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투데이]
◀ 앵커 ▶

해병대 수사 외압 의혹을 받고 있는 이종섭 전 국방부장관이 논란 끝에 지난주 호주 대사로 부임했습니다.

호주 출국 과정을 직접 취재한 법조팀 윤상문 기자와 함께 더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윤 기자, 일단 이종섭 대사의 출국 장면을 MBC만 포착했어요.

◀ 기자 ▶

네 그렇습니다.

출국하기 직전 비행기 탑승구 앞에서 이종섭 대사를 짧게 만날 수 있었는데요.

당시 영상 먼저 보시겠습니다.

[이종섭/호주 대사 (지난 10일 출국길)]
<어떻게 취재진 다 있는데 오신 거예요?>
"‥ 왜 이렇게까지 해야 돼?"
<아니, 대통령실 통화하셨는데 누구랑 통화하셨던 거에요?>
"아니 대통령실… 그거는… 진작에 얘기했잖아… 뭐, '접촉'한 게 없다고…"
<지금 조사받고 있는 중에 나가시는 거잖아요?>
"그건 다 얘기가 된 거고… "
<공수처에 바뀐 휴대전화 내셨다는데, 왜 그러셨던 거예요?>
"뭐라고요?"
<휴대전화 바뀐 걸 내셨다는데>
"그거는‥"

◀ 앵커 ▶

이 대사 표정이 다소 당황한 듯한 모습인데, 어떻게 만날 수 있었습니까?

◀ 기자 ▶

네 사실 당일에 이미 이 대사의 출국 소식이 알려져서 수많은 언론사 취재진들이 인천공항 출국장에 진을 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도 이 대사가 탑승동으로 들어가는 모습이 포착되지 않은 걸 보면, 취재진이 몰리기 전에 진입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저희는 호주행을 따라가려고 항공권을 구매하고 탑승동에 들어가서 만날 수 있었던 건데요.

앞서 보신 것처럼 취재진은 대통령실 관여 의혹을 확인하려고 했지만, 이 대사는 접촉한 적이 없다고만 밝혔습니다.

◀ 앵커 ▶

호주에 도착한 뒤에도 계속 인터뷰를 시도했어요.

의미있는 답변이 있었습니까?

◀ 기자 ▶

아쉽게도 그렇지 않았습니다.

기내에서 승무원을 통해 인터뷰를 요청했지만 거절당했고요.

호주 브리즈번 공항에 도착한 뒤, 캔버라행 항공편으로 환승할 때도 급히 이 대사를 쫓아가 질문했는데, 여기까지 오느라 수고했다, 이런 말만 남기고 떠났습니다.

이튿날 아침 일찍 대사 관저를 찾아가 출근하는 이 대사를 기다렸는데요.

당시 상황도 한번 보시죠.

◀ 앵커 ▶

호주 현지 반응도 궁금한데요, 교민들이나 호주 언론 분위기는 어땠습니까.

◀ 기자 ▶

이 대사 부임 전부터 교민들이 많은 지역 중심으로 반대 집회가 열렸습니다.

이 대사 출근 이튿날엔 평일인데도 교민 약 스무 명이 캔버라 대사관 앞에서 대사 부임에 항의하기도 했는데요.

이들은 시드니에서 차로 4시간 동안 이동해 집회를 열었습니다.

참석자 중에 해병대 출신 예비역 중사, 황성준 씨는 "피의자인 이종섭 대사가 도망가듯 호주로 부임한 게 상식과 정의에 부합하는 것이냐"고 비판했고요.

저희가 만났던 교민들도 "호주가 도피처냐", "호주 정계나 현지인들 보기 부끄럽다"는 반응이었습니다.

논란이 커지면서 호주 언론에도 이 대사 부임 논란이 다뤄졌습니다.

호주 공영방송인 ABC뉴스가 이 대사의 주요 혐의와 함께 출국금지 해제 과정, 야당의 비판까지 상세히 전달했는데요.

외교적 골칫거리라는 표현까지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이 대사는 대사관 홈페이지를 통해 "한호주 관계 발전의 교두보가 되어 동포 사회의 권익을 신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앵커 ▶

해병대 채 상병 사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1월부터 강제수사에 나섰잖아요?

이종섭 대사가 받고 있는 혐의, 구체적으로 무엇입니까.

