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과, 무죄]
<상> 금사과 미스터리
과수경쟁력 검토 보고서 입수
미국산 사과 수입 시 타격
이제야 경쟁력 제고 나서
14일 서울 서초구 하나로마트 양재점에서 한 시민이 사과를 살펴보고 있다. 뉴스1


국내 수입에 가장 근접한 일본산 사과의 가격 경쟁력이 국산 사과보다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산보다 결코 싸지 않다는 얘기다. 오히려 국내 시장을 뒤흔들 것으로 예상되는 복병은 미국산 사과였다. 이는
한국일보가 단독 입수한 정부의 과수경쟁력 평가
에 담긴 내용으로, 정부가 사실상 과일시장 개방을 검토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17일 본보가 입수한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해외 과수산업 경쟁력 실태조사’ 보고서를 보면, 정부는 지난해 미국‧일본‧호주‧뉴질랜드 4개국의 과수산업 경쟁력을 평가했다. 대상은 사과와 배, 감귤, 포도, 복숭아 등 5종이다.

과일 수입을 위한 수입위험분석(IRA) 절차 8단계 중 가장 높은 5단계까지 진행한 일본 사과(2.8점‧5점 만점)는 수입돼도 영향이 미비할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과 가격 변동폭‧품질‧공급 안정성 등을 종합 평가한 것으로, 보고서는 종합점수가 3점 이상이어야 경쟁력이 있다고 봤다. 특히 선박 운항료 등을 더한 일본 사과의 국내 추정 판매가격(㎏당 1만743원‧2022년 기준)은 같은 해 국내 평균 사과가격(㎏당 4,654원)을 두 배 이상 웃돌았다.

이와 달리
미국 사과는 IRA는 3단계로 일본보다 뒤졌지만 해당 평가에서 4.0점을 받아 경쟁력이 가장 높았다.
미국 사과의 추정 판매가격(㎏당 3,939원)은 국내 평균 판매가보다 18.2% 낮았다. 올해와 같은 사과 가격 폭등기와 비교하면 가격 차이는 더욱 벌어질 가능성이 높다. 미국 사과는 공급 안정성 측면에서도 만점을 받았다. 미국 사과 다음으로 미국 감귤(3.7점)‧배(3.6점)가 높은 점수를 받았다.

주요 과일생산국의 경쟁력 평가. 그래픽=강준구 기자


보고서는 “미국 사과는 높은 생산성과 품질, 다양한 품종으로 경쟁력이 높다”며 “미국 사과 수입 시 국내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과 미국에서 6개월 이상 거주한 소비자 53명 대상 설문에서도 응답자의 80.4%가 미국 사과 가격이 국산과 비슷하거나 낮을 경우 미국 사과를 구매하겠다고 답했다.

국산 사과의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사실을 인지하고도 주무 부처인 농식품부는 별다른 대응 방안을 고민하지 않았다. 그러다 '금사과 사태'로 과수 위기가 불거진 뒤에야 부랴부랴 대책 마련에 나섰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7일 기자간담회에서 “안정적인 과일 생산 기반을 구축할 수 있는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을 마련해 이달 중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급하게 서둘러 낸 대책의 실효성이 얼마나 있을 지 의문이다. 박철선 과수농협연합회장은 "정부가 사과 수입이라는 돌이킬 수 없는 선택을 한다면 국내 사과 생산 기반은 무너지게 될 것"이라며 "농작물재해보험 개선 등 지속가능한 생산 기반 마련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말했다.

연관기사
• 사과도, 농부도 죄가 없다 [뉴스룸에서]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31217190003683)• 사과는 억울하다... "유통 과정이 가격 2배 넘게 부풀렸다"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31513420001184)• [르포] 밭에 뒹구는 시커먼 사과... "괴물 날씨 우짤 수 없잖여"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31510260002213)

[사과, 무죄] 글 싣는 순서<상> 금사과 미스터리

<하> 사과만의 문제 아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955 경찰, 윤석열 대통령 '짜깁기 영상' 게시자 일부 특정 랭크뉴스 2024.03.20
1954 "테무 앱 깐 후 스팸메일 급증"…정보유출 걱정에 떠는 韓 소비자 랭크뉴스 2024.03.20
1953 [단독] “尹, ‘황상무 교체·이종섭 조기 귀국’ 이미 결단…이종섭, 조사에 최선” 랭크뉴스 2024.03.20
1952 '성폭력 피의자 변호' 조수진 변호사 "국민 위한 공복으로 다시 태어나겠다" 랭크뉴스 2024.03.20
1951 [속보] 日정부 “전복된 韓선박 구조자 9명 중 7명 사망” 랭크뉴스 2024.03.20
1950 "5·18 폄훼는 공천취소됐는데…野, 천안함 막말엔 면죄부 주나" 랭크뉴스 2024.03.20
1949 "2~3년 내 반도체 1위 회복"…삼성, 앤비디아 맞설 'AI칩' 꺼냈다 랭크뉴스 2024.03.20
1948 소아암 교수는 왜 병원 로비에 섰나?‥정부 '의대 2천 명' 쐐기 랭크뉴스 2024.03.20
1947 주가에 뿔난 주주들 성토···삼성전자 “2~3년 안에 반도체 1위 되찾겠다” 랭크뉴스 2024.03.20
1946 조국 “한동훈 겁 먹은 듯... 정치를 너무 모른다” 랭크뉴스 2024.03.20
1945 이강인 "이번 기회로 많이 배웠다…좋은 선수·좋은 사람 되겠다" 랭크뉴스 2024.03.20
1944 이철규 "비례대표 공천 불투명…내가 월권이면 한동훈도 월권" 랭크뉴스 2024.03.20
1943 "열나 짬뽕나" 그 개그우먼, 무속인 됐다…"반신마비 신병 앓아" 랭크뉴스 2024.03.20
1942 ‘보복 관세’ 내려놓고 악수 나눴지만…중-호주 외교장관 ‘기싸움’ 랭크뉴스 2024.03.20
1941 "3살 딸이 액자 부수고 유리 먹어요"…알고보니 '이 병' 때문 랭크뉴스 2024.03.20
1940 “이종섭·김건희? 국민 개·돼지로 보나” “대통령실 있는 곳인데 국정 지원해야”···심상찮은 용산 민심 랭크뉴스 2024.03.20
1939 "'메디컬고시' 열풍 불것"…'의대 블랙홀'에 이공계 인재난 우려 랭크뉴스 2024.03.20
1938 정부, 의대 증원 2000명 쐐기 박았다…서울 증원 ‘0′ 카드로 빅 5 교수들 압박 (종합) 랭크뉴스 2024.03.20
1937 [단독] 이종섭 참석할 공관장회의, 조기 귀국 발표 당일 확정 랭크뉴스 2024.03.20
1936 박지원 “조국당 명예당원 발언은 덕담일 뿐”…민주당 엄중 경고 랭크뉴스 2024.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