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다저스팀 방한 이후 첫 연습 경기날
아내들 모여 화장품 쇼핑에 전념해
K뷰티 인기에 외국인들 필수 코스로
피부 관리도···"한국 스킨케어 최고"
LA다저스 선수단의 아내들이 지난 17일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CJ올리브영 언주역점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제공=인스타그램 캡쳐

[서울경제]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로스앤젤러스(LA) 다저스팀이 ‘서울시리즈’를 위해 지난 15일 방한한 가운데 선수단의 아내들이 CJ(001040)올리브영 매장을 방문해 이목을 끌었다. 이들은 해외에서 ‘K뷰티’ 인기가 점차 높아지자 관련 상품이 한 곳에 모인 CJ올리브영을 찾아 관련 제품들을 구매했다.

18일 뷰티업계에 따르면 LA다저스 제임스 아웃맨의 아내 다샤 아웃맨을 비롯해 10명의 선수단 아내들은 지난 17일 올리브영 언주역점을 방문해 화장품을 구입했다. 이 자리에는 윌 스미스 아내 카라 스미스 프레디 프리먼의 아내도 동석했지만, 가장 화제가 됐던 오타니 쇼헤이의 아내 다나카 마미코씨는 참석하지 않았다.

다저스 선수단은 오는 20일부터 21일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열리는 샌디에이고와의 ‘2024 MLB 개막 2연전(서울시리즈)'를 위해 방한했다. 서울시리즈는 한국에서 사상 처음으로 열리는 MLB 정규시즌 경기다.

전세기를 타고 입국한 다저스 선수단은 각각 아내와 여자친구 등 1명의 동반자와 함께 움직였다. 지난 17일에는 서울시리즈에 앞서 LA다저스 대 키움 히어로즈 연습 경기가 열렸으며, 선수단의 아내들은 자유 시간을 가졌다.

오타니 쇼헤이(가운데)가 지난 15일 인천국제공항으로 입국하며 팬들과 취재진, 경호원들에게 둘러싸여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선수단 무리 중 10명의 아내들은 올리브영을 방문해 ‘K뷰티’ 화장품을 구매했다. 한국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커진 데다 올리브영을 방문하기만 하면 한 자리에서 여러 종류의 상품을 비교하고 살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전세계적으로 K뷰티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올리브영이 그 교두보 역할을 하고 있다. 올리브영은 트렌드가 빠르게 변화하는 국내 중소 화장품 브랜드를 판매하고 있으며, 합리적인 가격대가 더해져 해외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올리브영이 성장시킨 클리오, 마녀공장, 롬앤, 클리오 등은 외국인 관광객에게 이름을 알리며 일본과 미국에서 판매량이 매달 급성장하고 있다. 롬앤 운영사 아이패밀리에스씨는 지난해 3분기 누적 매출이 1000억원을 돌파했고, 마녀공장은 같은 기간 700억원을 상회했다.

올리브영 ‘명동 타운’에서 외국인 고객들이 쇼핑을 하고 나오고 있다. /사진제공=CJ올리브영


올리브영은 명동에 외국인 특화매장을 선보이는 가 하면 온라인 ‘글로벌몰'에 주력하고 있다. 글로벌몰은 전세계 150여개국 현지 소비자가 화장품을 주문하면 국내에서 발송하는 역직구 형태의 온라인 플랫폼이다. 지난 2019년 첫 선을 보인 글로벌몰은 3만명 수준이었던 멤버십 회원수가 지난해 12월 기준 120만명을 돌파했다.

특히 올리브영은 ‘K뷰티’ 중소기업 브랜드의 해외 진출을 위해 3년 간 3000억원 가량을 투입하기로 했다. IBK기업은행과 연간 1000억원의 상생펀드를 조성해 협력사들의 자금 조달 부담을 줄여주고, 글로벌 사업 진출을 도와주는 형태다.

업계 관계자는 “외국인들이 방한할 때 마다 올리브영을 방문하는 게 필수 코스가 됐다”며 “해외에서 K뷰티 인기가 커지며 한국에서만 파는 화장품들을 구매하고자 하는 수요가 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올리브영에 방문해 쇼핑을 즐긴 선수단 아내들은 이어 언주역 인근에 위치한 ‘마노바기 피부과’를 찾아 피부관리를 받았다. 다샤 아웃맨은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리브영, 피부과 관련 피드를 올리며 “한국의 스킨케어는 최고다!(Korean skincare is the best!)”라는 문구를 남기기도 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958 [속보] 일본 정부 "전복된 한국선박 구조자 9명 중 7명 사망" 랭크뉴스 2024.03.20
1957 정부, 의대 증원 2000명 쐐기 박았다…서울 증원 ‘0′ 카드로 ‘빅5’ 교수들 압박 (종합) 랭크뉴스 2024.03.20
1956 [속보]日앞바다 전복 韓유조선…구조 9명중 7명사망 랭크뉴스 2024.03.20
1955 경찰, 윤석열 대통령 '짜깁기 영상' 게시자 일부 특정 랭크뉴스 2024.03.20
1954 "테무 앱 깐 후 스팸메일 급증"…정보유출 걱정에 떠는 韓 소비자 랭크뉴스 2024.03.20
1953 [단독] “尹, ‘황상무 교체·이종섭 조기 귀국’ 이미 결단…이종섭, 조사에 최선” 랭크뉴스 2024.03.20
1952 '성폭력 피의자 변호' 조수진 변호사 "국민 위한 공복으로 다시 태어나겠다" 랭크뉴스 2024.03.20
1951 [속보] 日정부 “전복된 韓선박 구조자 9명 중 7명 사망” 랭크뉴스 2024.03.20
1950 "5·18 폄훼는 공천취소됐는데…野, 천안함 막말엔 면죄부 주나" 랭크뉴스 2024.03.20
1949 "2~3년 내 반도체 1위 회복"…삼성, 앤비디아 맞설 'AI칩' 꺼냈다 랭크뉴스 2024.03.20
1948 소아암 교수는 왜 병원 로비에 섰나?‥정부 '의대 2천 명' 쐐기 랭크뉴스 2024.03.20
1947 주가에 뿔난 주주들 성토···삼성전자 “2~3년 안에 반도체 1위 되찾겠다” 랭크뉴스 2024.03.20
1946 조국 “한동훈 겁 먹은 듯... 정치를 너무 모른다” 랭크뉴스 2024.03.20
1945 이강인 "이번 기회로 많이 배웠다…좋은 선수·좋은 사람 되겠다" 랭크뉴스 2024.03.20
1944 이철규 "비례대표 공천 불투명…내가 월권이면 한동훈도 월권" 랭크뉴스 2024.03.20
1943 "열나 짬뽕나" 그 개그우먼, 무속인 됐다…"반신마비 신병 앓아" 랭크뉴스 2024.03.20
1942 ‘보복 관세’ 내려놓고 악수 나눴지만…중-호주 외교장관 ‘기싸움’ 랭크뉴스 2024.03.20
1941 "3살 딸이 액자 부수고 유리 먹어요"…알고보니 '이 병' 때문 랭크뉴스 2024.03.20
1940 “이종섭·김건희? 국민 개·돼지로 보나” “대통령실 있는 곳인데 국정 지원해야”···심상찮은 용산 민심 랭크뉴스 2024.03.20
1939 "'메디컬고시' 열풍 불것"…'의대 블랙홀'에 이공계 인재난 우려 랭크뉴스 2024.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