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육부 “강력히 항의하며 즉각 시정 촉구”
22일 오후 서울 종로구 경주이씨중앙화수회관에서 열린 2024 일본 채택 일본중학교 사회과 교과서 검정결과 긴급 기자회견에서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 한혜인 운영위원이 역사 왜곡 부분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 연합뉴스


조선인 강제 동원 사실을 축소하고 독도 영유권 주장을 반복한 일본의 중학교 역사교과서가 또 검정을 통과했다. 교육부는 역사를 왜곡·축소한 일본에 “강력히 항의하며 즉각적인 시정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22일 일본 문부과학성이 검정 결과를 발표한 일본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 18종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교육부는 2020년 검정을 거친 일본 사회과 교과서와 비교했을 때 일본의 조선인 강제동원, 종군위안부 서술이 역사를 은폐하는 쪽으로 변경됐다고 분석했다.

우선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 8종에서 1940년대 조선인 노동력 동원을 기술하며 일본의 ‘강제성’을 누락하고 ‘강제연행’ 등의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제국서원에서 낸 역사교과서에는 2020년 ‘조선인이나 중국인을 징용하고, 일본 각지의 탄광, 광산에 데리고 가서 낮은 임금으로 과도하게 일을 시켰습니다’라고 서술했다. 이번 검정본에는 “많은 사람들이 일본 각지의 탄광, 광산에 끌려 가서 낮은 임금으로 과도하게 일을 하게 되었습니다”로 바뀌었다.

육봉사의 2020년 역사교과서에는 “전쟁말기에는 조선이나 대만에서도 징병이나 징용이 적용되어, 일본의 광산이나 공장등에서 가혹한 노동을 강제로 했습니다”였다가 올해에는 “조선이나 대만에서도 일부 징병이나 징용이 적용되어, 일본의 광산이나 공장등에서 가혹한 환경에서 일했던 사람들도 있었습니다”로 표현을 바꿨다.

일본군 위안부 기술도 역사교과서 2종에 다루고는 있으나 ‘종군위안부’ 용어가 빠졌다.

산천출판이 2020년 검정을 받은 역사교과서에는 “전쟁지역에 설치된 ‘위안시설’에는 일본·조선·중국·필리핀 등에서 여성이 모여졌다(이른바 종군위안부)”라고 썼다. 올해 검정본에는 “전쟁지역에 설치된 ‘위안시설’에는 일본·조선·중국·필리핀 등에서 여성이 모여졌다”로 바뀌면서 ‘종군위안부’ 용어가 빠졌다.

조선인 강제연행 표현 미서술이나 종군위안부 삭제는 모두 2021년 일본 각의 결정에 따라 이뤄졌다. 내각 의사를 결정하는 합의체 기관인 일본 각의는 2021년 ‘강제연행’에서 ‘연행’은 부적절하며, ‘종군위안부’는 군과 위안부를 분리해 설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일본 각의는 강제가 아닌 자의로 참여한 이들도 있다고 주장하면서 ‘강제성’을 삭제하기로 결정했다.

이번에 검정을 받은 모든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에서도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은 지속됐다.

지리교과서 4종은 모두 독도를 ‘일본 고유영토’ ‘한국 불법점거’로 기술했다. 역사교과서 8종에서는 ‘일본 고유영토’(6종), ‘한국 불법점거’(5종), ‘시마네현 편입’(8종) 등을 주장했다.

日 교과서, 역사 왜곡 심화된 내용으로 ‘개악’···독도 소유권 주장도 늘어내년 일본 중학교에서 쓰일 사회 교과서들의 내용이 현재보다 일제강점기 가해 역사를 흐리는 방향으로 일부 변경된 것으로 나타났다. 독도 관련 내용에서는 “일본 고유 영토”라고 ...https://www.khan.co.kr/world/japan/article/202403221444001

이날 일본이 발표한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 검정결과는 2017년 ‘학습지도요령 및 해설’을 반영했다. 2017년 개정된 학습지도요령 및 해설에선 독도의 일본 고유 영토 주장, 한국 불법 점거 등의 서술을 강화했다. 2019년부터 일본의 초·중·고 사회과 교과서에선 일본의 징병·징용 등 동원의 강제성과 피해 사실 기술이 축소되기 시작했다. 종군위안부의 강제성도 누락시켰으며 독도 영유권 주장도 이어갔다.

교육부는 이날 성명에서 “자국 중심의 그릇된 역사관과 영토관으로 역사를 왜곡 기술한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를 검정 통과시킨 데 대해 강력히 항의하며 즉각적인 시정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미래 지향적 한·일 관계를 위해 우리 영토와 역사에 대한 부당한 주장이 담긴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 내용을 스스로 시정하기 바란다”고도 밝혔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048 [속보] 윤 대통령, 한총리에 "의료계 비롯한 각계와 더 긴밀히 소통하라" 랭크뉴스 2024.03.25
4047 대통령실, 채상병 사망 사건? "조그마한 사고" 랭크뉴스 2024.03.25
4046 "대형 건설사도 하자 투성"…5년간 하자 많은 건설사는? 랭크뉴스 2024.03.25
4045 [양권모 칼럼] ‘조국 사태’와 ‘조국(혁신당) 현상’ 사이 랭크뉴스 2024.03.25
4044 망치·전기로 고문?…법정에 선 공연장 테러범 얼굴 보니 랭크뉴스 2024.03.25
4043 [속보] 한미그룹, 임종윤·종훈 형제 한미약품 사장 해임 랭크뉴스 2024.03.25
4042 [속보] 尹, 韓총리에 “의료계를 비롯한 사회 각계와 더욱 긴밀히 소통해 줄 것” 랭크뉴스 2024.03.25
4041 싸서 샀는데..."다이소 컵, 롯데마트 황도캔 반품하세요" 랭크뉴스 2024.03.25
4040 여자친구 모녀 흉기로 찌른 20대 체포…여친은 숨져(종합2보) 랭크뉴스 2024.03.25
4039 [영상]이준석 “동탄 출마는 내 운명…과학고·예술고 만들어 영재 육성할 것” 랭크뉴스 2024.03.25
4038 실명 위기 고백했던 송승환 "시각장애 4급, 형체만 알아봐" 랭크뉴스 2024.03.25
4037 “귀 잘리고 망치로 구타”… 러시아군, 테러 용의자 고문 논란 랭크뉴스 2024.03.25
4036 베이조스·저커버그도 '자사주 대량 매도' 합류…기술주 고점 다다랐나 랭크뉴스 2024.03.25
4035 윤희숙, 이재명 직격 "이 양반아, 돈풀어 물가 잡히나" 랭크뉴스 2024.03.25
4034 일본여행 가서 이 제품 ‘주의’…‘붉은누룩’ 식음료 대량 ‘리콜’ 랭크뉴스 2024.03.25
4033 영월 산림 말라 죽인다…1마리당 2만원 포상금 걸린 불청객 랭크뉴스 2024.03.25
4032 ‘하늘 위의 여왕’ 마지막 비행…B747점보 “지구 2500바퀴 돌고 은퇴합니다” 랭크뉴스 2024.03.25
4031 청소년에게 “술·담배 사줄게”…‘댈구 어른’ 또 적발 랭크뉴스 2024.03.25
4030 신평 "조국 태풍에 與 속수무책‥총선 후 윤-한 갈등 예상" 랭크뉴스 2024.03.25
4029 "봐야할 환자 있다, 사직 '쇼'하고 싶지 않아" 소아과 교수 호소 랭크뉴스 2024.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