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IS는 왜 서방에서 러시아로 조준점 틀었나
우크라 침공 뒤 중앙아시아 지역세력 공백이 계기
24일 러시아 수도 모스크바 의회 건물에 걸린 러시아 국기가 이틀 전 발생한 콘서트장 테러 사건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의미로 반기로 게양되어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이슬람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단체인 ‘이슬람국가’(IS)의 테러 위협은 한때 소멸한 듯 보였지만, 우크라이나 전쟁 뒤 서방과 러시아의 대결을 계기로 다시 부상하고 있다.

22일(현지시각)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발생한 콘서트장 테러 직후 이슬람국가의 분파인 이슬람국가호라산은 자신들이 범행을 저질렀다고 밝혔다. 이번 사건은 이슬람국가호라산을 포함한 이슬람국가 세력이 최근 서방과의 대립으로 취약해진 러시아와 이란 등으로 테러 공격 방향을 틀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서방과의 대결로 취약해진 러시아·이란 겨냥

‘이슬람국가’는 2015년 시리아와 이라크 일부를 점령하며 세력을 키워, 한때는 국가를 자처하는 수준에 이른 적도 있었다. 지난 2015년 11월 파리 도심에서 130여명이 시민이 희생된 파리 동시테러를 포함해 벨기에, 프랑스, 오스트리아 등 서방에서 대형 테러 사건도 저질렀다.

그러나, 미국과 프랑스, 아랍 국가 등이 전쟁을 벌여 이슬람국가는 2017년 10월 자칭 수도였던 시리아 라카를 잃고, 이라크와 시리아 일대에서 세력이 거의 소멸됐다. 서방을 대상으로 한 테러도 잠잠해졌다.

하지만, 이슬람국가 세력이 완전히 소멸된 것은 아니었다. 이슬람국가 절정기 때인 2015년에 만들어진 아프가니스탄 일대의 분파인 이슬람국가호라산 등은 세력을 유지해오다가, 이번에 모스크바 테러까지 저질렀다.

이슬람국가호라산의 테러 위협이 본격적으로 알려진 것은 2021년 8월 미군의 아프가니스탄 철수 때였다. 이슬람국가호라산은 카불 공항에서 폭탄테러를 저질러, 미군 13명 등이 숨지게 했다. 수니파 이슬람주의 무장세력들로 결성된 이슬람국가호라산은 미군 철수에 즈음해 아프간을 장악한 탈레반에 맞서며 입지 확보에 나섰다.

2022년 2월 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일어난 전쟁은 중앙아시아 일부 지역 세력 공백을 일으켰고, 이슬람국가호라산 테러 무대 확대의 계기가 됐다.

서방에서 이슬람주의 테러 세력에 대비한 보안이 강화된 점도 이들이 러시아나 시아파 이슬람 국가인 이란 등으로 공격 방향을 바꾼 배경이다. 2022년 9월 러시아 외교관 2명 등을 숨지게 한 카불 주재 러시아 대사관에 대한 테러가 이런 흐름의 신호였다. 지난 1월 84명이 숨진 가셈 솔레이마니 이란혁명수비대 사령관 추모식 테러 때도 이슬람국가가 자신들이 벌인 일이라고 밝혔다. 당시 구체적으로 이슬람국가 어느 세력이 테러를 실행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이슬람국가호라산을 지목하는 이들이 많았다.

이슬람국가 호라산

이슬람국가나 알케에다 등 수니파 이슬람주의 무장세력은 원래 1980년대 소련의 아프간 침공에 맞서는 무자헤딘 투쟁 때 미국의 지원으로 성장했다. 이들에게 서방뿐만 아니라 소련의 후신인 러시아도 이슬람 통치를 억압하는 불경한 세속주의 정권에 불과하다.

특히, 러시아는 이슬람국가 세력에는 시리아에서 경쟁하던 바샤르 아사드 시리아 정권을 돕고, 자신들의 세력권을 와해시키는데 일조한 국가이기도 하다.

또한, 러시아는 소련 붕괴 이후 체첸 등에서 일어난 무슬림 지역 분리주의 독립운동을 강경 진압했고, 이는 중앙아시아 무슬림 사이에 반감을 고조시켰다.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출신 등의 일부 무슬림은 이슬람국가에 합류하는 인력 자원이 되어왔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1465 가발 쓰고 치마까지 입고…수영장 여자 탈의실에 들어간 '그놈' 랭크뉴스 2024.03.24
» »»»»» ‘러시아 테러’ IS호라산, 우크라전쟁 이후 활동공간 넓어졌다 랭크뉴스 2024.03.24
41463 尹대통령, 한동훈 요청에…“면허정지 유연 처리 모색하라” 랭크뉴스 2024.03.24
41462 윤 대통령 "의사 면허정지 유연 처리" 당부‥"한동훈 요청에 따른 것" 랭크뉴스 2024.03.24
41461 시진핑·미 CEO 회동 이뤄질까…‘팀 쿡 참석’ 중국발전포럼 개막 랭크뉴스 2024.03.24
41460 20대그룹 임원 월급, 임직원의 11배…삼성·신세계 19배 차이 랭크뉴스 2024.03.24
41459 英왕세자빈 암투병 고백…반목 시동생 부부도 위로 랭크뉴스 2024.03.24
41458 아이들 꼭 안은 채 죽은 엄마도… 끔찍한 러 테러 참상 랭크뉴스 2024.03.24
41457 의료계 만나 중재자로 나선 한동훈…의·정 갈등 총선 호재로 전환할 수 있을까 랭크뉴스 2024.03.24
41456 조국 “尹 정권, 좌파·우파도 아닌 대파 때문에 망할 것” 랭크뉴스 2024.03.24
41455 尹 "전공의 면허정지 당과 유연한 처리" 지시... '중재자' 한동훈 요청에 곧장 응답 랭크뉴스 2024.03.24
41454 "넌 한 달 동안 왕따야"…투표로 뽑아 '학폭'하는 게임에 비상 걸린 학교들 랭크뉴스 2024.03.24
41453 한미약품 임주현 사장 “OCI 통합 후 3년간 주식 처분 안할 것...형제들, 웃돈 얹어 팔려하지 말라” 랭크뉴스 2024.03.24
41452 “불백 하나요”…전국노래자랑 ‘막방’서 김신영 놀래킨 이것 랭크뉴스 2024.03.24
41451 '홈캠'에 자동 녹음된 남편-시댁 대화 엿들은 아내…대법 "무죄" 왜? 랭크뉴스 2024.03.24
41450 “숨겨진 계열사 공시 누락” DB하이텍 소액주주, 주총 앞두고 소송 랭크뉴스 2024.03.24
41449 한 요청하고, 윤 즉각 수용…의·정 갈등 풀기로 총선 돌파구 찾나 랭크뉴스 2024.03.24
41448 "전향적인 조치"‥사직서 제출 보류될까? 랭크뉴스 2024.03.24
41447 尹 "당과 면허정지 유연히 협의"…한동훈 요청에 강경론 접었다 랭크뉴스 2024.03.24
41446 ‘26일 전공의 면허정지’ 예고 뒤집힐까…윤, “유연한 처리” 지시 랭크뉴스 2024.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