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수백 명의 사상자를 낸 러시아 모스크바 공연장 테러 공격 배후를 놓고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미국은 공격 배후를 이슬람국가(IS)로 지목했지만,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연관성을 시사하며 보복을 경고했다. 미국은 이번 테러와 관련한 정보를 사전 입수하고 이를 러시아에 전달했지만, 러시아는 불안감을 조성하려는 위협으로 평가하며 이를 무시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은 23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미국은 모스크바에서 발생한 극악무도한 테러 공격을 강력히 규탄한다”며 “무고한 시민을 대상으로 한 비양심적인 공격의 희생자 가족과 부상자 등에게 깊은 애도를 표한다”고 밝혔다. 또 “IS는 모든 곳에서 물리쳐야 할 공동의 적”이라고 강조했다. 이란과 아프가니스탄 등에서 활동하는 IS 지부인 IS-K(호라산)는 자신들이 이번 공격의 배후라고 자처했는데, 이를 인정한 것으로 해석된다.

미국은 이달 초 이미 IS의 러시아 테러 계획 정보를 입수하고 이를 러시아 측에 전달했다. 에이드리언 왓슨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대변인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미국 정부는 이달 초 모스크바에서 콘서트장을 포함해 대형 모임을 대상으로 하는 테러리스트 공격 계획에 대한 정보를 입수했다”며 “국무부는 러시아 내 미국인들을 대상으로 한 주의보를 발표했다”고 말했다. 또 “미국 정부는 ‘경고 의무’에 관한 정책에 따라 러시아 당국에도 해당 정보를 공유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러시아 주재 미국 대사관은 지난 7일 “극단주의자들이 모스크바에서 콘서트 등 대규모 모임을 표적으로 삼을 계획이 임박했다는 보고를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대규모 집회 참석 자제를 촉구하는 보안 경보를 내렸다.

뉴욕타임스(NYT)는 “미국 관리들은 IS 대원들이 러시아에서 활동해 왔고, 테러 계획을 세울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다”며 러시아 주재 미국 대사관 경보와 관련한 정보를 러시아 정부에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대테러 분석가 콜린 클락크는 “IS 호라산은 지난 2년간 러시아에 집착해 왔다”며 “모스크바가 아프가니스탄, 체첸, 시리아에 개입한 것을 언급하며 푸틴 대통령을 자주 비판해 왔다”고 말했다.

그러나 푸틴 대통령은 지난 19일 미국의 경고에 대해 “우리 사회를 위협하고 불안정하게 만들려는 의도로 만들어진 명백한 협박”이라고 말했다. 미국 정보를 공개적으로 무시했던 셈이다.

러시아 연방보안국(FSB)은 이날 “테러 용의자들이 범행 후 차를 타고 도주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국경을 넘으려 했다”며 “이들은 우크라이나 측과 (테러 관련) 접촉했다”고 주장했다. 푸틴 대통령도 이날 대국민 연설을 통해 “그들은 우크라이나 방향으로 도주했는데, 초기 정보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쪽에 국경을 넘을 수 있는 창구가 마련돼 있었다고 한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존 커비 백악관 NSC 국가안보소통보좌관은 “현재로서는 우크라이나나 우크라이나인이 연루돼 있다는 징후는 없다”고 말했다. 미국의 한 관리는 공개 경보 때 ‘극단주의자’라고 쓴 표현이 우크라이나와의 연관성이 없음을 시사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은 러시아가 테러 참사 책임을 돌리기 위해 우크라이나와의 연관성을 강조한 것으로 보고 있다. NYT는 “미국 관리들은 푸틴 대통령이 이번 공격 책임을 우크라이나에 뒤집어씌워 서방 정부에 책임 소재를 밝히라는 압력을 가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며 “우크라이나에 대한 전 세계 지지를 약화하려 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은 “모스크바에서 일어난 일로 푸틴 대통령 등 쓰레기들은 모두 다른 사람을 비난하려고만 한다”며 “푸틴 대통령은 하루 동안 침묵을 지키더니 우크라이나로 떠넘길 방법을 생각해냈다”고 비판했다.

우크라이나 국방부 산하 정보총국(HUR)은 성명에서 “모스크바 테러 공격은 푸틴의 명령에 따라 러시아 특수부대가 계획적이고 의도적으로 도발한 것”이라며 “전쟁을 더욱 확대하고 확장하려는 것이 목표였다”고 주장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12 외인·기관 끌고 ‘8만전자’ 밀고… 코스피, 2770선 위로 랭크뉴스 2024.03.26
4411 음주운전 사고내고 운전자 바꿔치기 혐의 '이루'‥항소심도 집행유예 랭크뉴스 2024.03.26
4410 20대는 왜 조국혁신당에 분노하나…“공정과 정의를 배신했기 때문” 랭크뉴스 2024.03.26
4409 논란진화 시도에도 "한 뿌리 875원"‥농민들은 '대파 시위' 랭크뉴스 2024.03.26
4408 유엔 인권전문가 "이스라엘, 가자서 집단학살…인종청소 연상" 랭크뉴스 2024.03.26
4407 윤 대통령 “아직도 천안함 폭침 부정…반국가세력 안보 흔들지 않게 힘 모아야” 랭크뉴스 2024.03.26
4406 포르쉐 닮았는데 가격은 4000만원...‘샤오미 전기차’ 나온다 랭크뉴스 2024.03.26
4405 "합니다" → "종북에 내주지 말자"… 다급한 與 현수막 네거티브 랭크뉴스 2024.03.26
4404 "또 잡혀갈까봐 한국 와서야‥" '손준호' 통화한 박문성 전언 랭크뉴스 2024.03.26
4403 삼성전자, 2년3개월만에 '8만전자' 찍어…SK하이닉스 신고가(종합) 랭크뉴스 2024.03.26
4402 ‘요람을 흔드는 명품’ 더 비싸지는 프리미엄 육아용품 시장[비즈니스 포커스] 랭크뉴스 2024.03.26
4401 ‘건전재정’ 기조 잇는 내년 예산 지침… “R&D·필수의료 투자엔 집중” 랭크뉴스 2024.03.26
4400 윤 대통령 “의대 교수들, 대화 나서주길…전공의 설득해달라” 랭크뉴스 2024.03.26
4399 장원영 괴롭힌 탈덕수용소... 美법원 설득해 '88년생 박씨'를 잡았다 랭크뉴스 2024.03.26
4398 서울대 교협 "전공의와 학생들, 내일이라도 복귀하길" 랭크뉴스 2024.03.26
4397 2천 명 증원 조정 가능성 일축‥윤 대통령 "의대 증원은 의료개혁의 출발점" 랭크뉴스 2024.03.26
4396 [속보] 尹 "지역의대, 인재전형 60%이상 확대"… 내달 의학교육 개선방안 마련 랭크뉴스 2024.03.26
4395 조국 “윤 정권에 모욕감 받는 국민…한동훈 특검법은 합법적 응징” 랭크뉴스 2024.03.26
4394 '공부의 신'이 모델하우스에?…'의대 정원 확대' 활용 분양 마케팅 활발 [집슐랭] 랭크뉴스 2024.03.26
4393 北노동자들 중국 이어 콩고서도 폭동…‘장마당 세대’ 주도 랭크뉴스 2024.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