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20년간 누적 관람객 1500만명
기본 편의시설 등 인프라 확충 제약
특별법 개정 등 규제 개선 목소리

충북을 대표하는 관광 명소로 자리 잡은 옛 대통령 별장 청남대가 과도한 환경 규제로 인프라(기반 시설) 확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00년대 초 일반 국민에 개방된 후 매년 수십만 명이 찾고 있지만, 청남대를 둘러싼 대청호가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돼 기본적인 편의시설도 짓지 못하고 있다.

청남대 안에는 최소한의 먹거리를 제공할 식당조차 없다. 정식 주차장도 조성되지 않아 사람이 몰리면 인근에 극심한 교통체증이 발생한다. 지난해 가을 청남대를 찾은 관람객들은 주변 문의사거리부터 청남대 입구까지 10㎞ 남짓한 거리를 3시간 넘게 이동해야 했다.

충북 청주시 대청호변에 위치한 청남대 전경. /청남대관리사업소 제공

최근 충북도는 중부내륙연계발전지역 지원에 관한 특별법(중부내륙지원특별법) 개정 지원 전담반(TF)을 가동했다. 지난해 말 특별법이 제정됐지만, 당초 계획한 상수원보호구역·수변구역·특별대책지역 규제 특례,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부담금 감면 등 핵심 내용이 소관 부처 반대로 모두 빠졌기 때문이다.

중부내륙특별법은 환경 보호를 위해 규제를 받는 중부내륙 8개 시·도, 28개 시·군·구의 체계적인 발전을 지원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지난해 2월 윤석열 대통령이 청주 지역을 방문했을 때 김영환 충북지사가 과도한 규제로 청남대 등이 겪는 불편을 토로한 것을 계기로 검토됐다.

대청호를 품고 있는 충북 지역은 상수도보호구역 규제로 개발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수도법 제7조에 따르면 상수원보호구역에서는 식당, 주차장 등 편의시설 조성이 제한된다. 행락·야영 또는 야외 취사 행위도 금지돼 있어 관람객을 위한 행사를 기획하는 데도 제약이 많다.

청남대를 둘러싼 대청호 모습. /청남대관리사업소 제공

1983년 지어진 청남대는 과거 대통령 별장으로 쓰였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2003년 청남대를 국민에 개방했고 매년 70만명이 넘는 관람객이 찾고 있다. 올해 개방 21주년이 된 청남대의 누적 관람객 수는 1500만명을 돌파할 전망이다.

충북도는 청남대를 찾는 관람객이 꾸준히 느는데, 인프라 확충이 제때 이뤄지지 않아 관광자원으로서 가치가 떨어지고 있다고 본다. 지난 5년간 청남대를 찾은 관람객을 상대로 불만족 사항에 대한 설문조사한 결과 ▲주차장 확충 ▲편의시설 설치 ▲교통편 해결 ▲관람열차 운영 등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충북도 관계자는 “과거 대통령 별장으로 쓸 때 경호인력 등 수많은 사람이 청남대에 머물렀는데, 지금 일반 관람객은 간단한 음식조차 먹을 수 없다”고 말했다.

충북도는 중부내륙특별법 개정 준비에 착수하는 한편, 수질 오염을 저감할 수 있는 대책을 함께 검토하고 있다. 상수도보호구역 규제 개선을 위해 주민들을 위한 편의시설을 설치하는 것은 물론 친환경 전기동력선 운행, 인도교 및 집라인(Zipline) 설치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청남대 관광이 지금보다 활성화되면 지역경제 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청남대 측 의뢰로 충북개발연구원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청남대를 찾는 관람객 100만명의 소비지출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는 약 788억7000만원으로 추정됐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980 유흥업소 대표가 ‘우수 소상공인’?…‘상공의 날’ 표창 논란 랭크뉴스 2024.03.20
1979 시장 침체에도 경기·인천 오피스텔 청약 인기… “일시적 현상, 회복 기대는 이르다” 랭크뉴스 2024.03.20
1978 대파 들고 尹 때린 이재명 "국민 삶 관심 없어… 버릇 고쳐주자" 랭크뉴스 2024.03.20
1977 웃통 벗고 문신 자랑·셀카까지...식당서 난동 부린 MZ 조폭 랭크뉴스 2024.03.20
1976 후쿠시마 원전 내부 첫 공개‥소름 돋는 '갈색 고드름' 랭크뉴스 2024.03.20
1975 일본 시모노세키 앞바다서 한국 선박 전복‥7명 사망 랭크뉴스 2024.03.20
1974 [단독] 한동훈, 친윤과 갈등 최고조…“그만둔다고요? 내가 관두겠다” 랭크뉴스 2024.03.20
1973 손흥민 "강인이 덕에 똘똘 뭉칠 수 있게 됐다"…전날 밤 무슨 일 랭크뉴스 2024.03.20
1972 "윤석열 퇴진" "한약 불법화"... 센 발언만 난무하는 의협회장 선거 랭크뉴스 2024.03.20
1971 한소희, 소주·은행 광고 계약 만료…'헤이딜러'는 댓글창 닫았다 랭크뉴스 2024.03.20
1970 육아로 단축근무하면 옆 동료도 ‘수당’ 받는다 랭크뉴스 2024.03.20
1969 한동훈 "윤석열 정부도 끝" 배수진에 尹 물러서... 이종섭 해임은 난망 랭크뉴스 2024.03.20
1968 [속보]美백악관 "인텔에 반도체 보조금 85억달러·대출 110억달러 지원 랭크뉴스 2024.03.20
1967 “금사과 대신 바나나 어때요” 직수입 바나나·오렌지 1,800톤 내일부터 풀린다 랭크뉴스 2024.03.20
1966 의대 증원 비수도권에 82% 배정…의사 단체 일제히 반발 랭크뉴스 2024.03.20
1965 고개 숙인 이강인 "실망시켜 죄송" 손흥민 "손가락 기사는 이제.."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4.03.20
1964 ‘결혼해야 애를 낳지’… 저출산 극복, 혼인 대책도 쫌! 랭크뉴스 2024.03.20
1963 의대 '2천명 증원' 쐐기 박았다…의사들 "증원 철회하라" 반발 랭크뉴스 2024.03.20
1962 "이거 안 보여?!" 문신남들 '버럭'‥웃통 벗고 앞치마만 걸치더니 랭크뉴스 2024.03.20
1961 의대 증원 82% 지역에 몰리자 대학들 “환영”…미니 의대 “동아줄 잡았다” 랭크뉴스 2024.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