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외교부 대변인 성명 "독도 부당 주장 또다시 검정통과…수용 못해"
"양국관계 근간은 올바른 역사인식…미래세대 교육 책임있게 임해야"


초치되는 아이보시 주한 일본대사
(서울=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내년부터 사용될 일본의 새 중학교 교과서에도 독도에 대해 '일본 고유의 영토'라거나 '한국이 불법 점거했다'는 식의 억지 주장이 실린 것이 공개된 22일 오후 아이보시 고이치(相星孝一) 주한 일본대사가 초치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로 들어서고 있다. 2024.3.22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김효정 기자 = 정부는 22일 검정 통과된 일본 중학교 교과서가 부당한 독도 영유권 주장을 답습하고 일제강점기 가해 역사를 흐리는 방향으로 기술된 것에 대해 유감을 표했다.

외교부는 이날 대변인 성명을 내고 "일본 정부가 독도에 대한 부당한 주장과 역사적 사실에 부합하지 않은 주장에 기반해 서술된 중학교 교과서를 검정 통과시킨데 깊은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역사적·지리적·국제법적으로 명백한 우리 고유의 영토인 독도에 대한 부당한 주장이 담긴 교과서를 일본 정부가 또다시 검정 통과시킨 데 강력히 항의하며, 독도에 대한 일본의 어떠한 주장도 수용할 수 없음을 분명히 밝히는 바"라고 강조했다.

이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및 강제징용 문제 관련 표현과 서술이 강제성이 드러나지 않은 방향으로 변경됐다"며 이에 대해서도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그러면서 "일본 정부가 스스로 밝혀온 과거사 관련 사죄와 반성의 정신에 입각한 역사교육을 진정성 있게 실천해 나가기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외교부는 "미래지향적 양국관계 구축의 근간은 올바른 역사인식으로부터 출발하는 만큼, 일본 정부는 역사를 직시하는 가운데 보다 책임있는 자세로 미래세대 교육에 임해주기를 기대한다"고 촉구했다.

김홍균 외교부 1차관은 이날 오후 외교부 청사로 아이보시 고이치 주한 일본대사를 초치해 항의 입장을 전달했다.

일본 문부과학성은 이날 교과서 검정심의회를 열어 중학교에서 2025년도부터 쓰일 교과서 심사 결과를 확정했다.

이번에 검정을 통과한 사회과 교과서 18종 가운데 15종은 한국이 독도를 '불법 점거'하고 있다고 기술했다. 독도가 일본 '고유 영토'라고 쓴 교과서는 2020년 검정에서 17종 가운데 14종으로 약 82%였으나 이번에는 18종 가운데 16종, 약 89%로 증가했다.

초치되는 아이보시 주한 일본대사
(서울=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내년부터 사용될 일본의 새 중학교 교과서에도 독도에 대해 '일본 고유의 영토'라거나 '한국이 불법 점거했다'는 식의 억지 주장이 실린 것이 공개된 22일 오후 아이보시 고이치(相星孝一) 주한 일본대사가 초치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 승강기로 이동하고 있다. 2024.3.22 [email protected]


징용·위안부 관련 문제에서 강제성이 없었다는 역사 수정주의 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는 대목들도 있다.

일례로 이쿠호샤 역사 교과서는 태평양전쟁 시기 생활에 관한 서술에서 "조선과 대만에도 징병과 징용이 적용돼 일본 광산과 공장 등에서 혹독한 노동을 강요받았다"라는 4년 전 검정 통과 당시 문장을 "조선과 대만에도 일부 징병과 징용이 적용돼 일본 광산과 공장 등에서 혹독한 환경 속에 일한 사람들도 있었다"고 바꿨다.

야마카와출판 역사 교과서는 위안시설 관련 서술에서 4년 전에는 "조선·중국·필리핀 등으로부터 여성이 모였다(이른바 종군위안부)"로 적었던 부분을 "일본·조선·중국·필리핀 등으로부터 여성이 모였다"로 교체해 위안부 여성 중에 일본인도 있었다는 점을 부각하고 '종군위안부'라는 표현을 뺐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827 '한동훈주 다음은 조국주?' 결말은 늘 씁쓸했던 테마 열풍 랭크뉴스 2024.03.25
3826 서울 野 압도, 與 '12석+α' 안간힘... '한강벨트'가 승부처[총선 판세 전망] 랭크뉴스 2024.03.25
3825 대통령 '대화' 언급에 의사들 엇갈려…"긍정 신호"vs"2천명부터(종합) 랭크뉴스 2024.03.25
3824 "머그잔 사용했다가 '앗 뜨거'"…美 스타벅스서 44만개 '리콜', 무슨 일? 랭크뉴스 2024.03.25
3823 모스크바 테러 사망자 137명으로 늘어…IS 당시 영상 공개 랭크뉴스 2024.03.25
3822 아일랜드 집권당 대표에 37세 해리스…역대 최연소 총리 전망 랭크뉴스 2024.03.25
3821 ‘빈털터리 도널드’ 고약한 별명 짓기, 이번엔 바이든이 나섰다 랭크뉴스 2024.03.25
3820 러 "우크라 미사일 22발 격추…美폭격기 영공접근도 차단" 랭크뉴스 2024.03.25
3819 모스크바 테러 사망자 137명으로 늘어…IS 현장영상 공개(종합) 랭크뉴스 2024.03.25
3818 유엔 난민기구 "이스라엘, 가자 북부 구호품 수송 불허" 랭크뉴스 2024.03.25
3817 "190회 찔렀는데 우발적?"…여친 죽인 20대, 얼굴 공개됐다 랭크뉴스 2024.03.25
3816 “머스크도 수수료 내야”…AI 열풍에 430억 챙긴 ‘이 섬’ 랭크뉴스 2024.03.25
3815 공연장 테러 ‘우크라이나 배후설’에 젤렌스키 “악당 푸틴”···국제사회 한목소리로 ‘애도’ 랭크뉴스 2024.03.25
3814 ‘모스크바 테러’ 사망자 137명으로 늘어… 현장서 소총·탄약 발견 랭크뉴스 2024.03.25
3813 '바이든 수사' 로버트 허 "美에 부채의식이 특검수락 배경" 랭크뉴스 2024.03.25
3812 이재명, 1인당 25만원 ‘민생지원금’ 공약…“못할 이유 없다” 추경 논의 요청 랭크뉴스 2024.03.25
3811 '커닝' 들킨 고교생 목숨 끊자…부모는 "9억 달라" 학교에 소송, 왜? 랭크뉴스 2024.03.25
3810 오염수 갈등에 대화 막힌 일본, 중국과 관계 개선 안간힘 랭크뉴스 2024.03.25
3809 북한 신형 탱크와 K2 전차·K9 자주포 [남성욱의 동북아 포커스] 랭크뉴스 2024.03.25
3808 목줄 낀 반려견 구하려다 그만…엘리베이터 지하로 추락한 할머니 랭크뉴스 2024.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