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봉주 빠진 강북을 박용진-조수진 경선
또 감산 30%·전국당원 투표 70%로
강성 친명 지지층 여론 과대 대표 우려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7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목발 경품 막말 논란’을 빚은 정봉주 전 의원의 4·10 총선 공천이 취소된 서울 강북을 지역구에서 비이재명계 현역 박용진 의원(재선)과 조수진 변호사의 양자 경선을 통해 후보를 정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정 전 의원과의 경선에서 2위를 한 박 의원을 공천하지 않고 경선을 치르기로 결정한 데 이어, 강성 친명(친이재명) 지지층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할 경선 방식까지 채택하면서 박 의원은 이중·삼중의 족쇄 속에서 경선을 치르게 됐다.

안규백 민주당 전략공천관리위원회 위원장은 17일 전략공관위 회의 결과 “서울 강북을의 경선 후보자로 박용진 의원과 조수진 노무현재단 이사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이어 안 위원장은 경선 방식에 관해 “두 후보자는 전국 권리당원 70%, 강북을 권리당원 30%의 온라인 투표에 따라 경선을 치르게 된다”고 했다. 경선은 18~19일 이틀 동안 진행된다.

조수진 변호사는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사무총장, 참여연대 상임집행위원 등을 지낸 정치 신인이다. 민주당이 전날 자정까지 진행한 후보자 공모에는 친이재명계인 한민수 대변인을 포함해 모두 27명이 참여했으나 두명으로 후보를 압축했다.

이를 두고 ‘비이재명계 박용진 찍어내기’라는 비판이 끊이지 않는다. 민주당 지도부는 지난 15일 심야 최고위 회의 끝에 16일 새벽 해당 선거구를 전략 선거구로 지정해 전략 경선을 하기로 의결했다. 전남 순천·광양·곡성·구례갑 지역에서 경선 부정이 확인된 손훈모 예비후보가 낙마하고, 차점자인 이재명 대표 특보인 김문수 예비후보가 공천을 받은 것과 다른 결정이다.

이날 결정된 경선 방식 또한 지역 민심보단 당내 친명 강성 지지층의 여론을 과대 대표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우려가 나온다. 서울지역 국회의원 후보를 뽑는데 70%의 전국 권리당원 투표 결과를 반영한다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지적이다. 전국 권리당원 투표(70%)가 적용된 서울 서대문갑 지역 경선에서도 친이재명계 김동아 후보가 경선 기회를 얻어 최종 승리했다. 더구나 박 의원은 현역 의원 하위 10% 평가자가 받는 경선 득표 30% 감산 페널티를 이번 경선에도 적용받는 반면, 여성 신인인 조 변호사는 최대 25%의 가산점을 적용받는다.

이에 대해 안 위원장은 “전남 순천·광양·곡성·구례갑 지역은 경선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고, 강북을은 경선 후보가 이미 결정된 사안이기 때문에 두 지역을 단순 비교할 수 없다”며 “(후보자 가·감산 규정도) 254개 모든 선거구에 당헌이 똑같이 준거된다. 어느 후보든지 예외는 없다”고 했다. 이재명 대표도 지난 16일 “1등 한 후보가 문제 됐다고 해서 차점자가 우승자가 되진 않는다”고 했다. 그러나 박용진 의원실 관계자는 한겨레에 “강북을이 전략 지역구여야 할 이유도, 해당 지역구가 어떤 곳인지 모르는 전국 당원들이 투표권자로 나서야 할 근거도 들은 바 없다”며 “55% 차이를 안고 시작하는 경선이 어떻게 공정할 수 있겠는가”라고 반발했다. 다만, 박 의원은 “바보스러울지라도, 저의 원칙에 따라 경선에 참여하겠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노무현 전 대통령 막말 비하’ 논란을 일으킨 양문석 경기 안산갑 후보를 둘러싸고도 당 안팎의 갈등이 벌어지고 있다. 양 후보는 언론개혁시민연대 사무총장 시절인 2008년 5월 인터넷 언론에 실은 칼럼에서 이명박 전 대통령을 비판하며 “노무현씨와 이명박씨는 유사 불량품”이라고 했다. 2011년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을 지낼 당시 케이티(KT) 임원으로부터 강남 룸살롱 접대를 받은 사실도 재조명되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제22대 총선 후보자 대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이해찬,김부겸 상임공동선거대책위원장과 각 지역 후보자들과 구호를 회치고 있다. 김경호 선임기자 [email protected]

