원 의사 집에서 숨진 채 발견…과로사 여부 확인중 랭크뉴스 2024.03.24
41413 ‘파묘’ 천만 관객 돌파…‘오컬트’ 영화 최초 랭크뉴스 2024.03.24
41412 음주운전 사망사고가 3일 전인데…천안서 2시간만에 13명 적발 랭크뉴스 2024.03.24
41411 "사격장 같았다"…세계 곳곳 콘서트·축제 '최악의 테러' 악몽 랭크뉴스 2024.03.24
41410 암 걸린 며느리 수혈하자…"몰상식한 X" 시엄마 분노한 까닭 랭크뉴스 2024.03.24
41409 국민의힘, 이재명 '선거법 위반' 고발… 野, 한동훈 고발에 맞불 랭크뉴스 2024.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