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여론 악화에 공관위 주말 비대면 회의서 '장예찬 낙마' 결론
"선거 절박한 상황…전체 판세 생각해 단호하게 결정"


장예찬 전 최고위원 출마 기자회견
(서울=연합뉴스) 신준희 기자 = 9일 국회에서 국민의힘 장예찬 전 최고위원이 총선 출마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4.1.9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차지연 홍준석 기자 =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회가 일주일째 '막말 논란'에 휩싸였던 장예찬 전 청년최고위원의 4·10 총선 부산 수영 공천을 16일 전격 취소했다.

장 전 최고위원은 지난 대선 때 윤석열 후보 캠프 청년특보를 지낸 30대 친윤(친윤석열)계 정치인이다.

부산 출신의 장 전 최고위원은 지난달 당내 경선에서 현역 전봉민 의원을 꺾고 국민의힘 수영 후보로 확정됐다.

그러나 페이스북에 올린 과거 발언이 차례로 공개되면서 지난주부터 논란이 일었다.

가장 먼저 문제가 된 것은 2014년 적은 '난교를 즐기는 사람이라도 맡은 직무에서 전문성·책임성을 보이면 존경받을 수 있는 사회가 건강하다'는 취지의 발언이었다.

작년 전당대회 때도 선정적 웹소설을 쓴 것이 알려져 비판받았던 장 전 최고위원은 '난교 발언'으로 다시 집중포화의 대상이 됐다.

이어 '동물병원을 폭파하고 싶다', '서울시민의 시민의식과 교양 수준이 일본인 발톱의 때만큼이라도 따라갈 수 있을까 싶다', '남자들은 룸 두 번 갈 거 한 번만 가면 후원을 더 할 수 있다. 여자들은 백 좀 작작 사라' 등 10여년 전 발언들이 추가로 공개됐다.

논란이 확산하자 장 전 최고위원은 "아무리 어렸을 때라도 더 신중하고 성숙했으면 어땠을까 10번, 100번 후회하고 있다"며 두 차례 사과문을 내며 고개를 숙였다.

하지만, 최근 국민의힘에서 수도권 선거 위기론이 번지고, 장 전 최고위원의 발언을 둘러싼 여론도 악화하자 공관위는 전날부터 공천 취소 논의에 착수했고, 주말인 이날 비대면 회의 끝에 결론을 내렸다.

공관위가 이미 확정한 공천을 취소한 것은 김현아(경기 고양정)·박일호(경남 밀양·의령·함안·창녕)·정우택(충북 청주 상당)·도태우(대구 중·남구) 후보에 이어 장 전 최고위원이 다섯번째다.

이틀 전 공천이 취소된 도태우 후보에 이어 '과거 막말'로 공천 결정이 뒤집힌 두 번째 사례인데, 이번에는 그 대상이 '친윤' 인사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국민의힘 공관위, 19차 회의결과 발표
(서울=연합뉴스) 신준희 기자 = 국민의힘 정영환 공천관리위원장이 9일 여의도 당사에서 제19차 공관위 회의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2024.3.9 [email protected]


공관위는 장 전 최고위원 공천 취소를 결정하면서 선거 전체 판세, 사과의 진정성, 향후 리스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당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장 전 최고위원이 치기 어릴 때 한 옛날 발언이라는 것은 충분히 이해하지만, 절박한 상황"이라며 "선거 전체 판세를 생각해서 단호하게 결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말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 등판 후 나타난 당의 상승세가 최근 주춤하고 있는 데다, 일부 후보를 둘러싼 논란에 특히 수도권·중도층 민심이 심상찮다는 상황 인식이 장 전 최고위원 '아웃'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더불어민주당이 전날 '거짓 사과' 논란으로 정봉주 전 의원의 공천을 취소한 서울 강북을에 박용진 의원의 공천 승계가 아닌 전략경선을 결정한 것과 대조적인 모습을 보일 기회라는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관측된다.

공관위는 장 전 최고위원 사과의 '진정성'에 대해서도 문제의식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장 전 최고위원은 '난교 발언' 논란 후인 지난 9일 자신의 유튜브 계정에 올린 영상에서 "과거 나의 페이스북의 철 없고 혈기 넘치는 발언이 문제가 된다면, 좋다. 내 과거 페이스북을 마음껏 털어라"라고 말해 추가로 논란을 빚기도 했다.

공관위는 아무리 과거 발언이라지만 '고구마 줄기처럼' 터지는 장 전 최고위원 '막말' 논란에도 부담을 가졌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 공관위원은 "처음에는 곧 사그라질 것이라는 의견도 있었으나 계속 논란이 이어지니 이에 대한 국민 반응도 고려했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08 북, 군사분계선 세부 경계선 두고 신경전…군, 사격지침 9.19 이전으로 환원 랭크뉴스 2024.06.17
5107 푸틴, 내일 24년 만에 방북…'전략적 동반자' 관계 격상할 듯(종합) 랭크뉴스 2024.06.17
5106 만취한 중국 여성 객실 들어가 성폭행한 호텔 직원 체포 랭크뉴스 2024.06.17
5105 ‘무기한 휴진’ 환자는 ‘불안’…“환자 손해보면 배상 청구” 랭크뉴스 2024.06.17
5104 최태원 "판결에 치명적 오류"‥"침소봉대‥사법부 판단 방해" 랭크뉴스 2024.06.17
5103 서울아산병원마저 7월 4일부터 1주일 휴진한다 랭크뉴스 2024.06.17
5102 "의대 교수 휴진은 전공의 파업과 달라…엄청난 고통 뒤따를 것" 랭크뉴스 2024.06.17
5101 ‘콘크리트’ 동서분열 상징에서 ‘역사’가 된 베를린 장벽 랭크뉴스 2024.06.17
5100 100원이냐 1000원이냐…최태원-노소영 '세기의 이혼' 새국면 랭크뉴스 2024.06.17
5099 野, 22대서도 ‘노란봉투법’ 발의…양대노총 지지 기자회견 예고 랭크뉴스 2024.06.17
5098 최 회장 "SK 명예 바로잡겠다"‥재계 2위인데 '자수성가'는 아니다? 랭크뉴스 2024.06.17
5097 "군인이세요?" 케이크 건넨 시민…외박 나온 현역병 울컥한 사연 랭크뉴스 2024.06.17
5096 기자협·언론노조·방송기자聯 “이재명, ‘언론은 檢 애완견’ 망언 사과하라” 랭크뉴스 2024.06.17
5095 평균 420억 상속하는 955명에게 세금 깎아주자는 대통령실 랭크뉴스 2024.06.17
5094 [푸틴 방북] 미리보는 푸틴의 평양 1박2일…카퍼레이드 등 극진대접 예상(종합) 랭크뉴스 2024.06.17
5093 “중국, 핵탄두 500기 보유 추정…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늘려” 랭크뉴스 2024.06.17
5092 "구청 직원인데 망하게 해줘?" 갑질 의혹에... 대구 중구청 진상 조사 랭크뉴스 2024.06.17
5091 야6당, 윤 대통령 거부한 ‘노란봉투법’ 더 강화된 버전으로 발의 랭크뉴스 2024.06.17
5090 국민의힘 전당대회 돌입‥"어차피 대표는 한동훈" "참패 책임져야" 랭크뉴스 2024.06.17
5089 김정숙 여사 수사 본격화된 날…文 올린 의미심장한 사진 4장 랭크뉴스 2024.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