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탄수화물은 언젠가부터 건강의 적 취급을 받는다. 탄수화물로서는 억울해서 펄쩍 뛸 일이다. 최근 영양학은 정반대로 말한다. 사진 로이터-연합뉴스



당신이 먹는 것이 당신이다
‘탄수화물은 다이어트 최대의 적.’

다이어트를 한번쯤 생각해본 사람이라면 위 문구가 익숙할 것이다. 실제로 요즘 다이어트는 ‘저탄고지’나 ‘저탄고단’ 식단을 따르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런 추세는 이상하다. 탄수화물은 필수 영양소다. 안 먹고는 살 수 없다. 어쩌다 ‘다이어트의 적’ 취급을 받게 됐을까.

가장 큰 이유는 당분 때문이다. 탄수화물의 일종인 당분은 영양학에서 가장 유명한 악당이다. 하지만 모든 탄수화물이 다 나쁜 건 아니다. 최근 들어 영양학자들은 탄수화물은 배척해야 할 영양소가 아니라 오히려 식단의 주인공이 돼야 한다고 말한다. 단백질과 지방이야말로 가려 만나야 할 존재라고 말한다.



최고의 식단 전략
100세인들이 모여 사는 ‘블루존(Blue Zone)’ 식단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장수인들은 많게는 식단의 80%까지 탄수화물로 채운다. 다만 그 탄수화물의 종류와 질이 다를 뿐이다. 현대 과학이 찾아낸 최고의 식단 전략은 이를 토대로 한다.

저탄고단 식단의 충격적 결말…과다한 단백질이 수명 줄였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08348



질병으로 이끄는 ‘악마의 식품’
반면 반드시 끊어야 할 식품도 있다. 2009년 브라질에서 나온 획기적인 식품 분류 체계 ‘NOVA’는 최근 여러 나라 보건 정책의 참고 자료로 활용된다. 이 분류 체계는 식품을 영양학적 기준이 아니라 가공 단계에 따라 등급을 매긴다. 여기서 가장 낮은 등급을 받은 식품은 어떻게든 피하라고 권고한다. 치매ㆍ암과 같은 질병으로 이끄는 안내자와 같은 식품이다.

제품 뒷면만 보면 알 수 있다, 치매ㆍ암 부르는 ‘악마의 식품’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79378



‘젊은 치매’ 막으려면
65세 이전에 발생하는 ‘젊은 치매’를 막아주는 비타민도 있다. 영국 바이오뱅크에 등록된 35만명을 10년 가까이 추적 관찰해 나온 결과다. 뇌의 기능을 유지해주는 데 필수적이다. 혈압을 조절하고 항염증 효과도 있지만, 한국인은 섭취가 부족한 편이다.

나이 젊어도 치매 걸린다 “이 비타민 꼭 챙겨 먹어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30966

“당신이 뭘 먹는지 말해 달라. 그러면 내가 당신이 누군지 알려주겠다”라는 말이 있다. 우리가 먹는 건 우리의 미래를 결정한다. 동시에 어떻게 먹는지, 얼마나 먹는지 역시 건강과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친다. 식사는 누구나 죽을 때까지 하루도 빠짐없이 하는 일이다. 식습관을 조금 바꿔도 오래도록 지대한 영향을 받는 이유다.

음식과 식품, 식습관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에 연재 중인 ‘불로장생의 꿈: 바이오 혁명’(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152)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건강 정보와 최신 의학 정보, 그리고 의료계를 뒤흔들고 있는 놀라운 발견들을 심도 있게 전달한다. 인터넷에 떠도는 지식과 달리 논문과 전문가 인터뷰를 기반으로 믿을 수 있는 정보만 엄선했다.


불로장생의 꿈:바이오혁명 - 더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① 저탄고단 식단의 충격적 결말…과다한 단백질이 수명 줄였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08348

② 제품 뒷면만 보면 알 수 있다, 치매ㆍ암 부르는 ‘악마의 식품’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79378

③ 나이 젊어도 치매 걸린다 “이 비타민 꼭 챙겨 먹어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30966

④ 우유와 대장암, 뭔 관계길래…통계는 죄다 “우유 안먹은 탓”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68997

⑤ 밥 이렇게 먹으면 덜 늙는다, 내 수명 늘리는 ‘확실한 방법’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04808

⑥ 타우린이 수명 12% 늘렸다, 그럼 ‘박카스’ 매일 마시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82762




이정봉 기자 [email protected]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982 28일째 '(풍)○○○' 6900원…성소수자 단체, 기부자 찾는다 랭크뉴스 2024.03.22
2981 22대 총선 후보 3명 중 1명은 전과자…전과 최다는 11범 랭크뉴스 2024.03.22
2980 환자들에게 특정 비급여 약품 대량 처방한 대학병원 교수 기소 랭크뉴스 2024.03.22
2979 이통 3사에 “전환지원금 협조를”…방통위원장, 사실상 ‘금액 인상’ 압박 랭크뉴스 2024.03.22
2978 여야 모두 "개혁공천" 외쳤지만…여성∙2030 후보 다 줄었다 랭크뉴스 2024.03.22
2977 의협 회장선거 ‘강경파’ 임현택-주수호 결선진출 랭크뉴스 2024.03.22
2976 [총선] 총선 정당 기호, 더불어민주연합 3번·국민의미래 4번 랭크뉴스 2024.03.22
2975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국민들이 영웅 55명 이름 불렀다 랭크뉴스 2024.03.22
2974 의대 교수 사직서 제출 돌입…정부 “절차대로 증원” 랭크뉴스 2024.03.22
2973 의협회장 임현택·주수호 결선투표···누가 돼도 ‘강경파’ 랭크뉴스 2024.03.22
2972 "내 눈빛 겁난다고? 그렇다면…" 옷으로 얼굴 싸맨 伊총리 랭크뉴스 2024.03.22
2971 한동훈, “이종섭 즉각 소환조사 어렵다”는 공수처에 “정치질” 비난 랭크뉴스 2024.03.22
2970 개혁신당 선대위 총괄위원장은 김종인 아닌 이주영·천하람 ‘투톱’ 랭크뉴스 2024.03.22
2969 개혁신당 류호정, 총선 후보등록 포기…"제3지대 정치 실패" 랭크뉴스 2024.03.22
2968 "절대 속으시면 안돼요"…송은이·유재석 등 유명인 137명 '분노'한 이유 뭐길래 랭크뉴스 2024.03.22
2967 의협회장 투표 임현택 1위-주수호 2위…둘다 '강경파' 랭크뉴스 2024.03.22
2966 日중학교 교과서도 가해역사 희석했다…독도 영유권 주장도 강화(종합) 랭크뉴스 2024.03.22
2965 [단독] 린 칼더 이네오스 오토모티브 CEO 방한, 삼성SDI 만났다 랭크뉴스 2024.03.22
2964 서울 총선 후보 20억 이상 자산가 40명…1위 국민의힘 이상규 후보 얼마기에? 랭크뉴스 2024.03.22
2963 새로운미래 이석현 “박용진 뜻 받들어 강북을 출마” 랭크뉴스 2024.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