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매출 1000억원대 백화점 살리기 나선 지방 백화점
현대, 7월 영업 종료 후 3개월 여간 개편 공사
롯데, 무신사스탠다드 비수도권 백화점 최초 입점

경쟁력이 약화한 부산 백화점들이 변신을 시도한다.

16일 백화점업계에 따르면 현대백화점 부산점은 올 하반기 리뉴얼 공사에 돌입한다. 1995년 개점한 지 29년 만으로, 백화점 간판을 떼고 새로운 형태의 업태 전환을 시도한다.

롯데백화점은 오는 7월 센텀시티점 1층에 젊은 층에 인지도가 높은 패션 플랫폼 무신사의 자체 브랜드(PB) 무신사스탠다드를 들인다. 무신사스탠다드가 수도권 외 지역 백화점에 입점하는 건 처음으로, 과거 에트로, 리모와 등 해외 명품 매장이 있던 자리에 들어선다.

이들 백화점이 변신하게 된 배경은 매출 부진에 있다. 두 점포 모두 전국 70여 개 백화점 중 매출 하위권에 해당하는 점포다. 지난해 현대 부산점 매출은 1522억원 수준으로 전년 대비 5.3% 감소했고, 롯데 센텀시티점 매출은 10%가량 줄어든 1334억원이었다.

인근의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이 지난해 매출 2조원, 롯데 부산 본점이 매출 1조원을 넘어선 것과 대조적이다.

그래픽=손민균

두 백화점은 한때 부산을 대표하는 고급 백화점으로 명성을 떨쳤다. 현대백화점은 백화점 3사 중 가장 먼저 부산에 진출했다. 1995년 부산 동구 범일동에 문을 연 현대백화점은 3대 명품인 ‘에루샤(에르메스·루이뷔통·샤넬)’를 모두 입점시키며 지역 명품 고객을 흡수했다.

2007년 개장한 롯데 센텀시티점 역시 루이비통, 디올, 버버리, 불가리 등 해외 브랜드를 보유하며 ‘부산의 맹주(盟主)’라는 자존심을 지켰다.

그러나 2009년 3월 롯데 센텀시티점 바로 옆에 29만㎡ 규모의 초대형 신세계 센텀시티가 개장한 후 보유했던 해외 브랜드 상당수가 신세계로 이전하면서 주도권을 내주게 됐다.

현대 부산점의 경우 상권 몰락이 발목을 잡았다. 백화점이 위치한 부산 동구는 서구, 영도구, 남구 등과 함께 인구소멸 지역으로 선정됐다.

이들 백화점은 2010년대 초반 3000억원대로 매출 정점을 찍은 후 현재 매출이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고, 이로 인해 수년간 폐점과 매각설에 시달려왔다. 그러나 폐점이나 매각도 여의치 않아 쇼핑 환경을 개편하는 쪽으로 방향을 튼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백화점은 부산점의 영업을 7월 말까지 진행하고, 이후 2~3개월간 문을 닫고 새 단장에 돌입할 예정이다. 기존의 백화점 형태가 아닌 새로운 형태의 유통 채널로 개편한다는 구상이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어떤 형태로 단장할 지는 아직 미정”이라며 “해당 상권에 맞춰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연구 중”이라고 말했다.

