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 "헤일리 사퇴 후 일체 접촉 없어"
바이든과 격차 줄고 펜스도 반대 재확인…본선 경쟁력 변수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 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워싱턴=연합뉴스) 김경희 특파원 = 공화당 대선 후보로 내정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최후의 경쟁자였던 니키 헤일리 전 유엔 대사와 현재까지 일체의 접촉을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16일(현지시간) 트럼프 전 대통령이 '슈퍼 화요일' 다음날인 6일 헤일리 전 대사의 사퇴 이후 열흘이 흘렀지만 아직까지 양측의 접촉은 전무하다고 보도했다.

공화당 경선에서 마지막까지 버틴 헤일리 전 대사는 중도를 중심으로 '반(反) 트럼프' 지지 세력의 중심축 역할을 해 왔다.

헤일리 전 대사는 사퇴 발표 당시 지지 표명 없이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자신을 지지하지 않는 사람들의 표를 얻어야 한다면서 "이제는 그가 선택할 시간"이라며 자신을 포함한 반대 세력의 지지를 얻기 위해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나서야 한다는 일종의 최후통첩을 날린 바 있다.

공화당 거액 기부자이자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반대해 헤일리 전 대사를 후원해 온 아트 포프는 관련해 트럼프 전 대통령측에서 아직까지 어떤 접촉도 없었다고 확인했다.

포프는 "트럼프의 공개 발언과 인터뷰, 유세 내용을 보면 그는 전혀 유화적인 입장을 취하지 않고 있다"며 "단적으로 그는 관세를 포함해 역대 어느 공화당 후보와 비교할 수 없는 증세 입장을 밀어붙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치 공학적으로 본다면 11월 본선을 염두에 두고 중도까지 외연 확장을 위해 트럼프 전 대통령이 헤일리 전 대사 지지층을 흡수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철옹성 같은 극우 팬덤을 중심으로 공화당 전국위 재편까지 마무리하며 사실상 당을 접수했지만, 보수층 내부에서도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반대 목소리가 여전한 것 또한 사실이기 때문이다.

당장 전날 자신의 재임 시절 러닝메이트였던 마이크 펜스 전 부통령이 폭스뉴스에 출연해 "트럼프는 우리가 4년 동안 다뤄 온 보수적 의제와 상충하는 의제를 추구하고 분명히 표현하고 있다"며 양심상 트럼프 전 대통령을 지지할 수 없다고 대못을 박은 상황이다.

니키 헤일리 전 유엔 대사
[AP 연합뉴스 자료 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펜스 전 부통령은 공화당 경선에 출마했지만 낮은 지지율로 고전하다 지난해 10월 일찌감치 하차했다.

또 다른 공화당 경선 주자였던 크리스 크리스티 전 뉴저지 주지사 역시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저격을 이어가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리턴 매치가 확정된 조 바이든 대통령에게 현재 여론 조사 상으로 근소하게 앞서고 있지만 바이든 대통령의 국정연설 이후 격차는 다시 좁아지는 양상이다.

이날 기준 더힐이 601개 여론조사를 평균한 결과, 트럼프 전 대통령은 44.9%의 지지율로 바이든 대통령(43.7%)을 1.2%포인트 앞섰다.

이는 2%포인트 가량을 유지하던 것과 비교해 다소 줄어든 수치다.

로이터와 입소스의 최근 조사에서는 바이든 대통령이 39%의 지지율로 트럼프 전 대통령(38%)을 역전하기도 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 측은 "덧셈의 정치를 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고, 우리는 외연 확장을 위한 기회를 놓치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헤일리 전 대사와 그 주변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해 적어도 부정적인 이야기는 하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측근은 또 "모든 일이 잘 풀릴 것"이라면서도 "지난 두 달간 악재가 많았던 게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뒤끝'과 '보복'을 트레이드 마크로 삼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여전히 승승장구하는 상황에서 헤일리 전 대사에게 쉽게 손을 내밀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미 뉴햄프셔 경선 이후 "헤일리에게 기부하는 누구든 이 시간 이후로 영원히 마가 캠프에 들어오는 것이 금지될 것"이라고 강경 발언을 쏟아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헤일리 전 대사 사퇴 이후에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에 헤일리 전 대사를 비판하는 글을 올리는 등 감정적 앙금을 여과 없이 노출하고 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203 박용진 “바보스러울지라도 ‘강북을’ 경선 참여하겠다” 랭크뉴스 2024.03.16
45202 "가자 휴전·인질석방 논의 17일 카타르서 재개 전망" 랭크뉴스 2024.03.16
45201 (영상) "아기도 어차피…" 저출생 원인 묻자 돌아온 말 [어생까] 랭크뉴스 2024.03.16
45200 치료 먼저, 돈은 나중에… 충북 ‘의료비 후불제’ 475명 혜택 랭크뉴스 2024.03.16
45199 하태경 "공관위 이의 신청 기각 결정 수용"... 탈당 가능성엔 선 그어 랭크뉴스 2024.03.16
45198 [세컷칼럼] “국민연금 신·구 분리” KDI 처방 검토해볼 만 랭크뉴스 2024.03.17
45197 의대 교수들 “25일부터 사직”…정부 “국민, 불안해질 것” 랭크뉴스 2024.03.17
45196 20대 여성 살해 용의자 만화방서 검거…“불법 촬영 신고에 화나” 랭크뉴스 2024.03.17
45195 "바보스러울 지라도" 박용진, 강북을 경선 '재도전'…'친명계' 한민수 등 20명 안팎 지원 랭크뉴스 2024.03.17
45194 "잿더미에서 일어나 민주주의 수호자 된 한국" 美 하원서 찬사 쏟아져 랭크뉴스 2024.03.17
45193 (1)트레이닝복에 야구모자…신도시 아저씨같은 마약왕[뽕의 계보] 랭크뉴스 2024.03.17
45192 “봄꽃 하영이서 [많이 있어요]” 제주는 봄 맞이 중 랭크뉴스 2024.03.17
45191 학생 39% “통일 필요없다”…10명 중 8명은 “군사적 충돌 가능성 있다” 랭크뉴스 2024.03.17
45190 "전신이 부들부들 떨렸습니다"‥황상무님, 당신 말씀 본 뜻은 무엇입니까? 랭크뉴스 2024.03.17
45189 지팡이 짚고 오픈런…노인우울증 덮친 이곳, 정신과 딱 1곳뿐 랭크뉴스 2024.03.17
» »»»»» '외연 확대' 필수 공식이지만…'반대파'에 싸늘한 트럼프 랭크뉴스 2024.03.17
45187 블링컨 美국무장관 17일 방한…민주주의 정상회의 참석 랭크뉴스 2024.03.17
45186 고위당국자 "삼성 보조금 기대에 부응, 韓美 장비 통제 협의 'NCND'" 랭크뉴스 2024.03.17
45185 푸바오 떠나는 이유는?…40년 애써도 ‘멸종 위험’ 랭크뉴스 2024.03.17
45184 "암 환자인줄" 멀쩡한 환자 자궁 제거했다…홍콩 황당 의료사고 랭크뉴스 2024.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