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업체 대표 “순식간에 친일파 됐다” 반박글
일본어로 된 안내 간판에 "매국노"라고 불편함을 표한 양궁 선수 안산. 안산 인스타그램 캡처

도쿄올림픽 3관왕을 차지한 양궁 선수 안산이 일본풍 주점을 두고 “매국노”라고 표현했다가 논란에 휩싸였다. 해당 점주는 친일파로 몰렸다며 항의하고 나섰다.

논란을 촉발한 건 안산이 지난 16일 인스타그램 스토리 올린 글이었다. 안산은 광주의 한 쇼핑몰 내 전광판에 ‘국제선 출국(일본행)’을 뜻하는 일본식 한자 문구 ‘国際線 出発(日本行)’가 적힌 사진을 올리면서 “한국에 매국노 왜 이렇게 많냐”고 적었다.

양궁 선수 안산. 뉴시스

해당 게시물은 캡처돼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로 퍼져나갔다. “‘일본빠’ 매국노 싫다” “저기 가봤는데 직원들도 일본말로 소통하더라” “요즘 저런 술집 너무 많다”라며 안산 의견에 옹호하는 반응이 이어진 반면 일부는 “일본 가게에 가면 매국노인가” “본인은 독립운동가인가”라며 부정적인 시선을 보냈다.

안산이 언급한 곳은 광주 소재 쇼핑몰 내 일본 테마거리에 입점한 국내 외식 브랜드 체인점으로, 나베(일본식 전골) 전문 이자카야(선술집) 콘셉트로 운영된다. ‘트립 투 재팬(Trip to Japan·일본으로의 여행)’이라는 콘셉트에 따라 인근 점포들이 모두 일본풍 간판을 달고 영업 중이라고 한다.

일본풍 주점 브랜드 대표 권모씨. 인스타그램 캡처

이런 가운데 해당 업체 대표가 나서서 안산의 게시물과 관련해 억울함을 토로하는 내용의 글을 올렸다. 업체 대표 권모씨는 17일 인스타그램에 “파생되는 루머와 억측으로 한순간에 저는 친일파의 후손이자 저의 브랜드는 매국 브랜드가 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논란으로 인해 적지 않은 메세지를 받았고, 순식간에 저는 친일파의 후손이 됐으며 저를 비롯한 점주님들은 ‘매국노’ ‘죽었으면 좋겠다’는 악플들을 받고 있다”며 “팬데믹 여파가 가시지 않은 채 찾아온 불황 속에서도 노고하는 동료들과 점주님들, 그리고 사랑하는 사람들이 더 이상 아프지 않도록 논란이 종식되기를 진심을 담아 부탁드린다”고 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956 [속보]日앞바다 전복 韓유조선…구조 9명중 7명사망 랭크뉴스 2024.03.20
1955 경찰, 윤석열 대통령 '짜깁기 영상' 게시자 일부 특정 랭크뉴스 2024.03.20
1954 "테무 앱 깐 후 스팸메일 급증"…정보유출 걱정에 떠는 韓 소비자 랭크뉴스 2024.03.20
1953 [단독] “尹, ‘황상무 교체·이종섭 조기 귀국’ 이미 결단…이종섭, 조사에 최선” 랭크뉴스 2024.03.20
1952 '성폭력 피의자 변호' 조수진 변호사 "국민 위한 공복으로 다시 태어나겠다" 랭크뉴스 2024.03.20
1951 [속보] 日정부 “전복된 韓선박 구조자 9명 중 7명 사망” 랭크뉴스 2024.03.20
1950 "5·18 폄훼는 공천취소됐는데…野, 천안함 막말엔 면죄부 주나" 랭크뉴스 2024.03.20
1949 "2~3년 내 반도체 1위 회복"…삼성, 앤비디아 맞설 'AI칩' 꺼냈다 랭크뉴스 2024.03.20
1948 소아암 교수는 왜 병원 로비에 섰나?‥정부 '의대 2천 명' 쐐기 랭크뉴스 2024.03.20
1947 주가에 뿔난 주주들 성토···삼성전자 “2~3년 안에 반도체 1위 되찾겠다” 랭크뉴스 2024.03.20
1946 조국 “한동훈 겁 먹은 듯... 정치를 너무 모른다” 랭크뉴스 2024.03.20
1945 이강인 "이번 기회로 많이 배웠다…좋은 선수·좋은 사람 되겠다" 랭크뉴스 2024.03.20
1944 이철규 "비례대표 공천 불투명…내가 월권이면 한동훈도 월권" 랭크뉴스 2024.03.20
1943 "열나 짬뽕나" 그 개그우먼, 무속인 됐다…"반신마비 신병 앓아" 랭크뉴스 2024.03.20
1942 ‘보복 관세’ 내려놓고 악수 나눴지만…중-호주 외교장관 ‘기싸움’ 랭크뉴스 2024.03.20
1941 "3살 딸이 액자 부수고 유리 먹어요"…알고보니 '이 병' 때문 랭크뉴스 2024.03.20
1940 “이종섭·김건희? 국민 개·돼지로 보나” “대통령실 있는 곳인데 국정 지원해야”···심상찮은 용산 민심 랭크뉴스 2024.03.20
1939 "'메디컬고시' 열풍 불것"…'의대 블랙홀'에 이공계 인재난 우려 랭크뉴스 2024.03.20
1938 정부, 의대 증원 2000명 쐐기 박았다…서울 증원 ‘0′ 카드로 빅 5 교수들 압박 (종합) 랭크뉴스 2024.03.20
1937 [단독] 이종섭 참석할 공관장회의, 조기 귀국 발표 당일 확정 랭크뉴스 2024.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