이날 열린 민주당 총선 후보자 대회에서 김부겸 상임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은 양 후보를 만난 자리에서 “지금 수습할 수 있는 건 당신밖에 없다. 여기서 새로운 게 뭔가 더 나오면 우리도 보호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노무현재단 이사장을 맡고 있는 정세균 전 총리, 고민정·윤건영 의원 등 친노무현계·친문재인계도 지도부의 ‘결단’을 촉구했다. 그러나 이재명 대표는 이날 경기도 화성에서 취재진에게 “노무현 대통령이 ‘대통령도 욕할 수 있는 것이 국민의 권리’라고 말씀하셨다”며 “국민을 폄하하거나 사회적 약자를 비하하는 게 진정한 막말”이라고 논란을 일축했다.

국민의힘은 ‘이재명 사당화’를 부각시키며 공세 수위를 높였다.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 겸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은 이날 당 중앙선거대책위원장 회의에서 “민주당은 민생이 어떻게 되든 간에 ‘묻지 마 방탄’에 올인할 후보, 친명 일색으로 다음 국회를 구성하고 있다”며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의 사당이지, 더 이상 공당이라 볼 수 없다”고 말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002 “의대 증원 인정 못해” vs “실력행사 말라”…의-정 충돌 격화 랭크뉴스 2024.03.20
2001 “소주 한잔에 1000원이요”…이제 식당서 ‘잔술’ 주문 가능해진다 랭크뉴스 2024.03.20
2000 "200석!" 이재명 '낙관론 경계령' 무색하게, 튀어나온 '오만'의 그 숫자 랭크뉴스 2024.03.20
1999 문신男들 웃통 벗고 앞치마만 걸치더니…‘식당 난동’ 20대 조폭 랭크뉴스 2024.03.20
1998 한국 선적 수송선, 일본 앞바다에서 전복…7명 사망 랭크뉴스 2024.03.20
1997 대파 든 이재명 “尹 이기면 아르헨티나처럼 돼… 버릇 고쳐주자” 랭크뉴스 2024.03.20
1996 송영길, 또 보석 호소…재판부 "사건관련자 접촉우려로 고민중"(종합) 랭크뉴스 2024.03.20
1995 [속보] 이종섭 주 호주대사 귀국길…이르면 내일 오전 도착 랭크뉴스 2024.03.20
1994 그린피스, ‘후원 취소’ 속출에 “류준열과 긴밀히 소통 중” 랭크뉴스 2024.03.20
1993 손흥민 "강인이 진심 어린 사과했다…손가락 얘기는 이제 그만"(종합) 랭크뉴스 2024.03.20
1992 비수도권에만 대폭 늘린 의대 정원...졸업하고 서울로 가버리면 어쩌나 랭크뉴스 2024.03.20
1991 "테무서 물건 사니 국제전화 와"…정보유출 불안에 떠는 韓소비자 랭크뉴스 2024.03.20
1990 [단독] 이종섭 참석할 회의 급조했나…귀국 발표날에야 확정 랭크뉴스 2024.03.20
1989 전 야구 국가대표 오재원 '마약 투약 혐의' 구속영장 랭크뉴스 2024.03.20
1988 하나은행, H지수 ELS 자율배상 나선다…27일 이사회 논의 랭크뉴스 2024.03.20
1987 '코인 논란' 김남국, 野비례 위성정당 입당 랭크뉴스 2024.03.20
1986 롯데 신동빈 177억, 신세계 정용진 37억…보수 공개 랭크뉴스 2024.03.20
1985 ‘1639명 파격 증원’ 지역 의대생 정착 방안이 안 보인다 랭크뉴스 2024.03.20
1984 '코인 논란' 김남국, 민주 위성정당 '더불어민주연합' 입당 랭크뉴스 2024.03.20
1983 들끓는 의료계 “정권퇴진 운동”…교수사직 앞당길 듯 랭크뉴스 2024.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