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먼저 내놓은 KT보다 요금 더 낮추거나 데이터 많이 제공할 듯


서울 시내 한 휴대전화 대리점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강건택 오규진 기자 = 가계통신비 논란이 거세지는 가운데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이번 주 3만원대 5G 요금제를 내놓는다. 먼저 요금제 문턱을 낮춘 KT를 포함해 이통 3사 모두 최저 3만원대 가입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24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SKT와 LG유플러스는 하한선을 3만원대로 낮추고, 데이터 소량 구간을 세분화하는 내용의 5G 요금제 개편안을 마련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막바지 조율 중이다.

유보신고제 대상인 SKT는 금명간 최종안을 과기정통부에 신고하고, 이용약관심의자문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이르면 주중에 새 요금제를 출시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시장지배적 사업자인 SKT는 요금제 출시 전 정부에 이용약관을 신고해 심사 절차를 밟아야 한다.

자문위는 최대 15일 동안 새 요금제 이용약관을 심사할 수 있지만, 별다른 문제가 없다면 이 기간을 다 채우지 않고 신속 결정할 가능성이 크다.

과기정통부가 지난해 11월 발표한 '통신비 부담 완화 방안'에서 예고한 3만원대 5G 요금제 도입 시한이 올해 1분기라는 점에서도 3월 마지막 주인 금주 안에 심사를 끝내고 출시를 허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LG유플러스도 이번 주 중반 최저 3만원대 5G 요금제 신설과 저가 요금제 다양화 방안을 발표하고 곧바로 출시할 준비를 하고 있다.

KT, 새로운 '3만원대 5G 요금제' 출시
(서울=연합뉴스) KT는 요금 혁신을 위한 첫 단계로 통신사 최초로 남은 데이터를 이월해서 쓰는 5G '이월' 요금제, 안심하고 쓰는 5G '안심' 요금제, 온라인 무약정 '요고' 요금제를 오는 19일 출시한다고 밝혔다. 사진은 KT 모델들이 5G 3만원대 요금제 출시를 소개하는 모습. 2024.1.18 [K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email protected]


양사 모두 KT에 비해 출시가 늦은 만큼 좀 더 좋은 조건의 요금제를 내놓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지난 1월 KT가 내놓은 '5G슬림 4GB' 요금제는 월정액 3만7천원에 데이터 4GB를 제공하는데, 이보다 요금을 낮추거나 데이터 제공량을 늘리는 방향으로 정부와 이통사들이 막판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SKT와 LG유플러스는 4∼5만원대 요금제를 세분화하고, 기존 요금제 데이터 제공량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세부안을 놓고 과기정통부가 사업자들과 최종 조율을 하고 있지만, 1분기 내 출시라는 공약을 지키기 위해선 주초에 신고 절차를 마치고 주중 출시의 길을 열어줄 것으로 관측된다. 늦어지더라도 총선 직전인 4월 첫째 주가 마지노선이 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3만원대 요금제는 정부가 통신비 인하 노력에 고삐를 죄는 가운데 이뤄지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정부는 단통법(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 폐지를 선언하고, 폐지 전이라도 실질적인 통신비 부담을 낮출 수 있도록 번호이동 전환지원금을 최대 50만원까지 지급하는 내용의 고시를 제정해 시장 경쟁을 압박하고 있다.

아직 통신사들이 기대만큼의 전환지원금을 풀지 않자 김홍일 방송통신위원장이 22일 통신 3사 대표와 단말 제조사 대표자를 만나 통신비 절감 협조를 당부하기도 했다.

아울러 정부는 통신사, 제조사와 함께 단말기 공시지원금 확대와 중저가 단말기 출시 확대 방안도 논의 중이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99 장원영 괴롭힌 탈덕수용소... 美법원 설득해 '88년생 박씨'를 잡았다 랭크뉴스 2024.03.26
4398 서울대 교협 "전공의와 학생들, 내일이라도 복귀하길" 랭크뉴스 2024.03.26
4397 2천 명 증원 조정 가능성 일축‥윤 대통령 "의대 증원은 의료개혁의 출발점" 랭크뉴스 2024.03.26
4396 [속보] 尹 "지역의대, 인재전형 60%이상 확대"… 내달 의학교육 개선방안 마련 랭크뉴스 2024.03.26
4395 조국 “윤 정권에 모욕감 받는 국민…한동훈 특검법은 합법적 응징” 랭크뉴스 2024.03.26
4394 '공부의 신'이 모델하우스에?…'의대 정원 확대' 활용 분양 마케팅 활발 [집슐랭] 랭크뉴스 2024.03.26
4393 北노동자들 중국 이어 콩고서도 폭동…‘장마당 세대’ 주도 랭크뉴스 2024.03.26
4392 중국 구금 손준호 귀국…외교부 “재판 내용 공개 못 해” 랭크뉴스 2024.03.26
4391 강북권 노후단지 재건축 속도…역세권 500%까지 종상향 랭크뉴스 2024.03.26
4390 민주 ‘공천 혁명’…권리당원 뜨면 비명횡사 일어났다 랭크뉴스 2024.03.26
4389 민주 공천 혁명…권리당원 뜨면 비명횡사 일어났다 랭크뉴스 2024.03.26
4388 조국혁신당 뜨는 7가지 이유 [3월26일 뉴스뷰리핑] 랭크뉴스 2024.03.26
4387 이수정 "尹 '대파 875원' 발언은 한 뿌리 얘기한 것" 랭크뉴스 2024.03.26
4386 [속보] 윤 대통령 “의대 증원은 의료개혁의 출발점" 랭크뉴스 2024.03.26
4385 尹 "의료인들, 대화에 적극 나서주길…전공의 복귀 설득해달라" 랭크뉴스 2024.03.26
4384 "조국당 29.1, 與비례 28.1"‥1위가 뒤집히나 '술렁' [미디어토마토] 랭크뉴스 2024.03.26
4383 국민의힘 김성태, '수도권 위기론'에 "유승민 역할 고려해야" 랭크뉴스 2024.03.26
4382 尹 "의대 증원은 의료개혁 출발점…나머지 과제 신속 실행" 랭크뉴스 2024.03.26
4381 국민 10명 중 3명 “아침 거른다”···하루 쌀 섭취량 137.2g ‘매년 줄어’ 랭크뉴스 2024.03.26
4380 이재명 "이종섭 호주대사 임명, 워터게이트 넘는 국기 문란 사건" 랭크뉴스 2024.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