◀ 기자 ▶

네 사건 당시 국방장관이던 이종섭 대사는 현재 핵심 수사 대상인데요,

최고 결정권자인 이 대사가 해병대 수사단이 경찰에 이첩하려고 한 1차 수사결과를 축소하려 했는지가 관건입니다.

작년 7월 31일 해병대 수사단은 임성근 1사단장 등 8명에 책임이 있다고 공식 발표하려고 합니다.

전날 결재까지 했던 이 대사가 갑자기 2시간 전에 취소 시키는데, 직전 대통령실과 통화한 사실이 MBC취재로 확인됐고요.

이후 국방부 조사본부가 채 상병 사건을 재검토해서 8명이 아닌 2명만 처벌대상으로 명시한 결과를 발표하죠.

이때 이 대사가 재검토를 명령하면서 사실상 혐의자 일부를 제외하라는 사전 지침을 내린 것 아니냐는 의혹도 수사 대상입니다.

이 대사는, 저희 동행 취재팀의 인터뷰 요청을 여러차례 거절했는데요.

대통령실이 강경한 입장을 내놓은 다음, 일부 언론을 통해서만 "언제든 소환 조사에 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도주나 도피라는 용어를 계속 사용하면 법적 책임을 묻겠다고도 했습니다.

또 "4월 말에 공수처 조사를 받기로 조율했다"면서도, "현역 군인 사망 사건에 국방부장관 관여가 불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대통령실 통화 등 제기된 의혹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없었고, 여당 내에서도 비판 목소리가 나오면서, 한동안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 앵커 ▶

윤상문 기자 잘 들었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980 유흥업소 대표가 ‘우수 소상공인’?…‘상공의 날’ 표창 논란 랭크뉴스 2024.03.20
1979 시장 침체에도 경기·인천 오피스텔 청약 인기… “일시적 현상, 회복 기대는 이르다” 랭크뉴스 2024.03.20
1978 대파 들고 尹 때린 이재명 "국민 삶 관심 없어… 버릇 고쳐주자" 랭크뉴스 2024.03.20
1977 웃통 벗고 문신 자랑·셀카까지...식당서 난동 부린 MZ 조폭 랭크뉴스 2024.03.20
1976 후쿠시마 원전 내부 첫 공개‥소름 돋는 '갈색 고드름' 랭크뉴스 2024.03.20
1975 일본 시모노세키 앞바다서 한국 선박 전복‥7명 사망 랭크뉴스 2024.03.20
1974 [단독] 한동훈, 친윤과 갈등 최고조…“그만둔다고요? 내가 관두겠다” 랭크뉴스 2024.03.20
1973 손흥민 "강인이 덕에 똘똘 뭉칠 수 있게 됐다"…전날 밤 무슨 일 랭크뉴스 2024.03.20
1972 "윤석열 퇴진" "한약 불법화"... 센 발언만 난무하는 의협회장 선거 랭크뉴스 2024.03.20
1971 한소희, 소주·은행 광고 계약 만료…'헤이딜러'는 댓글창 닫았다 랭크뉴스 2024.03.20
1970 육아로 단축근무하면 옆 동료도 ‘수당’ 받는다 랭크뉴스 2024.03.20
1969 한동훈 "윤석열 정부도 끝" 배수진에 尹 물러서... 이종섭 해임은 난망 랭크뉴스 2024.03.20
1968 [속보]美백악관 "인텔에 반도체 보조금 85억달러·대출 110억달러 지원 랭크뉴스 2024.03.20
1967 “금사과 대신 바나나 어때요” 직수입 바나나·오렌지 1,800톤 내일부터 풀린다 랭크뉴스 2024.03.20
1966 의대 증원 비수도권에 82% 배정…의사 단체 일제히 반발 랭크뉴스 2024.03.20
1965 고개 숙인 이강인 "실망시켜 죄송" 손흥민 "손가락 기사는 이제.."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4.03.20
1964 ‘결혼해야 애를 낳지’… 저출산 극복, 혼인 대책도 쫌! 랭크뉴스 2024.03.20
1963 의대 '2천명 증원' 쐐기 박았다…의사들 "증원 철회하라" 반발 랭크뉴스 2024.03.20
1962 "이거 안 보여?!" 문신남들 '버럭'‥웃통 벗고 앞치마만 걸치더니 랭크뉴스 2024.03.20
1961 의대 증원 82% 지역에 몰리자 대학들 “환영”…미니 의대 “동아줄 잡았다” 랭크뉴스 2024.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