롯데 센텀시티점은 오는 7월 무신사스탠다드를 입점한다. 최근 오프라인 매장을 확장 중인 무신사스탠다드가 비수도권 백화점에 들어가는 건 롯데 센텀시티가 처음이다. 무신사스탠드다는 앞서 지난해 12월 부선 서면에 플래그십스토어를 냈고, 오는 5월 롯데몰 동부산점에도 입점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롯데백화점은 지난해 센텀시티점에 체육시설 등을 확충할 수 있는 지구단위계획 용도 변경을 지자체에 신청하고 허가를 기다리는 중이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최근 지어진 백화점에는 골프 연습장이나 헬스장 등 생활시설을 들이는게 일반적이지만, 과거 백화점은 판매·영업, 문화·집회시설로 허가 받아 체험형 공간을 확충하는 데 제약이 있었다”면서 “용도 변경을 통해 새로운 쇼핑 니즈에 부합하는 환경으로 개편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새로운 오프라인 점포의 출점도 준비한다. 현대백화점은 3200억원을 투자해 2027년 부산 강서구 에코델타시티에 현대프리미엄아웃렛을 조성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지난해 말 정기임원인사에서 영업본부 산하에 있던 아웃렛사업부를 독립, 지위를 격상시켰다. 최근 쇼핑 트렌드가 쇼핑, 문화, 여가를 한 번에 즐기는 쇼핑몰이나 프리미엄아웃렛으로 이동한 만큼 해당 채널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롯데쇼핑은 지난해 67층 규모의 부산롯데타워의 공사를 10년 만에 재개했다. 롯데백화점 광복점과 인접해 있는 만큼 2026년 부산롯데타워 완공에 맞춰 백화점을 새단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943 "소아암 환자 있다. 나는 사직할 수 없다"…소아과 의사의 절절한 메시지 랭크뉴스 2024.03.25
3942 [단독] ‘리베이트 의혹’ 세브란스 교수, ‘젊은 의학자 상’ 수상자로 선정 랭크뉴스 2024.03.25
3941 개혁신당 천하람 “윤석열·한동훈, 의대 증원 정치쇼···조국은 한철 장사” 랭크뉴스 2024.03.25
3940 [사이언스샷] 목에 붙인 전자 피부, 잃어버린 목소리 찾았다 랭크뉴스 2024.03.25
3939 “아픈 환자 버려두고 병원 나서는 순간…” 사직 반대 교수의 글 랭크뉴스 2024.03.25
3938 반발짝 물러선 봄…오늘 전국에 비, 강원도 최대 15㎝ 폭설 랭크뉴스 2024.03.25
3937 [속보] 윤 대통령 “특례시지원특별법 제정…각종 인허가 권한 특례시로 이양” 랭크뉴스 2024.03.25
3936 [속보] 尹 “용인·수원·고양·창원 ‘특례시 지원 특별법’ 제정... 고층 건물 건축허가 등 市 권한 확대” 랭크뉴스 2024.03.25
3935 의대교수단체 “사직서 예정대로…증원 철회 없인 해결없다” 랭크뉴스 2024.03.25
3934 [단독] '셀프 성과급'에 교직원 기사로 부린 휘문 이사장... 교육청 경고 받았다 랭크뉴스 2024.03.25
3933 산업부 “韓·루마니아 원전·방산 협력 강화 논의” 랭크뉴스 2024.03.25
3932 "'주차 뺑소니' 꼼짝 마"‥이젠 AI로 잡는다 랭크뉴스 2024.03.25
3931 20대 그룹, 임원-직원 간 평균 연봉 격차 11배 랭크뉴스 2024.03.25
3930 경찰, '전공의 블랙리스트' 메디스태프 대표 소환 조사 랭크뉴스 2024.03.25
3929 에코프로, 인니 니켈 제련소에 1100만달러 투자… 지분 9% 취득 랭크뉴스 2024.03.25
3928 전공의 공백 메우던 부산대병원 안과 의사, 자택서 돌연사 랭크뉴스 2024.03.25
3927 112 전화해 "대통령 죽이겠다"‥60대 남성 징역 2개월 랭크뉴스 2024.03.25
3926 '무더기 사직' 시작되나 고대의대 교수들 사직서 제출 랭크뉴스 2024.03.25
3925 지구 2500바퀴 돌았다… 아시아나 ‘보잉 747’ 여객기 마지막 비행 랭크뉴스 2024.03.25
3924 “전공의 없는데, 교수 떠나면 진짜 의료 대란…병원 나간다고 국민 이기는 것 아냐” 랭크뉴스 2024.03.25